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구비문학

(14)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5. 현대사회와 구비문학 15강. 현대사회와 구비문학 (학습목표) 1. 구비문학은 현대사회에서도 생명력을 지닌 갈래임을 이해한다. 2. 현대사회에서 신화의 개념과 양상을 신화사의 관점에서 연속적으로 이해한다. 3. 현대사회의 영화나 드라마에 녹아든 구비문학적 특징을 파악한다. 4. 현대사회의 이야기판의 형성과 연행의 특징에 관하여 이해한다. 5. 현대사회에서 구비문학의 전승 양상에 관하여 이해한다. 1. 구비문학의 기본 성격 재론 ❶.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합집합 ❷. 현재의 문학: 전승과 변이, 생성을 거듭하는 문학 ❸. 열려있는 문학, 소통하는 문학 ❹. 당대의 현실과 사회적 배경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문학 2. 현대사회와 신화 1). 현대사회에서 신화는 형성되는가. - ‘현대 신화’의 개념적 실체: 非현실-反현실-非反현실 =..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4. 구비문학과 재담 14강. 구비문학과 재담 (학습목표) 1. 재담의 개념을 이해한다. 2. 구비문학의 다양한 갈래 속에 활용된 재담의 양상을 파악한다. 3. 재담의 기능에 관하여 이해한다. 4. 재담에서 유발되는 웃음의 양상을 이해한다. 1. 구비문학과 재담 -익살과 재미, 재치를 갖춘 말 -재미있는 내용과 내용을 구성하는 언어의 질료나 구연 기법의 측면에서 재미, 혹은 웃음을 유발하는 요소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진 말 - 利野耆冊(이야기책) : 16세기말-17세기말 사대부 재담가의 기록 : 골계류는 그 내력이 오래다. 齊나라에는淳于髡이, 楚나라에는 優孟이, 秦나라는 優旃이, 漢나라는 東方朔이 있었는데, 모두 익살스러운 말솜씨로 그 이름이 천년 동안 전해진다. 우리나라에도 간혹 이를 드러내 껄껄 웃게하거나 배를 움켜잡게 만드..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3. 수수께끼와 속담의 이해 13강. 수수께끼와 속담의 이해 (학습목표) 1. 수수께끼의 개념과 유형을 이해한다. 2. 수수께끼의 기능에 관하여 이해한다. 3. 서사문학 내에서의 수수께끼의 활용 양상을 파악한다. 4. 속담의 개념을 이해한다. 5. 속담의 유형과 기능에 관하여 이해한다. 1. 수수께끼의 이해 ➊.수수께끼의 의미 -수수: ‘숨은 것을 찾아내다. cf) 숨바꼭질 -께끼: ‘겻구기(겨루기)’➠‘께끼’ =물음(말) 속에 숨어있는 답을 찾아내는 일종의 겨루기놀이. 연어유희의 놀이 -異稱: 수수적기(강원강릉), 식끼저름(경남동래), 숭키잽기(전북남원) 등 ➋.수수께끼의 특징 -물음과 답하기로 구성 -口演時 화자와 청자의 쌍방참여 -겨루기의 형태: 유희적·오락적 성격 -故意的 誤導性의 장치 -극히 단순한 묘사 활용 -은유적 표현..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2. 민속극의 이해(2) 12강 민속극의 이해(2) (학습목표) 1. 한국 인형극의 구성 방식을 이해한다. 2. 인형극의 등장인물 상호간의 관계를 이해한다. 3. 인형극의 드러난 비판의식을 이해한다. 4. 무당굿놀이의 성격을 이해한다. 5. 무당굿놀이의 종류를 이해한다. 6. 무당굿놀이에 드러난 민중의식을 이해한다. 7. 한국 민속극의 특징을 포괄적으로 이해한다. 1. 한국의 인형극(꼭두각시놀음) 1).남사당의 공연물 - 풍물, 버나(대접 돌리기), 살판(땅재주), 어름(줄타기), 덧뵈기(가면무극), 덜미(꼭 두각시놀음), 발탈 2). 인형극의 전통 - 중국원나라 : 당나라 이적 장군이 고구려 멸망 후 괴뢰(傀儡)를 자국 에 바쳤다는 기록: 고구려의 인형극이 당나라의 그것과 달라 승전 기념물로 가지고가서 황제에게 헌납한 것으 로..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1. 민속극의 이해(1) 11강 민속극의 이해(1) -탈놀이의 기원과 형성, 전승양상과 기본적 특성 (학습목표) 1. 한국 탈놀이의 기원과 형성의 과정을 이해한다. 2. 탈놀이의 전승지역 분포와 지역적 특징에 관하여 이해한다. 3. 탈놀이의 공연 방식에 관하여 이해한다. 4. 탈의 특징에 관하여 이해한다. 1. 민속극의 종류 * 탈놀이 * 무당굿놀이 * 꼭두각시놀음 * 발탈 2. 한국의 탈놀이 1). 전통 연희의 현장 * 청나라 사신의 일정과 행사를 그림으로 그려 놓은 책(1725년6월, 영조1년) * 줄타기 광대와 악사가 서서 반주와 재담을 주고받는 장면 * 이동식 무대:큰 바퀴가 달린 수레 위에 기암괴석과 노송이 조화된 아름다운 산을 제작하여 싣고 인부들이 움직여 다니는 무대. * 무대 위에 낚시하는 남성, 춤을 추는 여인의..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0. 판소리의 이해 (2) 10강. 판소리의 이해 (2) (학습목표) 1. 판소리의 연행방식을 이해한다. 2. 판소리의 사설구성 방식을 이해한다. 3. 판소리 각 마당의 사설 형성 과정에 대하여 이해한다.4. 판소리 사설의 주제 구현 방식을 이해한다. 5. 판소리의 근대문학적 성격을 이해한다. 1. 판소리의 12마당의 전승과정과 변화. ❶ 전승의 변화 과정 * 송만재 : 12 마당 * 정노식 : 12 마당 * 신재효 : 6 마당 * 이선유 : 5 마당 * 판소리 12마당의 전승과정과 변화 ❷. 失傳 판소리의 문제 * 새로운 사설창조의 열세: 전승 5가와 같은 더늠이나 대표적 사설의 창출 실패 - 옹고집의 성정 묘사: 놀부의 심술 묘사 차용 - 변강쇠와 옹녀의 사랑가 ·무숙이와 의양의 사랑가· 의 사랑가: 에서 차용 - 장끼의 고난..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8. 민요의 이해 (2) 8강. 민요의 이해 (2) (학습목표) 1. 민요의 실제적 분류를 이해하고 그 원리를 파악한다. 2. 민요의 유형별 특징을 이해한다. 3. 민요의 유형별 기능을 올바르게 이해한다.4. 민요의 사설이 갖는 의미를 이해한다. A. 민요의 분류 1. 가창 목적에 따른 분류 �*勞動謠-가사노동요: 길쌈노래 등 사회노동요: 모심기노래 등 �*餘暇謠-개인여가요: 쌍가락지노래 등 집단여가요: 강강수월래 등 �*儀式謠-신앙의식요: 지신밟기노래 등 통과의식요: 상여소리 등 �*政治謠-비판정치요: 경복궁노래 등 예언정치요: 木子得國노래 등 2.‘非機能謠’(비기능요)의 문제 �* 機能謠 가운데 본래의 기능이 상실되어 전승되는 경우, 개인 여가요에 귀속될 여지가 있으나 단순히 여가를 목적으로 전승되던 노래가 아니기 때문에 성..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7. 민요의 이해 (1) 7강 민요의 이해 (1) A. 민요의 개념 1. ‘謠’와 ‘歌’의 동양적 전통 * 詩經 : “악기의 반주가 없이 부르는 노래를 謠라고 하고 악기의 반주를 수반하는 것을 歌” 2. 민요의 기본적인 특징 *음악성과 문학성의 총체적 산물 *창자와 청자의 未分 *생활의 경험과 일상사의 감정을 진솔하게 표출 *삶의 현장(삶의 방식)을 바탕으로 전승 *지역적 특징의 적극적 반영 *민중 향유의 口碑傳承物 *전문적 창자가 아닌 예사사람의 가창물 cf) 무가, 판소리 *機能的이면서 동시에 自足的인 노래: 타인의 평가에서 자유로움. cf) 판소리 B. 민요의 역사적 자취 1. 민요의 발생 *신앙 행위를 보조하는 단순한 음률 *집단적 노동의 기본적 동작(호흡) 일치의 필요성: 일정한 리듬감 *개인적 심사의 단순한 표출: 단..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6. 무가의 이해 (2) 6강. 무가의 이해(2) (학습목표) 1. 무가의 특징을 이해한다. 2. 무가의 갈래별 유형에 관한 특징을 파악한다. 3. 서사무가의 내용을 파악하고 그 의미에 관하여 이해한다. 4. 창세신본풀이의 지역적 특징과 변천과정을 이해한다. 1. 무가의 특징 ❶주술성(呪術性) : 除禍招福 ❷신성성(神聖性) : 巫神에 대한 기원. 제물을 차린 후 무가 歌詠. ❸오락성(娛樂性) : 향유집단의 축제적 성격. 공연물. 뒷전거리등. ❹제한적전승(傳承) : 전승담당자의 신분 제한(무당). ❺율문전승(律文傳承) : 4음보격 주류의 본풀이(노래와 말). ❻개방적전승: 외부 종교를 포용하면서 동화시키는 특징. 천수경등 불경·민요·가요·시조 등의 활용 2. 무가의 종류 ❶.교술무가(敎述巫歌) : 請陪(神格呼名. 路程記등). 祭主..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5. 무가의 이해 (1) 5강. 무가의 이해 (1) (학습 목표) 1. 무당의 명칭에 관하여 이해한다. 2. 무당의 유형과 그 특징에 관하여 이해한다. 3. 굿의 유형에 대해 이해한다. 4. 巫神의 특징과 종류에 관하여 이해한다. (한국의 무가) 1. 무당의 명칭 ①슨방(심방제주), 스승(함경도), 사내무당, 할보무당(강원), 박사무당(황해, 평북), 박사,박시,박새,박수당골(단골),화랭이(화랑) : 巫樂演奏 및 巫舞 담당의 武夫/ 독경 점복의 男覡 ②선무당: 가무굿에 숙달되지 않은 무당. 讀經占卜의盲覡: 판수(cf박수) 점장이 .돌무당 (돌바리: 가가방문과 기도점복). 법사. ③殿內: 關帝등을모시는무당으로의뢰인의기원을唱하고점복을행함. 전내마누라, 전내군(北) 關帝: 關聖帝君. 關羽 2.무당의 유형 ①降神巫 -신이내린무당. 巫病..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