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비문학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1. 민속극의 이해(1)

728x90
반응형

11강 민속극의 이해(1) -탈놀이의 기원과 형성, 전승양상과 기본적 특성

(학습목표)

1. 한국 탈놀이의 기원과 형성의 과정을 이해한다.
2. 탈놀이의 전승지역 분포와 지역적 특징에 관하여 이해한다.
3. 탈놀이의 공연 방식에 관하여 이해한다.
4. 탈의 특징에 관하여 이해한다.

 

1. 민속극의 종류

* 탈놀이

* 무당굿놀이

* 꼭두각시놀음

* 발탈

 

2. 한국의 탈놀이

1). 전통 연희의 현장

* 나라 사신의 일정과 행사를 그림으로 그려 놓은 책(17256, 영조1)

* 줄타기 광대와 악사가 서서 반주와 재담을 주고받는 장면

* 이동식 무대:큰 바퀴가 달린 수레 위에 기암괴석과 노송이 조화된 아름다운 산을 제작하여 싣고 인부들이 움직여 다니는 무대.

* 무대 위에 낚시하는 남성, 춤을 추는 여인의 형상: 수레의 규모로 보아 실제 사람 이 올라가서 연희했을 것으로 추정.

* 전통적인 무대 형식의 하나로 인정됨.: 귀한 사람을 영접하거나 궁중의 행사가 있 을 때, 산 수레를 만들어 공연하는 전통이 있었다고 판단됨.

2). 탈놀이의 분포

* 함경도 북청 사자놀이

* 해주·봉산·은율·사리원등지의 해서탈춤

* 송파산대놀이

* 양주별산대놀이

* 강릉관노탈놀이: 대사가 없는 黙劇. 종교적 성격.

* 경북 하회별신굿탈놀이: 굿이면서 탈놀이

* 경남 동래·수영들놀음(野遊)

* 경남 고성·창원·진주·밤마리 등지의 五廣大

 

3). 탈놀이의 기원과 형성

* 伎樂 기원설

* 臺都監 기원설

* 謔之戱 기원설

* 악굿 기원설

* 당굿 기원설

 

4). 한국의 탈

* 탈의 형상

- 양주별산대<말뚝이>

- 봉산탈춤의<취발이>

- 양주별산대 . 송파산대놀이의<미얄>

- 하회별신굿탈놀이의<부네>

 

* 하회 별신굿 탈놀이의 탈<오리나무>

- 얼굴 모습이 각기 다름 : 눈썹 ,, , 입술 모양을 각기 다르게 조각하여 개성 과 인격, 신분이 드러나도록 함.

- 좌우 비대칭의 조형 : 보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표정을 연출할 수 있는 장점.

- 곡선이 길고 면은 깊고도 높게 조각되어서 입체적인 얼굴 : 짙은 명암을 만드어 개성적 특징을 강하게 표출시킨다.

 

* 봉산탈춤의 탈 (종이 탈)

- 종이 탈 : 현재의 제작 방식

진흙으로 탈의 모형 제작 후 건조 -> 석고를 붓고 말림 -> 석고 속의 흙을 파 내고 틀(암컷 틀)을 완성 -> 틀 속에 비눗물을 칠하고 그 위에 한지와 마분지 를 손으로 찢어 수 겹으로 바름 -> 종이 건조 후 분리 -> 종이 탈(수컷 틀)

 

* 양주별산대의 탈 (바가지 탈)

-바가지 위에 얼굴 형태의 높 낮이에 따라 해 묵은 소나무 껍질을 조각하여 붙이 고 삼으로 된 노끈으로 주름살 부분을 만들어 붙인 다음, 그 위에 한지를 바르고 채색하는 방식.

 

* 탈의 지역적 특성

  북부형 중부형 남부형
형 태 傀面的寫實型 彫刻的 寫實型 繪畵的 寫實型
색 채 原色(五方色) 原色 配色 配色 皮膚色
주 재 료 조이 바가지와 松皮 바가지와 나무

 

5). 탈놀이의 공연 방식

* 외 놀이판이 공연 무대: 특별한 장치 없음.

* 해가 지고 난 후 밤에 공연

* 기름 묻힌 솜방망이 불을 장대에 매단 횃불 혹은 장작불이 조명 역할을 함.

:다양한 흔들림으로 인한 조명 효과 확보· 불빛은 대체로 땅바닥에서 위로 투사되 어 광대들은 고개를 15도 가량 숙여 조명에 맞춤.

* 타오르는 불빛 조명의 움직임과 좌우 비대칭, 깊고 높은 면의 골 등과 어우러져 갖가지 형상과 분위기를 표현해 냄. 보는 각도에 따라 탈의 이미지(형상)가 다르 게 느껴짐.

* 물의 등장과 퇴장, 행위의 방식이 형식화 됨.

: 자기소개를 하면서 등장(대방놀이판에 나왔더니···)하거나 춤을 추면서 등장. 혹 은 남의 부름에 의해 등장 .등장 직후 상대와 더불어 대립되는 행위 연출. 퇴장 시에도 춤으로 하거나 행위를 재담으로 마무리 짓고 끝냄.

* 최소한의 형식적 요소위에 인물 개개인의 생동감 있는 즉흥성이 최대한 발휘 되 는 양상: 연희자의 즉흥성, 신명, 재능, 창의력이 중요.

* 연희자들이 악사나 관객에게 개입하고, 상대적으로 악사나 관객은 연희현장에 개 입하는 방식 관객의 놀이판 개입 시 일정한 형식에 따라 개입 (잘 교육된 관객: Well-Educated Spectators)

6). 탈놀이 공연의 실제

* 하회별신굿탈놀이 <양반. 선비과장>

- 자기 폭로의 적나라한 방식 . cf) 오광대의<영노과장>

- ‘祭儀的(제의적) 倒着(도착)’일상성의

* 봉산탈춤<미얄할미 과장>

- 남녀의 대립과 갈등

- 대립과 갈등, 파국과 화해 : 맺힘과 풀림의 미학

 

7). 탈놀이의 연극적 특징

* 구성의 특징

- 과장별 독립성과 연속성.

- 사회비판과 풍자의 적나라한 상황 설정방식

* 관객의 참여와 소요

- 객관적 거리 유지의 방식.

- 연희 개입의 바로 그 순간에 관객으로서의 역할을 인식.

==극에 전적으로 몰입하는 것을 차단: 극의 내용을 거리를 두고 바라보는 관점이 형성되는 특별한 방식 구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