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비문학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5. 무가의 이해 (1)

728x90
반응형

5. 무가의 이해 (1)

(학습 목표)

1. 무당의 명칭에 관하여 이해한다.
2. 무당의 유형과 그 특징에 관하여 이해한다.

3. 굿의 유형에 대해 이해한다.

4. 巫神의 특징과 종류에 관하여 이해한다.

 

(한국의 무가)

1. 무당의 명칭

(심방제주), 스승(함경도), 사내무당, 할보무당(강원), 박사무당(황해, 평북), 박사,박시,박새,박수당골(단골),화랭이(화랑) : 巫樂演奏 巫舞 담당의 武夫/ 독경 점복의 男覡

무당: 가무굿에 숙달되지 않은 무당.

讀經占卜盲覡: 판수(cf박수) 점장이 .돌무당

(돌바리: 가가방문과 기도점복). 법사.

殿: 關帝등을모시는무당으로의뢰인의기원을하고점복을행함. 전내마누라, 전내군() 關帝: 關聖帝君. 關羽

 

2.무당의 유형

神巫

-신이내린무당. 巫病. 신딸과신어머니의관계. 내림굿. 몸주신(무당의수호신).

- 巫業의 학습과정(굿의절차, 무가의사설, 춤과무악, 굿상차리기, 제물만드는법, 각종장식물 만드는법 등).

襲巫

-전라도 지역의 당골이 대표적. 姑婦간의 세습전통. 巫系通婚

- 무병이나 내림굿 없음. 學習巫. 대개가 여성무당(세습무집단의 남성은양중으로 대체로 무악연주 및 무당굿놀이 몇 대목을 주재함.) 현재 동해안 세습무 집단 經巫

-을 읽는 무당. 선신을 청하여 역귀나 악귀를 몰아내는 역할. 남성이 다수.

- 앉은굿(강신무와 세습무의 경우는 선굿’)

 

3. 굿의 유형과 절차

-집 굿(가정 굿) : 재수 굿. 우환 굿. 치병 굿. 망자 굿.

-을 굿: 마을의 안녕과 풍요기원. 마을사람이 비용 분담. 다수의 무당 참여. 제의와 축제의 성격 공유.

-신 굿: 무당 자신을 위한 굿. 내림굿. 진적 굿(몸주신을 위한 굿. 강신무 자신의 재수 굿).

 

4. 굿의 기본 구성

請神 ( 請陪 ) ==> 娛神 ==> 送神

 

5. 굿의 양상 : 내림굿의 사례

.神巫의구체적 사례: 김금화 萬神의 채희아 내림굿(1981. 6. 22.)

神病(巫病) : 유년 시절부터 굿 놀이 흉내. 全身移動性 疼痛 증세.

각혈. . 乞粒. cf) '인다리' 놓는 현상

쇠걸립: 쇠타령을 하면서 춤을 추고 쇠를 받음. 巫具 제작에 활용.

cf) 김금화 만신의 무구는 쇠걸립해서 맞춘 것과 신어머니에게서 받은 것으로 구성되어 있음.

. 채희아: 경기여고. 서울음대 국악과 졸업. 미국 U.C.L.A.에서 종족무용학 M.A.수료. 문예진흥원에서 황해도 굿 동영상 자료를 보고 신들림.

.림굿의 방식

-허침굿(허튼굿, 허주굿) : 신이 내린 사람의 몸에 들어 있는 잡신, 곧 허튼귀신을 헤쳐 버리는 굿

-내림굿: 올바른 큰 신들을 몸에 내리게 하는 굿

방울과 부채 감추기

神名 고하기와 神服 찾기

숨겨진 방울과 부채 찾기

말문 열기(공수)

녹 타기

==뚜껑을 덮은 주발 7개에 청수, , , 흰콩, 여물, 뜨물, 돈을 넣어두고 선택

머리 풀고 다시 올리기

==청수를 소나무가지로 축여 머리에 뿌린 후 머리를 빗겨 비녀를 다시 꽂아줌

巫具던져주기

-솟을굿(소슬굿) : 내림굿을 하여 영검이 솟아나고 신도 솟아나고 사람도 솟아 뜬다는 의미의 굿. 작두를 타면서 공수를 줌.

 

.림굿의 의미

. 현실에서의 분리 : 신들림. 무병. 빙의 -인격의 解離 현상(현실 속의 자신과의 분리). 허튼굿을 통한 자신의 정화.

. 고난과 시련

=내림굿을 통한 탐색의 과정: 巫服. 巫具

=능력의 顯示 과정: 말문열기. 녹타기. 작두타기등

=학습과정: 굿을 주재하는 방식. 마음가짐.

. 새로운 존재로서의 현실 복귀: 독립적인 무당으로 인정받기. 방울과 부채를 신어머니로부터 받음.

.<무당내력>에서의 몇 가지 굿거리

- 제석거리

-호구거리

-성조거리

-뒷전

 

6. 무신도의 양상

삼불제석

칠성신

산신령

서낭신

서낭신 부부

감응신령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