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비문학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7. 민요의 이해 (1)

728x90
반응형

7강 민요의 이해 (1)

A. 민요의 개념

 

1. ‘의 동양적 전통

* 詩經 : “악기의 반주가 없이 부르는 노래를 라고 하고 악기의 반주를 수반하는 것을

 

2. 민요의 기본적인 특징

*악성과 문학성의 총체적 산물

*자와 청자의 未分

*활의 경험과 일상사의 감정을 진솔하게 표출

*의 현장(삶의 방식)을 바탕으로 전승

*역적 특징의 적극적 반영

*중 향유의 口碑傳承物

*문적 창자가 아닌 예사사람의 가창물 cf) 무가, 판소리

*能的이면서 동시에 自足的인 노래: 타인의 평가에서 자유로움. cf) 판소리

 

B. 민요의 역사적 자취

 

1. 민요의 발생

*신앙 행위를 보조하는 단순한 음률

*집단적 노동의 기본적 동작(호흡) 일치의 필요성: 일정한 리듬감

*개인적 심사의 단순한 표출: 단순하고 일정한 리듬감

 

2. 삼국시대까지의 민요

*대 민요와 배경설화의 연결형태:

-上代詩歌 公無渡河歌, 海歌, 黃鳥歌, 龜旨歌

*羅 鄕歌의 민요적 성격

- 풍요(勞動謠), 서동요(童謠), 처용가(呪術的民謠, 巫歌)

*句麗不傳 歌謠

*不傳 歌謠

*不傳 歌謠

*동요의 전승 가능성

-농업, 어업, 토목등생산방식의발전에따른민요의형성과전승

 

3. 고려시대의 민요

*려가요의 민요적 성격 - 動動(寡婦相思謠), 상저가(방아노래), *事民謠 성격의[月精花] : <高麗史> 樂志 俗樂條 - cf)진주난봉가 *동요의 전승 가능성

- 移秧法의시행과모심는소리(정자소리)’(14세기전후영남지역

 

4. 조선시대의 민요

*희맹의 <금양잡록>農謳十四章’: 논매는 소리를 바탕으로 구성

후렴부분: 뇨응아지리(慢調: 느린박), 확자고로롱(促調: 빠른박) *·성종·중종 조에 민요 채집: 통치의 방식

*思質<於難難曲> : 상사소리(모심는 소리)

山有花兮皐有蘭 산유화여! 고란초여!

皐蘭長翠山花丹 고란은 길고 푸르고 메나리는 붉네.

千年萬歲君不老 천년 만년 우리님 늙지 마시라

暮暮朝朝看不看 저녁마다 아침마다 보고지고 보고지고

於難難 어럴럴 (상사디야)

*최승대의 <별헤는소리>

初月上中閨 초승달 규중에 떠오르니

女兒連袂出 계집아이들 어울려 나오네.

擧頭數天星 하늘보고 별을 헤는데

星七儂亦七 별 일곱 나 일곱.

 

*통속민요의 등장: 雜歌의 부상과 전문 가수(양산도, 방아타령등)

*민요의 한역과 민요 한시

* 잡가중 유산가들어보기(경기명창 박춘재)

 

5. 시대의 변화에 따른 민요의 分化

*토민요(鄕土民謠) : 전통사회의 민중들의 노래.

*속민요(通俗民謠) : 잡가 전문음악인에 의한 민요풍의 노래.

*민요(新民謠) : 음반판매 목적으로 특정인의 작사·작곡으로 제작된 노래. 곧 일제강점기에 등장한 민요풍의 대중가요

 

C. 민요의 일반적 기능

.단한 삶을 즐기는 방식으로서의 민요

. 동의 효율성

. 술적 기능

. 물 생장의 실제적 효능

. 식의 진행

. 희의 수단

. 태비판의 기능: 정치적 기능

. 단의결속력강화: 지역적 동질성 확인 및 강화. 地緣意識

 

D. 민요의 형식

 

1. 음보격

.1음 보격: 급격한 느낌. 빠른 동작의 노동요. (보리타작노래)

ex) 잘도한다단둘이하드라도열쯤이나하는듯이 (보리타작)

.2음 보격: 빠른 동작. (땅다지기, 맷돌노래, 놋다리밟기)

ex) 하늘이가 높다더니밤중샛별이 중천에 떴네

하늘이야 높다구해도밤중전에 이슬진다 (땅다지기)

.3음 보격: 4음보격에 비해 경쾌한 느낌.(아리랑, 한강수타령, 둥당이타령)

ex) 이씨의 사촌이 되지말고민씨의 팔촌이 되려무나 (본조아리랑)

.4음 보격: 장중한 느낌. 가장 흔한 형식. (모내기노래, 어사용등)

ex) 구야구야 가마구야 기리산 갈가마구야에이에 니새끼 검다고 한탄말어라거치 검지 속조치랑 검을손야올게낳은 햇가마구야 작년에낳은 묵은가마구야에이두손으는 엄마품에옇고 두발으는 아바품에옇고

 

2. 사설 잇기 방식

.斂句를 수반하여 ()을 이어나가는 형식 : 산고산타령, 강강수월래, 맷돌노래, 진도아리랑. 분련체. 후렴으로 ()의 구분이 이루어짐.

斂句 없이 辭說을 이어서 부르는 형태 : 베틀노래, 이생원네 맏딸애기. 연속체.

 

E. 민요의 가창 방식

.: 아리랑, 신고산타령등. 齊唱가능. cf) 復唱

-후렴이 있는 경우, 선후창으로 전환 가능.

-후렴이 없는 경우, 선후창·교환창 전환 불가능.

後唱: 강강수월래, 맷돌노래, 상여소리, 달구질노래 등.

-선창자대후창자= 1/ 11

-선창자: 후렴을 제외한 사설선창. 가창력, 사설보유능력, 즉흥적 사설 구성 능력 필요.

-후창자: 후렴담당

.換唱 : 모내기노래, 놋다리밟기, 정자소리, 징금이타령 등 -선창자와 후창자가 모두 사설을 가창하는데에 참여하는 방식.

-선창자대 후창자= / 1/ 1 /11

-선창자의 사설 선택제약. 즉흥적 사설구성제약.

선후창·교환창·독창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