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비문학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2. 민속극의 이해(2)

728x90
반응형

12강 민속극의 이해(2)

(학습목표)

1. 한국 인형극의 구성 방식을 이해한다.
2. 인형극의 등장인물 상호간의 관계를 이해한다.
3. 인형극의 드러난 비판의식을 이해한다.
4. 무당굿놀이의 성격을 이해한다.
5. 무당굿놀이의 종류를 이해한다.
6. 무당굿놀이에 드러난 민중의식을 이해한다.
7. 한국 민속극의 특징을 포괄적으로 이해한다.

 

1. 한국의 인형극(꼭두각시놀음)

1).남사당의 공연물

- 풍물, 버나(대접 돌리기), 살판(땅재주), 어름(줄타기), 덧뵈기(가면무극), 덜미(꼭 두각시놀음), 발탈

 

2). 인형극의 전통

- 중국원나라<文獻通考> : 당나라 이적 장군이 고구려 멸망 후 괴뢰(傀儡)를 자국 에 바쳤다는 기록: 고구려의 인형극이 당나라의 그것과 달라 승전 기념물로 가지고가서 황제에게 헌납한 것으 로 추정 가능. 한편 고구려의 인형극이 우수한 수준이 었음을 암시. 인형뿐만 아니라 인형사, 악사 등이 함께 잡혀가 황제 앞에서 공연한 것으로 추정 가능

- 인형의 이칭: 傀儡, 鬼儡, 面魁, 木偶 .

- 꼭두각시의 어원

=중국 6세기 인형을 곽독(郭禿): 작대기 끝에 머리를 붙여서 만든 인형

=곽독() 꼭두() 쿠구쯔(クグシ: )

=골어“qodor' : 가면, 신성, 성인이라는 어휘의 어근.

=마교의聖人: 호도극도(呼圖克圖) : “qodor”音借로 이해가능

 

3). 꼭두각시놀음의 주요 등장인물

- 박첨지

=백발노인의 형상

=실적이고 본능적인 인간성 표출

=설자의 역할

=태의 배경과 원인서술중 인물로 직접 참여

=>객에게 자신의 입장을 친숙하게 드러내고, 친화력을 갖도록 함.

=관적 의도를 객관화시키고, 객관적인 행위를 통해 자신의 입장을 설득시킴으로써 서사화와 현장성의 효과를 높이는 구실을 함.

-홍동지

=첨지의 조카

=신이 적색의 나체 인형

=이 장사인 인물(力士의이미지) : 이시미를 잡아 껍질을 팔아 돈을 버는 인물 =<상여거리>에서 노골적인 언행으로 적대감 표현 안감사의 횡포와 虐政을 제시(매사냥)

=면적 협력자와 이면적 비판자의 역할 안감사의 장례, 평안감사 모친의 장례( 상여거리)

# 시신을 앞에 두고 오뉴월 개 썩는 냄새가 난다.

#‘암상여’(평양감사의 모친상여)이므로 자신의 생식기로 밀고 간다.

# 나체로 상여를 메고 간다.

-꼭두각시

=박첨지의 본처. 표생원의 본처.

=갈색의 얼굴색. 백색과 남색의 반점. 비뚤어진 입모습. 초라한 복색의 추녀.

=첨지, 덜머리집과의 대립과 갈등

-덜머리집 (돌머리집)

=박첨지의 첩실

 

4) 꼭두각시놀음의 주요 거리

=박첨지유람 거리: 박첨지의 등장 사연.

=조리 거리: 상좌()들이 박첨지의 질녀와 놀아남. 박첨지가 조카인 홍동지를 불러 중을 내쫓는 거리.파계승에 대한 풍자.

=두각시 거리: 꼭두각시와 박첨지, 돌머리집의 대립. 가정의 파괴.

=시미 거리: 박첨지의 횡액. 홍동지의 구출.

=사냥 거리: 평안감사의 매사냥. 꿩 사냥.

=여 거리: 평안감사 대부인의 장례. 상도꾼의 발병으로 홍동지가 상여를 맴.

=절 짓고 허무는 거리: 평안감사 대부인의 극락왕생 기원. 남사당의 생활과 사찰의 관련성. 남사당의 절乞粒 수익의 寺刹 供與. 기존의 모든 것에 대한 부정과 파괴의 관념.

=무대[포장(布帳)] : 3m 평방에 네 기둥을 세우고 무대면이 되는쪽 만1.2m 높이 위에 인형이 나와서 노는 가로2.5m세로0.7m 정도의 무대만 남겨두고 사방을 포장으로 둘러침 .白布사용기록 (김재철조선연극사)있으나 지금은 黑布帳을침.

 

 

5). 꼭두각시놀음의 공연 실제

-꼭두각시거리(박첨지, 꼭두각시, 덜머리집 등장)

=대립과 갈등, 그리고 파괴: 남사당의 당시 사회적 차별성에 기인한 것으로 이해 가능 cf) 탈놀이의 <미얄할미 과장>,

무당굿놀이의<골맥이 할매·할매거리>

 

6). 기타

-근대 이후 현존 연희자의 본적이 대개 경기, 충청, 전라지역

-평안감사, 황해도龍岡이시미, 황해도 영노 등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해서지방과 관련성 추정

-이전에는 밤에 공연(장대에 매단 솜방망이 불 조명: 인형이 출현하는 부분만 밝힘으로써 관객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효과)

-받이: 모든 인형과의 대화를 주고받는 역할. 판소리의 고수와 유사한 기능. 관객과 연희자의 간격을 극복하는 역할

==사람(마을 사람)이 담당(김재철)

 

2. 한국의 굿놀이

<경기도 양주 소놀이굿>

19801117일 중요무형 문화재 제70호로 지정되었다. 단독으로 연희되지 않고 경사(慶事) 굿의 한 거리로 놀며, 제석(帝釋)거리에 이어서 행하여진다. 제석거리가 끝나면 그 복색 그대로 무당이 마루에서 안마당을 향해서고, 악사들도 무악(巫樂) 반주를 위하여 역시 안마당을 향해 마루에 앉으며, 소놀이굿의 주인공들인 원마부(元馬夫)와 곁마부는 마루 앞마당에 선다. 그 옆에는 멍석을 뒤집어쓰고 고무래를 짚으로 싸서 머리를 만든 가장한 소가 송아지를 데리고 선다. 이와 같이 무대가 제석거리의 주무대인 마루에서 마당으로 옮기고 주역(主役) 또한 무당에 서마부로 바뀌어, 무당과 마부의 대화, 마부의 타령과 덕담, 마부와 소의 동작과 춤 등으로 엮어지면서 굿이 진행된다. 이 때 마부가 부르는 타령은 극히 세련된 평민가사체(平民歌辭體)의 노래로 잡가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이 놀이는 우마숭배와 농경의례인소멕이 놀이에 기원을 두고 무속의 제석거리와 마마배송(拜送)굿 등에서 자극되어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1). 소놀이굿의 기본적인 성격

-경사굿의 일환

-에 의해서 주재되는 신성한 의례의 일환

-원의례와 농경의례의 성격

-절한 비중을 갖춘 재담과 타령에 의해서 진행되는 독립적인 놀이굿의 형태

-과놀이, 서사와 희곡의 경계선면에서 양쪽을 포괄하는 형식

-어주술에 의존하면서도 내용과 형식의 부조화와 괴리로 인하여 세속적인 것과 신성한 것의 대응양상이 생경한 채로 등장하는 특징

=소놀이굿을 계기로 현실적 세계의 다단한 환기와 함께 신성한 소에 관한 주술을 일반화하는 방식

 

2). 소놀이굿의 구성

제석굿의 주바지

-신을 맞이하는 신성한 請陪의식.

-받이는 무당, 장구잽이가 복창: 만수받이가창방식

마부의 등장과 내력, 그리고 소의등장

-무당이 마부를 호출. 마부등장

소의 모색치레

-성한 것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 세속적인 것으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종의 단층이 발생

-성과 세속의 대립과 차별성 발생술에서 예술로의 전이 과정, 굿에서 놀이로의 직접적인 전환 과정

소의치장치레

소의 논밭 갈기와 글 가르치기

-소의 의인화. 소가 장성하여 사람말을 알아들을 수 있어야 하고 그래야 원하는 대로 부릴 수 있다는 관념

고사·. 축원. 덕담

-마부와 소에서 의식의 초점이 이동. -람의 씨앗이 제석굿에서 섬겨지듯이 곡식의 씨앗이 함께 열거 됨.

사람의 근본을 아는 것처럼 곡식의 근본을 아는 것이 중요 (언어주술적 성격)

소 흥정 내력과 勸酒

-소 장수 등장과 소 흥정.

-례가 연행예술로의 전환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단층

-통 소에게 여물을 먹이고 대접하면서 굿을 마치고 뒷풀이를 하는 게 상례

 

3). 소놀이굿의 공연 실제

-소의 모색 치레

-의 논밭 갈기와 글 가르치기

 

3. 골맥이 할매. 할배 거리 : 동해안 지역 굿놀이

1). 마을 守護神으로서의 男女神(夫婦神)

.골맥이 수부 영감 할마님 착실히 불러줘야 이 동네가 편탄다.”

2). 골맥이 할매의 多産性

. 집가기 전에 일곱 자식, 시집가서 여섯 자식 생산

3). 골맥이 할매의 바람

: 총대(마을대표: 젊음) : 신과 인간의 결연

4). 골맥이 할배와 총대

: 대립적 관계를 넘어선 신과 인간의 관계

5). 신과 인간의 소통을 통한 풍요와 안녕의 기원

 

4. ‘무당굿놀이’. ‘탈놀이’. ‘꼭두각시놀이의 상관성

굿놀이골매기 할매 총대 :: 골매기 할배

탈놀이영감 덜머리집 :: 미얄할미

인형극박첨지 덜머리집 :: 꼭두각시

굿놀이일상사의 사소한 모습을 확대하고 희화화

# 흉내

-관객을 웃기는 일이 중요(굿의 여흥, 축제)

-지나치던 경험을 파격적으로 확대

-내를 통한 웃음은 그리 절박하지 않는 문제를 다룰 때 택하는 방식

탈놀이부정과 긍정의 긴박한 갈등에의 몰입

# 싸움

- 대립과 갈등을 통한 부정과 긍정, 그리고 화해의 경험

인형극기존의 권위와 관념 파괴의 충격

# 파괴

- 최하층 천민집단의 시각

- 파괴를 통한 부정

 

5. 한국 전통연희의 가치와 계승

-현장중심의 연희와 즉흥성을 통한 신명의 발현

-‘의 연희문화: 치장하고 꾸미는 연행현장이 아니라 삶의 공간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연행현장

-이판(세시풍속놀이포함)이면서 소리판(판소리포함.)이고 재담판이요 고단한 삶을 비판하고 고통을 신명으로 푸는 맺힘을 풀어내는 판이요, 공동체 구성원이 대등하게 참여하고 향유하는 어울림의 판으로서 가치인식

-의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살아가는 이치를 관념적이 아닌 구체적인 양상으로 인식하고 비판하는 소통의

-양의 연희이론을 이미 포괄하면서 구현하고 있는 총체적 연희의 양상제시

-을 튼다는 의식을 통하여 일상사의 질서를 뒤집고 새로운 경험을 집약적으로 취하는 계기

-장의 경험이 후에 다시 일상사로 돌아가 삶의 활력을 회복하려는 지혜가 녹아 있는 연희의 방식과 내용

-대적 계승의 동력 약화 혹은 상실이 현실임을 인식하고 축제문화의 소중한 유산으로 전승하고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됨.

-전통 세시풍속과 연계된 연희물의 창조적 전승노력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