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비문학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3. 수수께끼와 속담의 이해

728x90
반응형

13. 수수께끼와 속담의 이해

(학습목표)

1. 수수께끼의 개념과 유형을 이해한다.
2. 수수께끼의 기능에 관하여 이해한다.
3. 서사문학 내에서의 수수께끼의 활용 양상을 파악한다.
4. 속담의 개념을 이해한다.
5. 속담의 유형과 기능에 관하여 이해한다.

 

1. 수수께끼의 이해

<수수께끼란 무엇인가>

.수께끼의 의미

-수수: ‘숨은 것을 찾아내다. cf) 숨바꼭질

-께끼: ‘겻구기(겨루기)’께끼

=물음() 속에 숨어있는 답을 찾아내는 일종의 겨루기놀이. 연어유희의 놀이

-異稱: 수수적기(강원강릉), 식끼저름(경남동래), 숭키잽기(전북남원)

.수께끼의 특징

-물음과 답하기로 구성

-演時 화자와 청자의 쌍방참여

-루기의 형태: 유희적·오락적 성격

-意的 誤導性의 장치

-히 단순한 묘사 활용

-유적 표현의 활용

-물이나 현상의 외양, 속성, 특징을 적극적으로 활용

.수께끼의 전통

-영웅적 자질, 비범한 능력을 판별하는 기능으로서의 수수께끼

-희랍의 스핑크스-외디푸스이야기

=처음엔 네 발로 걷고, 다음엔 두 발로 걷고, 마지막으로는 세발로 걷는 것은 무엇인가?

-주도 창세신화(천지왕본풀이)人世차지경쟁담’: 대별왕과 소별왕의 지혜 대결

-國史記 瑠璃王元年

=일곱 모가 난 돌 위 소나무 아래에 감추어 두었다 -三國遺事 卷二 文武王 法敏條

=우리집은 황룡사와 황성사의 두 절 사이에 있고 내 이름은 단오다.

-‘수수께끼담의 전승: 수수께끼가 중심이 되어 서사가 전개되는 이야기

=설화<孔子와아이의문답> (교재 319면 참조 )

-수수께끼를 근간으로 하는 노래의 전승

허리는 허리고 각설아 질거질거 잘하네

뛰는 고리는 개고리 거는 고리는 문고리

얼허라 품바 각설아 질거질거 잘하네

입는 고리는 저고리 거는 고리는 문고리

리는 고리인데 뛰어다니는 고리는? 개고리(개구리)

.수께끼의 유형

-시늉에 관한 것

형묘사: 사물의 외형, 글자의 외형. 그림 수수께끼

덩이에 뿔난 것은? 솥뚜껑

은이가 지팡이 짚은 글자는? ()

, , 세 글자들을 키가 작은 순서대로 배열하면?

--(다리가 붙은 위치)

그림은 무엇이게?

솥뚜껑으로 쥐를 잡은 것

<동작 묘사>

내려올 때는 완행, 올라갈 때는 급행인 것은? 콧물

일하러갈 때마다 키를 맞대보는 것은? 젓가락

한번 웃으면 이가 다빠지는 것은? 밤송이

놈이 잡아당기면 다섯 놈이 들어가는 것은? 버선(양말) 신는 것

<성질 묘사>

무리 실어도 더 이상 무거워지지 않는 것은? 신문

맞아야 사는 것은? 팽이

의 입으로 먹고 사는 사람은? 치과의사

 

-소리에 관한 것: 音似省略

<類似性 : 同音異議語>

조금만 나와도 쑥 나왔다고 우기는 것은?

에 가서 못 사오게 했는데 기어이 사오는 것은?

아무리 잘 박아도 못 박았다고 하는 것은?

갔는데도 가지 못한 곳은? 巨津

<漢字을활용한수수께끼>

달리다가 한 글자는? : 치마 상(馳馬傷)

듭 때리기만 하는 글자는? : 또 차

깥에서 부르는 글자는? : 나 오

건 팔면서 반말하는 글자는? : 실 사

상에서 제일 조용한 글자는? : 아들 자

<省略>

은 떡인데 못 먹는 떡은? 목 넘어갈 때 꿀떡, 넘어졌다 벌떡

늘에 떠 있는 개는? 안개, 솔개, 번개, 무지개

새 중에 가장 작은 새는? 눈 깜짝할 새

계에서 가장 큰 코는? 멕시코

 

-슬기에 관한 것

<방법을 묻는 것>

탄이 석유가 되게 하려면? 석탄을 팔아 석유를 산다.

대기가 하나 놓여있는데, 이 막대기에 손을 대지 않고 짧게 만들려면 어떻게 하나? 그보다더긴막대기를그옆에가져다놓으면된다.

<이유를 묻는 것>

폴레옹이 부하들에게 돌격!”하고 명령했는데, 아무도 움직이지 않았다. 그 이유는? 한국어로 말해서

양이가 다릴 건너다 오른쪽을 보았다가 왼쪽을 보았다가 했다. 왜 그랬을까? 한꺼번에 양쪽을 다볼 수 없어서

<선택을 묻는 것>

장인하고 매부의 장인하고 동시에 물에 빠지면 누굴 먼저 구하나? 매부의 장인(자기의 아버지)

쪽에서 바람이 부는데, 서산대사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길을 가고 있었다. 머리카락은 어느 쪽으로 날리는가? 서산대사는 머리카락이 없다.

<를묻는 것>

끼 세 마리가 있다. 아버지 둘과 아들 둘이 있는데, 각각 몇 마리씩 가지면 될까? 한 마리씩(할아버지(아버지)-아버지(아들)-아들이니까)

내형제만 7명인데, 제 각기 아래로 누이동생 1명을 가지고 있으면 몇 남매인가? 8남매(누이동생이 막내니까)

9 네 개와 부호 하나를 이용하여100이 되게 하려면? 99+9/9=100

<寸數를묻는 것>

삼촌의 어머니의 딸은? 제 어머니 혹은 이모

물건 주인의 어미는 저의 아비의 어미요, 저의 아비의 어미는 이 물건주인의 어미라면, 누구 물건인가? 제 아버지 물건

 

-文字에 관한 것: 破字의 의미를 활용한 수수께끼. 수수께끼 담에 빈번하게 활용 됨.

무 위에서 나팔 부는 글자는? : 또우자이니,,이다.

른이 아이에게 물었다. “나이가 몇 살이냐?” 아이가 말했다. “밭둑이 무너진 나이 입니다.” 몇 살인가? 열살: 의 네 둑을 없으면(열 십)

웃집 총각이 연애편지를 이렇게 보냈다. “岑上豈有山 昊下更無天 腋中半月橫 木邊兩人開무슨 뜻이지? 今日夜來(오늘밤 오세요)

.수께끼의표현과형식

<물음(질문)>

표현의 방식

: 먼 데서는 보이는 데, 가까이서는 안 보이는 것은? 아지랑이

省略: 슴이 슴을 먹고 슴이야 슴이야 하는 것은? 머슴이 점슴(점심)을 과하게 먹고 가슴이야 가슴이야 하는 것

: 모자를 쓰면 하나이고 벗으면 둘인 것은? 콩나물

: 깎을수록 커지는 것은? 구멍

크면 클수록 값이 떨어지는 것은? 물건의흠 집

重義: 꼭 닫아도 다 닫지 못하는 것은? 반닫이

문항이 비합리적이고 비상식적인 것으로 기술된다.(대조)

을 감으면 보이고, 눈을 뜨면 안 보이는 것은?

리면 보이고, 안 가리면 안 보이는 것은? 안경

나의 답을 설정할 수 있어야하며, 둘 이상의 답을 설정하는 경우는 극히 예외적이다

 

문장의 형식

문형: 신나게 잘 노는 자는? 지화자

문형

조형: 젖은 옷은 입고 마른 옷은 벗는 것은? 빨래줄

열형: 윗 동네에서는 연기나고 가운데 동네에서는 벌레가 생겼다고 야단이고, 아랫동네에서는 불이 났다고 난리가 난 것은? 밥하는 것

설화형: 수수께끼담

<답함(응답)>

語型

文型: 박생원이 병이 나서 송생원이 침을 주고 노생원이 고치는 것은? 깨어진 박을 송곳으로 뚫어 노끈으로 꿰매는 것이다.

句型: 목을 다친 사람은 어떻게 잘까? 눈감고

.수께끼의 기능과 효과

-문학적 표현의 생활화

-물의 본질과 특성을 인식하는 교육

-적능력을 함양하는 기능

-어생활의 활력소

 

2. 속담의 이해

1). 속담의 개념과 특징

-민중의 일상생활 속에서 생성된 관용표현의 하나

-편적 의미를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됨.

-일정한 기능을 갖는 세련된 말

 

<속담의 특징>

-속담은 사회적 산물이다.

-속담에는 민중의 생활철학(삶의 지혜)이 반영되어 있다.

-속담은 교훈, 경계, 풍자 등의 교육적 효과를 갖는다.

-속담은 구어를 주로 사용하며, 비속어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속담은 향토성을 반영한다.

-속담은 시대상을 반영한다.

-속담은 간결한 형식을 취한다.

-속담은 언어생활을 윤택하고 다채롭게한다.

 

<속담의 異稱>

==옛말, 俚言, 俗言, 常言, 常談

 

2) 속담의 전통

-三國遺事 卷五(욱면비염불서승조)

=일이 바빠서 大家집 방아를 재촉한다.(己事之忙 大家之 促)

내 일 바빠 한 데 방아

-三國遺事 卷二(수로부인조)

=뭇 사람의 입은 쇠도 녹인다.(衆口鑠金)

-고려가요 <정석가>

=구은 밤 닷 되를 심고이다. 그 바미 우미 도다 삭 나거시아

군밤에 싹이 날까

-世宗實錄: 高麗公事三日

- 한자성어에서 유래

=五十步百步, 朝三暮四, 吳越同舟

-속담 자료집

홍만종의<旬五志>

덕무의<冽上方言>

재삼의<松南雜識>

약용의<耳談續纂>

자미상의<東言解>

上方言의사례

看晨月 坐自夕 새벽달 보려고 초저녁부터 앉았다.

獨木橋 寃家遭 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

谷無虎 先生兎 호랑이 없는 골에 토끼가 선생 노릇한다.

-소설에서 유래

억지춘향: 春香傳

자룡 헌 창 쓰듯: 三國志

하고 쌈 안하면 그만이지: 三國志

길동이 합천 해인사 털어 먹듯洪吉童傳

大成이 모양 잠만 자나蘇大成傳

-특정 지역 연관 속담

平澤이 무너지나 牙山이 깨어지나

에서 뺨 맞고 漢江에서 눈 흘긴다.

저분하기는 五間水 다리 밑이라.

江景으로 꾸러간다.

 

3). 속담의 유형과 기능

(개별적 의미 진술항 A / 보편적 의미 진술항 B)

A

은 값이면 다홍치마(同價紅裳)

도 차면 기운다.

丹靑 구경

A+A

잔 술에 눈물 나고 한 잔 술에 웃음난다.

각각 흉 각각

는 방망이 오는 홍두깨

A+B

은 새 옷이 좋고 사람은 헌 사람이 좋다

百金으로 집을 사고 千金으로 이웃을 산다.

이 아니면 건너지 말고 人情이 아니면 사귀지 마라..

B

떨이와 부자는 모일수록 더럽다.

부싸움은 칼로 물 베기

자는 망해도 3년 먹을 것이 있다.

B+B

되면 제 탓, 못되면 祖上

으로 안 오고, 는 홑으로 안 온다

집 자랑 반 미치기, 자식 자랑 온 미치기 .

 

4).속담의 기능

<敎訓型: 교훈과 警戒의 목적>

간사의 보편적 이치를 드러내는 것: 달도 차면 기운다.

간사의 처세를 드러내는 것: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있다

간의 심성과 품성, 심리를 드러내는 것: 집에서 새는 바가지

들에 나가도 샌다.

<諷刺型: 풍자와 비판, 조롱의 목적>

물가서 숭늉 찾는다.

대 밑에서 호랑이 잡는다.

반 못 된 것이(시장)에 가서호령한다

<表現型: 표현하여 드러내는 데에 중점을 두는 속담>

녁 굶은 시어미상

장에 풋고추 박히듯

보름 쇠듯

5). 속담의 내용

<人間事體驗的 理致>

째 며느리 보아야 맏며느리 착한 줄 안다.

대 밑에 더벅머리 셋이면, 날고뛰는 놈도 별 수 없다.

<人情描破>

이 들이 굽지 내 굽나.

의 굿에를 가도 자루 아홉 가지고 간다.

간에 갈 적 마음 다르고 올 적 마음 다르다.

<性品描破>

굿 뒤에 날장구 친다

도 모르고 침통 흔든다.

눈도 모르고 조복 마른다.

<社會的 弱者를 견인한 속담: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 반영>

= 의비하

자는 제 고을 장날을 몰라야 팔자가 좋다.

자 셋이 모이면 나무 접시가 드논다.

시는 돌리면 깨지고 여인은 돌리면 버린다.

=장애를 가진 자

님 제 닭 잡아먹듯

어리 소를 몰고 가듯

어리 삼신이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