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동양철학산책

(9)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등 동양철학산책 핵심 요점 요약 정리 9. 동서양의 대화는 가능한가 제 9장 동서양의 대화는 가능한가 1. 동양과 서양의 세계관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서구 근대과학이 물질적 풍요와 편리함을 가져다주었지만, 인간소외와 환경위기 등의 부작용을 낳은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부작용이 심각해지면서 과학기술에 대한 반성 혹은 환경위기에 대한 대안으로 생태주의 혹은 동양철학이 떠올랐다. 한마디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동양철학에서 보는 자연에 대한 프로그램은 초월주의를 거부하는 인간학에 밀착되어 있다. 서구과학의 관점은 주관과 객관, 인간과 자연, 중심과 주변, 실체와 현상이라는 이분법을 낳았다. 반면에 동양인이 보는 세계는 천지와 만물이 통합된 개념이며, 초월적 지위의 천지만물 창조자는 없다. 단지 만물이 운동하는 운동의 주재자만이 세계를 초월한 외부가 아니라 만물 내부에 있을 뿐이..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등 동양철학산책 핵심 요점 요약 정리 8. 실학 제8장 실학 1. 실학이란 무엇인가? 실학은 조선 후기의 사상이다. 실학자들은 실증과 실용을 바탕으로 의리보다 박학(博學)을, 실천을 중시하는 원시유학 정신의 회복을, 청대 고증학적 방법의 수용을 주장하였고, 리보다 기를 중시하였다. 실학에는 민주주의․자본주의, 근대 자연관과 인간관, 민족주의의 요소가 있다고 평가된다. 임진․병자 양란 이후 조선은 생산 기반이 무너지고 신분 질서가 흔들리며, 정치세력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하지만 18세기 무렵 생산력이 다시 늘고, 신분변동이 어느 정도 자유로워졌으며, 탕평책으로 붕당의 폐해가 일부 회복되었다. 이 같은 발전상도 중요 요소로 작용하였다. 대외적으로는 명나라가 망하고 일본이 부각되면서 동아시아 질서가 재편되었고, 서양 문물이 들어왔다. 명의 멸망 이후 지식인..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등 동양철학산책 핵심 요점 요약 정리 7. 한국불교 제 7 장 한국불교 1. 한국불교의 특색 한국 불교는 불교의 연기관을 받아들인 한국인들이 발전시킨 특유의 불교이다. 근대의 어떤 학자는 “인도와 서역의 불교는 서론적 불교이고, 중국의 불교는 각론적 불교이며, 조선의 불교가 최후의 결론적 불교이다.”라고 하고, “인도의 원천적 불교, 중국의 분파적 불교에 대하여 한국은 원효, 보조에 의하여 최후의 회통 불교를 실현하였다.”고 주장하였다. 일반적으로 인도나 중국, 일본과 다른 한국불교의 특성은 일승(一乘)과 일미(一味)의 인식틀로 전개된다는 점, 즉 독창성과 더불어 종합성을 강조하는 면에 있다. 이를 ‘통불교(通佛敎)’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다른 나라의 사상가들이 자기 종파의 교설에만 충실하였던 반면에, 한국 불교 사상가들은 불교를 받아들인 이래 어느 종파..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등 동양철학산책 핵심 요점 요약 정리 6. 중국불교 제 6 장 중국불교 1. 사상적 배경 불교는 기원전 6세기에서 4세기 경 『베다』의 전통적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새로운 사상가인 사문(沙門)의 혁신 사상으로 나타났다. 석가는 쾌락주의와 고행주의의 양극단을 떠난 중도(中道)를 가르쳤다. 내용으로는 ‘삼법인(三法印)’, 또는 ‘사성제(四聖諦)’이고, 수행방법으로는 팔정도(八正道)가 있다. 불교의 깨달음은 연기법(緣起法)의 인식이다. 연기법은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일어난 까닭에 저것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내가 나 스스로를 고정 불변하고 영원하며, 무한한 가치를 지니고 우주의 대자아와 합일하는 존재라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일 뿐, 나는 사실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나의 자아 인식이 착각이나 잘못된 견해임을 안다면, 우리는 비로소 자아나 ..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등 동양철학산책 핵심 요점 요약 정리 5. 퇴계․율곡 산책 제5장 퇴계․율곡 산책 1. 사화의 시대와 사림파 유학자들 조선은 주자학을 통치이념으로 삼아 중앙집권적 관료제 국가를 건설하였다. 이 과정에서 정도전은 󰡔조선경국전󰡕을 편찬하여 제도 정비에 힘썼고, 󰡔불씨잡변󰡕을 지어 불교를 비판하였다. 권근은 󰡔입학도설󰡕, 󰡔오경천견록󰡕 을 지어 조선 주자학을 선도하였다. 이들 관학파는 중앙권력을 독점하여 대토지 소유자가 되었고, 15세기에는 왕권을 위협할 정도로 세력이 커졌다. 그래서 성종은 왕권 안정을 위해 중소지주출신 신진 유학자들을 대거 기용하였다. 이로써 훈구파와 사림파가 대립하면서 무오사화와 갑자사화가 일어났다. 중중반정 이후는 조광조를 비롯한 사림파가 이상사회를 구현한다는 의지로 개혁정치를 주도하고 향약을 보급하였다. 아울러 추천제인 현량과를 통해 신진 학..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등 동양철학산책 핵심 요점 요약 정리 4. 주희 양명 4장. 주희 양명 1. 주자학과 양명학의 성립배경 성리학은 주희가 집대성한 학문으로 신유학, 송학, 주자학, 정주학, 도학(道學)이라고도 부른다. 성리학은 노장과 불교이론을 들여다가 인간과 자연에 대한 새로운 보편 법칙 틀을 만들었으며, 특히 주돈이, 소옹, 장재, 정호, 정이에게 영향을 받았다. 당시 중국 지식인들은 여진족에게 양자강 이북을 빼앗긴 상황에서 강한 중국을 위해서는 신하들이 군주에게 의리를 지켜야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성리학의 ‘리’는 현실의 의리로 나타난다. 성리학의 사상적 배경은 자기반성과 함께 불교와 도교 비판으로 나아간 북송 중기의 유학부흥운동이었다. 자기비판은 고문운동(古文運動)과 대의명분에 입각한 역사관, 문자 해석보다는 경전의 참 뜻을 밝히는 경학의 정립으로 나아갔다. 이 과정..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등 동양철학산책 핵심 요점 요약 정리 3. 노자․장자 제3장 노자․장자 1. 노장과 ‘무위자연’ 무위는 도가의 핵심 개념이다. 자연을 벗 삼아 사회 부조리를 비판했던 도가는, 인위적 행동으로서의 유위(有爲)에 대한 대안으로 무위를 제창하였다. 진시황 이후 혼란을 평정한 유방은 살인과 상해, 도둑질에 대한 법만 남기고 나머지 법령은 폐지하였다. 이를 “청정무위”(淸靜無爲) 정치라 하며, 당시에는 도가 혹은 ‘황로’(黃老)라고 불렀다. 그러나 무위는 제자백가 대다수가 쓴 말이다. 따라서 도가의 무위가 다른 학파의 무위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야 한다. 첫째는 제왕의 독특한 행위 양식이다. 통치자는 각 부처 책임자에게 일을 맡기고, 중대한 일에 대해 자문을 받고 결정할 뿐이다. 『노자』에서 “무위를 행한다”(爲無爲)란 표현은 이런 맥락에서 나왔다. 둘째는 강력한 ..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등 동양철학산책 핵심 요점 요약 정리 2. 공자․맹자․순자 산책 제2장 공자․맹자․순자 산책 1. 백화제방의 시대와 유가학파 춘추전국(B.C 770-B.C 221)은 백가쟁명(百家爭鳴), 백화제방(百花齊放)의 시대였다. 그 배경에는 철제농기구, 이랑 재배와 우경(牛耕), 관개수로, 과학기술의 발전과 심화된 토지의 사적 소유제가 들어 있다. 특히 신흥 지주들이 혈연, 지연과 상관없이 등용한 새로운 지식인들이 바로 제자백가이다. 그 가운데 생산 증대에 따른 민(民)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이들의 안녕을 보장하고 그로 인해 획득된 자발적 협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공동체 질서를 만들려는 유가학파가 등장한다. 2. 공자, 위대한 스승 공자는 젊어서 창고지기, 동산지기 같은 천한 일을 했지만, 귀족에게만 전수되던 과목으로 삼천 제자를 길러 낸 최초의 사립학교 교육자였다. 특히 그의 ..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등 동양철학산책 핵심 요점 요약 정리 1. 왜 동양철학인가? 제 1 장 왜 동양철학인가? 1. 동양철학이란 무엇인가 동양철학하면 우리는 중국철학을 떠올린다. 하지만 동양에는 인도와 아랍도 포함된다. 근대 시기 일본은 아시아를 벗어나 유럽과 겨루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을 지배하기 위한 중국학 붐이 일었다. 이러한 역사 경험이 우리에게도 영향을 준 것이다. 얼마 전부터 동양철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그 원인은 인간성 상실, 환경오염, 사회주의의 몰락에 따른 변혁 전망이 퇴조 등 다양하다. 하지만 그 열기 속에는 개인 도덕을 강조하면서 자신 내면에 안주하려는 이기적 발상이 담겨 있다. 또한 기공이나 신과학운동처럼 신비주의와 몰역사적 사유를 유행시키기도 하며, 전통철학이 나온 사회 구조와 그 사상이 했던 사회적 역할을 따지지 않고 오늘날도 여전히 가치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