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등 동양철학산책 핵심 요점 요약 정리 8. 실학
제8장 실학 1. 실학이란 무엇인가? 실학은 조선 후기의 사상이다. 실학자들은 실증과 실용을 바탕으로 의리보다 박학(博學)을, 실천을 중시하는 원시유학 정신의 회복을, 청대 고증학적 방법의 수용을 주장하였고, 리보다 기를 중시하였다. 실학에는 민주주의․자본주의, 근대 자연관과 인간관, 민족주의의 요소가 있다고 평가된다. 임진․병자 양란 이후 조선은 생산 기반이 무너지고 신분 질서가 흔들리며, 정치세력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하지만 18세기 무렵 생산력이 다시 늘고, 신분변동이 어느 정도 자유로워졌으며, 탕평책으로 붕당의 폐해가 일부 회복되었다. 이 같은 발전상도 중요 요소로 작용하였다. 대외적으로는 명나라가 망하고 일본이 부각되면서 동아시아 질서가 재편되었고, 서양 문물이 들어왔다. 명의 멸망 이후 지식인..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등 동양철학산책 핵심 요점 요약 정리 7. 한국불교
제 7 장 한국불교 1. 한국불교의 특색 한국 불교는 불교의 연기관을 받아들인 한국인들이 발전시킨 특유의 불교이다. 근대의 어떤 학자는 “인도와 서역의 불교는 서론적 불교이고, 중국의 불교는 각론적 불교이며, 조선의 불교가 최후의 결론적 불교이다.”라고 하고, “인도의 원천적 불교, 중국의 분파적 불교에 대하여 한국은 원효, 보조에 의하여 최후의 회통 불교를 실현하였다.”고 주장하였다. 일반적으로 인도나 중국, 일본과 다른 한국불교의 특성은 일승(一乘)과 일미(一味)의 인식틀로 전개된다는 점, 즉 독창성과 더불어 종합성을 강조하는 면에 있다. 이를 ‘통불교(通佛敎)’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다른 나라의 사상가들이 자기 종파의 교설에만 충실하였던 반면에, 한국 불교 사상가들은 불교를 받아들인 이래 어느 종파..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등 동양철학산책 핵심 요점 요약 정리 4. 주희 양명
4장. 주희 양명 1. 주자학과 양명학의 성립배경 성리학은 주희가 집대성한 학문으로 신유학, 송학, 주자학, 정주학, 도학(道學)이라고도 부른다. 성리학은 노장과 불교이론을 들여다가 인간과 자연에 대한 새로운 보편 법칙 틀을 만들었으며, 특히 주돈이, 소옹, 장재, 정호, 정이에게 영향을 받았다. 당시 중국 지식인들은 여진족에게 양자강 이북을 빼앗긴 상황에서 강한 중국을 위해서는 신하들이 군주에게 의리를 지켜야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성리학의 ‘리’는 현실의 의리로 나타난다. 성리학의 사상적 배경은 자기반성과 함께 불교와 도교 비판으로 나아간 북송 중기의 유학부흥운동이었다. 자기비판은 고문운동(古文運動)과 대의명분에 입각한 역사관, 문자 해석보다는 경전의 참 뜻을 밝히는 경학의 정립으로 나아갔다. 이 과정..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등 동양철학산책 핵심 요점 요약 정리 2. 공자․맹자․순자 산책
제2장 공자․맹자․순자 산책 1. 백화제방의 시대와 유가학파 춘추전국(B.C 770-B.C 221)은 백가쟁명(百家爭鳴), 백화제방(百花齊放)의 시대였다. 그 배경에는 철제농기구, 이랑 재배와 우경(牛耕), 관개수로, 과학기술의 발전과 심화된 토지의 사적 소유제가 들어 있다. 특히 신흥 지주들이 혈연, 지연과 상관없이 등용한 새로운 지식인들이 바로 제자백가이다. 그 가운데 생산 증대에 따른 민(民)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이들의 안녕을 보장하고 그로 인해 획득된 자발적 협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공동체 질서를 만들려는 유가학파가 등장한다. 2. 공자, 위대한 스승 공자는 젊어서 창고지기, 동산지기 같은 천한 일을 했지만, 귀족에게만 전수되던 과목으로 삼천 제자를 길러 낸 최초의 사립학교 교육자였다. 특히 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