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가정론

사회복지사, 복지직 공무원 등 핵심 과목 건강가정론 요점 정리 24. 건강가정 사업의 실제4

728x90
반응형

24. 건강가정 사업의 실제4

 

1. 놀이치료(Play Therapy)의 개념
Ÿ 놀이치료란, 훈련된 치료자가 심리적 문제를 지닌 내담자를 돕기 위해 체계적으로 놀이의
치료적 힘을 적용시키는 대인관계과정으로 아동상담의 여러 접근 들 중 하나. "놀이행동에
참여할 수 있는 아동의 능력회복"이라는 공통 목표가 있음. 한 명의 정해진 놀이치료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놀이치료 는 치료자의 특수한 이론적 지침과 인성, 아동문제의 배경과 현재의 증상
등을 통합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치료목표를 향해 작업하는 것을 말함.
Ÿ 중요한 것은 놀이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아동과 치료자와의 치료적 관계형성임.

 

2. 놀이치료의 접근법
(1) 정신분석적 놀이치료
Ÿ Sigmund Freud(1909) : 아동에 대한 심리치료의 시초, little Hans의 공포 반응완화를 위한
시도.
Ÿ Hug Hellmuth(1919) : 감정을 사용하면서 치료에 놀이를 처음으로 도입
Ÿ Anna Freud(1928) : 놀이를 아동과의 관계형성을 위한 도구로 사용. 관계형성 이후에는 치료의
초점을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옮겨 아동의 꿈과 백일몽 분석에 주력함

 

(2) 이완놀이치료
Ÿ 1930년대 후반에 발달, 심리분석적 이론으로 정화적 가치(catharsis)에 기본 신념을 둠. trauma,
stress를 가진 아동에게 적합하며, 치료자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

 

(3) 적극적 놀이치료

Ÿ 정신분석적 놀이치료에 반발. 아동의 과거 경험을 재생하지 않더라고 자연스럽게 노는 동안에
아동의 공포와 분노를 발산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적극적, 능동적 의미의 놀이치료를 강조함

 

(4) 관계 놀이치료
Ÿ Jesse Taft(1933) & Frederick Allen(1934)
Ÿ Otto Rank(1936) : 지금-여기를 강조(인본주의적 상담이론에 영향), 치료자와 아동 사이의 정
서적 관계의 치료적인 힘(curative power)을 강조. 치료적 관계의 형성자체를 강조.

 

(5) 비지시적 놀이치료=아동중심 놀이치료
Ÿ Carl Rogers의 인본주의적 상담이론에 힘입어 1940년 관계치료를 확장시켜 발전시킴. 인간
중심(내담자중심)의 상담과 치료-유기체의 내적인 자아실현경향성을 강조
Ÿ Virginia Axline(1947) : 각 개인은 성장을 향상 자기 인내적인 능력을 갖고 있음. 아동을 통제
하거나 변화시키려 하지 않고, 아동의 자기자각과 긍정적인 수용을 치료자의 역할이라고
강조함

 

(6) 발달놀이치료
Ÿ 1960년대 감각자극적 접촉을 통한 치료를 발전. 아동을 향한 모의 태도와 감정이 가장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중시, 치료자는 모가 되어야 함을 강도. Viola A Brody에 의해
발달놀이치료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됨. 접촉(touch)을 보다 체계화 구체화시킴. 다양한 발달단계에 있는 아동에게 핵심자기(core-self)를 발달시킴.

 

(7) 발달에 기초한 상호작용적 놀이치료
Ÿ Stanley Greenspan의 발달장애아를 위한 통합적인 치료프로그램의 한 형태. 자폐아나
발달장애를 지닌 아동들을 복합적인 감각자극의 조절 기능의 장애로 파악하고, 관계형성과
상호작용을 발달시키기 위한 조기치료를 강조함

 

(8) 인지행동적 놀이치료
Ÿ 대안적 인지 과정을 통하여 심리적 스트레스와 부적응적인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목적을 둔
심리치료임. 행동과 정서는 인지적 산물이라는 가정 하에 CBT는 thinking, feeling, behavior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봄. CBT에서 정신병리는 인지과정의 이상성-인지왜곡(비합리적 인지),
결함(자기조절, 계획, 대인관계의 문제)의 결과가 정신병리라고 파악함

 

3. 치료과정
○ 치료적 계획화
Ÿ 놀이치료세션에 들어가기 전 3단계
(1) 초기 면접과 평가단계
(2) 목표형식화와 통합단계
(3) 치료계획 수립단계
→ (1)과 (2)의 단계를 합하여 "치료적 계획화"라고 함

 

* 치료적 계획화의 목적
Ÿ 부모에게 아동치료가 시작되기 전 목표와 치료계획을 전달.
Ÿ 부모의 협조와 아동치료에 대한 부모의 관련성을 유지하고 촉진시키기 위한 작업.
Ÿ 치료 지속 기간을 위해 협의된 계약은 조작적으로 정의된 치료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임을
명시, 치료의 연속을 촉진시키고 부모를 참여하게 함.
Ÿ 아동에게 묘사된 치료 목표를 위한 치료의 구체적 계획 과정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음.
Ÿ 많은 치료자가 안정적인 치료적 관계 수립에 방해된다는 이유로 아동에게 치료 과정을 알려
주는 것을 원치 않음. 그러나 윤리적으로 아동의 정보에 근거한 자발적 동의를 기초로 치료적
관계를 형성한다면 이는 필수적임.

 

○ 목표설정
Ÿ 접수면접 및 평가 과정에서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아동의 현실에 맞는 목표 설정
Ÿ 치료자의 배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Ÿ 부모와의 합의가 요구. 아동의 현실적 상황을 고려
Ÿ 치료자가 개입되어야 할 맥락과 각 맥락에서 사용되어야 할 개입의 유형을 결정
- 장기목표 설정
- 단기목표 설정
- 부모에 대한 목표 설정 세 가지로 나누어 목표를 구체적으로 세움

 

1단계 : 아동의 현재 기능의 패턴 파악하기

Ÿ 발달수준 : 전반적인 발달상태, 수준의 정도, 현재 유지되는 기능, 발달 지연된 영역은? 발달적
일탈로써의 아동의 문제 행동의 진행 정도는?
Ÿ 인지적 기능 : 지적 기능의 현재 수준을 고려, 잠재적 능력은? 아동의 사고의 원천은? 사고
내용, 사고 형태.
Ÿ 정서적 기능 : 정서적 경험목록, 감정에 대한 인식? 언어와 행동으로 느낌 표현하는 능력,
정서적 분화, 표현, 인식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특별히 중요함.
Ÿ 반응목록 : 대처능력의 양상, 아동이 스트레스와 상황적 요구, 필요하다는 느낌에 어떻게
대응하는가를 파악.

 

2단계 : 아동의 현재 기능 패턴의 원천 파악하기
Ÿ 왜 이런 행동을 하는가? 원인을 추정하기. 왜 그런 방어기제와 책략들이 만들어졌는가.
파악하여 치료목표와 계획수립
Ÿ 치료는 아동 스스로 부적응적 패턴에 대한 적응적 대안을 마련하도록 중재하는 것임을 유념.
Ÿ 아동의 특별한 요인들: 위험요인, 보호요인
Ÿ 생태학적 요인들: 가족, 또래, 아동을 둘러싼 광범위한 체계들을 고려, 그들과의 상호작용
패턴을 파악해야 함

 

3단계 : 아동이 현재 기능 패턴을 유지하는 원천 찾아내기
Ÿ 아동이 지금 보이고 있는 어려움을 유지하는 사실에 대한 가설을 설정,
Ÿ 아동, 가족, 평가, 당신의 관찰을 비롯한 여러 가지 정보들을 아동의 발달과 병리의 이론적 모델과 통합.

○ 치료의 전략 결정
(1) 얼마나 구조화된 세션을 사용할 것인지 결정
(2) 아동이 치료세션 내에서 얼마나 경험적 작업을 하고 있을지 결정.
(3) 인지적 수준에서 얼마나 많은 작업이 언어화될지(언어적으로 행해질지)결정

 

4. 놀이치료의 가족상담 적용
Ÿ 최근 가족상담 및 치료와 관련하여 발달된 놀이치료는 크게 부모-자녀 놀이치료, 가족놀이치료
두 가지로 살펴볼 수 있음.

 

(1) 부모-자녀 놀이치료(Filial Therapy)
Ÿ 부모에게 아동중심 놀이치료 세션을 수행하도록 가르쳐 양육의 미숙함을 극복하고 자녀들에게
치료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방법. 전문적인 치료자들이 훈련 받은 후에 상담을 수행하듯이
부모들이 훈련을 통해 부모역할을 학습하고 난 후에 자녀와 상호작용하고 양육한다면, 성숙한
부모역할을 실행 할 수 있을 것이므로 자녀 문제의 감소뿐 아니라 예방에도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함.
Ÿ 부모와 자녀 간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유대관계를 이용하여 자녀의 치료 대행자가 되도록
돕는 것임.

 

(2) 가족놀이치료
Ÿ 놀이치료와 가족치료가 결합된 절충주의적인 치료방식(Griff, 1983)으로, 자녀와의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모들과 아동들에게 자연스러운 놀이를 통해서 치료의
효과를 얻도록 하기 위해 고안됨.
Ÿ 치료에서 놀이의 사용은 부모들의 이해력 및 자기지각을 촉진시키고, 더욱 효과적인 부모 자녀
간 상호작용을 갖는데 도움을 줌. 가족놀이를 통해 부모들은 자녀들이 가족과 부모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알 수 있게 되는데, 놀이라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하여 가족의 규칙, 역할
뒤에 숨겨진 내용들을 자연스럽게 다루며 자유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감정 표현을
촉진시키는데 기여하게 됨. 이 것은 가족의 역기능을 평가 및 진단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치료자와 가족 간의 친밀감 형성, 가족들의 정서적 상처 및 관계의 어려움을 자연스럽게
표출해 낼 수 있게 하고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을 수정하고 건강한 유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함.
Ÿ 최근 가족놀이치료에는 대상관계, 역동적, 전략적 그리고 통합주의적 가족놀이치료가 대표적인
접근 방법으로 활용, 국내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 평가를 위한
도구로는 부모-자녀 상호작용 놀이평가(Smith, 2000), Marschak상호작용 평가척도
평가(O'connor, 2001)등이 있음.
Ÿ 놀이를 통해 전체 가족과 아동의 의사소통과 참여가 촉진되어 부모-아동 간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과 놀이를 통해 가족체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놀이치료와 가족치료의 발달사 안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

 

5. 가족미술치료
(1) 가족미술치료의 정의
Ÿ 가족미술치료는 가족체계이론과 미술치료이론을 접목시킨 치료기법으로, 미술을 매개로 한
가족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가족에 대한 이해와 수용을 증진시키고, 건강한 가족관계로
성장시키기에 유용한 가족치료의 한 방법.

 

(2) 가족미술치료의 발달과정

 

Ÿ 가족미술치료는 1950년대에 프랑스의 Porot와 미국의 Hulse가 환자의 가족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가족화검사(Family Drawing Test)'를 실시한 것이 출발점.
Ÿ 이후 1960년대 정신의학 분야에서 가족관계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가족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역동적 상담기법이 고안됨. Naumburg는 Jung의 보편적 상징 개념(집단무의식)과 Sullivan의
대상관계 개념을 자신의 작업으로 통합하고, 환자의 그림을 ‘상징적 대화’의 한 형태로 보면서,
언어적 의사소통의 틀을 중요시하는 기법을 사용함. Kwiatkowska(2001)는 Naumberg, Sternn,
Meares, Kramer등 에 의해 확립된 정신분석적 미술치료의 연장으로 가족미술치료(Family Art
Therapy)를 창시함. Kwiatkowska는 가족 상호작용을 평가하고 가족구성원 간의 공통된
주제들을 인식하기 위하여 일련의 미술활동 등을 사용하였으며, 가족구성원 전원이 동시에
참가하여 언어를 개입시키지 않는 표현 행동으로 미술과제를 시행케 하였음. 이와 같이,
그림을 가족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의 매개로 활용하는 가족미술치료는 Landgarten, Wadeson,
Grold, Shearn등의 후속연구를 통해 다양한 기법들이 개발됨.

 

Ÿ 1970년대를 전후하여 Burns(1970)의 동적가족화, Bing(1970)의 합동미술치료,
Wadeson(1971)의 부부미술치료 등 새로운 기법들이 등장. 동적가족화(KFD)는 가족이 각기
무엇인가를 하고 있는 모습 을 그리게 하여, 가족구성원 간의 역동적 관계를 파악하는데
응용되었고, 합동미술치료(CFD)는 가족 전원이 둥근 테이블에 앉아 누가 어떤 그림을
그렸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기법으로, 각자 다른 색의 재료를 사용하여 한 장의 가족화를
그리게 하는 방법임. 그리고 부부미술치료는 부부에게 서로의 그 림을 수정하여 서로 어울리게
하는 기법. 최근에는 Burns(1991)가 개발한 동그라미 중심 가족화(Family Centered Circle
Drawing: FCCD)가 소개되어 가족미술치료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음.

 

Ÿ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초에 심리학과 특수교육 분야에서 미술치료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1992년에 한국미술치료학회의 발족을 기점으로 대학과 연구소에서 본격적인
연구와 함께 전문미술치료사를 배출하고 있음. 그리고 2000년대에 진입하면서 가족들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며, 가족 미술치료에 관한 서적들이 출간되고, 학술지논문과 학위논문들이
발표되기 시작하였음.

 

(3) 가족미술치료의 이해
Ÿ 가족미술치료는 가족체계이론과 미술치료를 결합시킨 하나의 응용 심리치료 기법임. 그러므로
미술과제가 진단과 치료의 수단으로 사용됨. 가족미술치료는 전체 가족을 대상으로 ‘공동
미술체험’을 통해 가족문제를 진단하고 치료하며, 의사소통양상과 결정을 내리도록 도움. 또한
서로에 대한 인식과 역할을 명료화시켜주는 치료적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유용한 의사소통의
방법임. 가족미술치료는 미술활동의 이미지 표출과정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억제되어 있던
상황이나 상실, 억제, 방어 등이 명확하게 표출될 수 있으며, 자기 자신의 세계관을 재발견하고
자기 동일화, 자기실현을 달성하게 됨. 미술활동은 자기표현과 의사소통의 한 방법으로, 과거와
현재의 생활사를 조사하여, 원가족과의 관계 경험에서 비롯된 역기능적인 행동의 원인을
탐색하고, 초기 결함들을 해결할 수 있음. 또한 부모 됨과 문제 해결능력 향상, 새로운 역할과
의사소통양식으로 갈등해결 방식의 예행연습을 위한 가족치료의 도구가 됨. 미술경험은
상호작용, 개방적 태도, 통찰력, 그리고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적응을 촉진시킴.

 

Ÿ 가족의 경험을 객관화시키는 가족미술치료는 가족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함으로써,
가족들로 하여금 문제증상에 초점을 맞추는 대신 구조적이고 개념적인 가족문제에 관심을
갖도록 함. 가려졌던 가족문제를 구체적으로 드러내주고, 문제를 재정의 해주며, 더 나아가
가족구조를 재구성하여 건강한 가족관계로 성장하도록 하는 것임. 즉, 가족미술치료는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보고 가족체계에 초점을 맞추어 전체 가족을 변화시키는 것이 그 목적임.
Ÿ 가족미술치료에 있어 미술작업이 가지는 장점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음. 첫째, 미술과정은
가족문제의 진단을 돕고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며 의사소통의 도구가 됨. 둘째, 미술작업이
무의식적 의사소통과 의식적인 의사소통을 표출해 내는 수단이 됨. 셋째, 가족역동성의 증거가
될 수 있는 미술 작품이 있으며, 미술결과물에 대한 지속적인 검증을 통해 변화의 지속성을
학인 할 수 있음.

 

6. 미술치료에서 사용되는 평가도구
Ÿ 인간은 그림을 통해 자신의 동기, 갈등, 및 방어와 관련되고, 또 자신의 성격의 특징적인
측면을 반영하는 반응을 하게 됨으로, 이를 통해 전체 성격, 다양한 욕구와 동기의 상호작용,
그리고 개인의 포부와 갈등을 이해할 수 있게 됨. 그러나 이 기법의 활용에 있어서는 검사자의
주관적 및 경험적 요소가 크게 작용을 하게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문적으로 훈련을 받은
검사자에 의한 검사 실시 및 해석이 요구됨.
Ÿ 미술치료에서 작품을 평가할 때는 만들어진 작품의 형식과 내용을 함께 살피는 것이 중요함.
일반 적으로 ‘형식’은 객관적 기술이 가능한 부분으로써, 공간사용정도, 화면에서의 위치,
미술재료의 선택, 중요 대상의 크기, 필압, 선의 성질, 글씨 써넣기 등을 살펴보게 됨. 한편
‘내용’은 주관적 느낌 과 통찰을 요구하는 부분으로서, 작품의 완성도, 전체적인 짜임새, 왜곡,
생략의 유무, 모호한 선 또 는 도형의 유무, 그림의 주제 등을 고려함.

 

(1) 집-나무-사람 그림검사(H-T-P; House-Tree-Person)
Ÿ HTP는 Buck(1948, 1964)이 개발하고 Buck과 Hammer(1969)가 발전시킨 것으로, 일반적으로
집은 현실을 반영하며, 나무는 그린 사람의 개인적인 변화과정을 반영하고, 또 사람그림은
자기 또는 자아기능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음.

 

(2) 동적가족화(KFD; Kinetic Family Drawing)
Ÿ 가족구성원이 무엇인가를 하고 있는 장면을 그리도록 하는 것. 기존의 움직임 없는
그림검사들과 달리 가족 구성원들이 뭔가를 하고 있는, 즉 움직임을 첨가시키는 것은 아동의
자아개념과 관련된 측면, 그리고 가족을 포함한 대인관계에서의 감정표출을 끌어내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가족내 자기 자신과 다른 구성원들에 대한 지각을 파악하고 가족간 상호작용과
역동성을 알아 볼 수 있음.

 

(3) 색종이 가족화
Ÿ 내담자에게 가족구성원의 성격, 역할, 가족내 위치 등을 생각하게 한 뒤 “가족을 색종이로
표현한 다면 어떤 모양과 색깔로 표현할 수 있을까요? 자신을 포함하여 가족을 색종이로
표현해 보세요”라고 지시함. 이것은 가족의 성격특성 및 가족간의 역동성을 파악하고, 자신과
가족성원들에 대해 정서 적으로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검사임

 

(4) 동물 가족화
Ÿ 가족을 자신이 그리고 싶은 동물모양으로 그리도록 하는데 되도록 그리도록 하고 못할
경우에는 동물 그림을 오려 붙이도록 할 수도 있음. 또 꽃이나 자연물로 대체할 수 있음.

 

(5) 동그라미 중심 가족화(PSCD; Parent-Self-Circle Drawing)
Ÿ 부모와 자신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통해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검사.
동그라미 (직경 19.1~22.9cm)가 그려진 A4용지가 사용됨. 해석할 때에는 인물상의 상대적
크기, 신체 각 부 위의 생략과 강조, 얼굴표정, 인물상 바로 위의 상징, 인물상 간의 거리,
인물상의 위치를 살핌.

 

(6) 학교 생활화 검사(KSD; Kinetic School Drawing)
Ÿ 학교 생활화 검사는 자신을 포함하여 교사와 친구가 학교 내에서 무엇인가 하고 있는 모습을
그리도록 하는 것. 이 검사는 학교에서의 상호관계와 역동성을 알아내는 투사기법으로서
그림을 통해 학교생활에서의 갈등관계와 어려움 등 학교생활의 부적응을 드러내게 할 수
있으며, 자아개념을 파악 할 수 있음.

 

(7) 빗속의 사람(PITR; Person In The Rain)
Ÿ 현재 겪고 있는 스트레스의 정도와 대처능력을 파악하는 검사로서 Abrams & Amchin(1958,
1967)이 개발하였음. 비, 구름, 웅덩이, 번개 등은 스트레스를 나타내며, 우산, 비옷, 보호물,
장화, 얼굴표정, 인물의 크기 및 위치 등은 스트레스 대처자원을 나타냄.

 

(8) 풍경구성법(LMT; Landscape Montage Technique)

Ÿ 내담자의 의식과 무의식을 탐색하고 치료가능성을 평가하는데 주로 사용. 검은색 펜으로
용지에 테두리를 그려 준 뒤 강(무의식의 흐름), 산(주어진 상황과 앞으로의 전망, 극복해야 할

문제의 수), 논이나 밭(마음이 지향하고 있는 때), 길(의식적인 영역, 인생과 방향을 암시),
집(성장해 온 가정상황과 가족관계에 대한 감정과 인지, 태도), 나무(자아상, 정신적 성숙도),
사람(자신의 현실상이나 이 상상, 의미 있는 사람이나 인간일반에 대한 인지), 꽃(아름다움과
사랑, 성장발달의 상징, 여성스러움), 동물, 돌(단단함, 냉정, 불변성, 장애나 짐)을 차례로
불러주어 그리게 함. 추가하고 싶은 것이 있으면 그리도록 하고 원할 경우 색칠할 수 있음.

 

(9) 콜라쥬
Ÿ 내담자의 현재 심리적 상황에 대해 인식하고 내담자로 하여금 편안하게 치료 장면에 참여할
수 있게 해줌. 내담자의 관심과 흥미를 분명히 해주며, 감정을 쉽게 나타낼 수 있게 해주는
특징을 갖고 있어 심상발견이나 자신의 개발이 가능. 부적절한 감정 및 욕구불만 등의 내적
표현에 있어 효과가 높고 퇴행이 잘 표현되는데, 작품을 만들고 이야기하는 과정 자체가
치료효과를 주며, 작품에 나타난 그림들의 내용, 화면의 색채, 구도, 이야기 내용들을 통해
내담자를 이해할 수 있음.

 

(10) 난화(Scribble)
Ÿ 무의식 속에 있는 상상을 표출시키고 저항감을 줄여주는 특징이 있으며, 신뢰감을 형성하고,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도록 도와줌으로써 무의식의 의식화를 이끌어주는데 도움이 됨.

이 기법은 난 화에 테두리를 첨가한 난화 상호 이야기법(야마나카, 1984), Gadner의
‘이야기하기’기법과 Winnicut 의 ‘난화’기법을 응용한 난화 게임(SDG; Squiggle Drawing Game,
Claman)으로 발전되어 사용되기도 함.

 

(11) 소시오그램
Ÿ 내담자의 삶에서 중요한 사람들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통찰력을 길러주는데 도움이 되는
검사로, 하트 안에 자신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그림.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이름을
하트 밖 첫 번째 원에 적고 연상되는 이미지를 그리는 식으로 진행됨.

 

(12) 9분할 통합 회화법
Ÿ 1986년 Moritani에 의해 개발된 평가법으로, 도화지에 테두리를 친 후 화면을 3X3으로
분할하여 각 칸 속에 생각나는 순서대로 자유롭게 그림을 그리게 함. 이는 종이 위에
이루어지는 일종의 자유연상의 표현으로서 공간적 시간적 요소를 동시에 한 장의 종이에
표현하는 것. 한 주제에 대한 복잡한 감정을 한 국면으로 한정하기 않고 여러 장면으로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연상의 첫 부분과 중앙에 그려진 이미지가 중요함. 이 검사를 통해
자유연상의 특성과 자아방어기제를 파악할 수 있음.

 

(13) 발테그 검사(WZT; Wartegg Zeichen test)
Ÿ 일반적인 그림검사는 내용에 있어 제한을 받지만 이 검사는 내용제한이 없으면서도 4cm의
정사각형 4개씩 2줄로 총 8개의 사각형 각각의 안에 계획적으로 이루어진 자극기호가 그려져
있는 고 정되고 정밀한 자극도를 제시함으로써 자극의 감각적 수용과 자극에 대한 충동성
간의 관계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목적임.

 

(14) 별 파도 그림검사(SWT; Star-Wave test)
Ÿ 3세부터 사용이 가능하며, 취학전후 아동의 경우 발달기능검사로서도 사용될 수 있음. 해석은
그림의 표현양식, 형식적 공간구조, 공간상징사용, 상징적 물체, 필적, 그리고 생활상태분석을
통해 이루어짐.

 

(15) 이야기 그리기 검사(DAS; Silver Draw-a-story instument)
Ÿ 1988년 Silver가 개발한 도구로 초기에는 언어장애아동의 지적능력측정을 위해 고안되었다가
점차 우울증의 조기진단과 공상적 사고의 진단도구로 사용되고 있음. 최근에는 일반적인
정신건강문제와 관련하여 학령기 아동에서부터 성인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애와 민족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집단에게 실시하는 보편적 평가도구로서 치료기법으로도 적용되고 있음.

 

7. 미술치료와 아동
Ÿ 사람들은 자신에게 일어나는 일과 그 일에 대해 항상 말로 잘 표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님.
불안이 나 두려움 때문에 표현을 필요로 하는 감정과 사고를 차단하면서 사람들은 지나치게
말을 많이 할 수도 있고 반대로 내면으로의 철회와 같은 위축을 일으킬 수도 있음. 이 두
가지는 모두 바람직한 상태는 아님.
Ÿ 특히 아동의 경우 언어와 사고발달상에 미숙한 점이 많기 때문에 논리적인 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음. 따라서 아동이 내면의 감정이나 생각들을

미술작업 이라는 제3의 매체를 통해 표현하는 것이 아동을 돕는데 유용함.

 

* 미술치료의 아동에 대한 이점 8가지
① 미술은 아동으로 하여금 그들의 정신과 감각을 사용하도록 함.
② 아동은 과거나 현재의 사건과 관계되는 생각이나 감정, 미래에 대한 생각까지도 표현 할 수
있음.
③ 미술활동은 아동으로 하여금 사회적으로 수용되며 해롭지 않은 방식으로 분노, 적대감을 해소
시킬 수 있는 정화의 기능을 가지고 있음.
④ 미술활동은 아동 스스로 주도하고, 조절하는 활동.
⑤ 미술재료를 선택하고 미술활동을 해나가면서, 또 완성된 작품을 통해 아동은 성장과 성취감,
개인적인 만족감과 가치감을 느낄 수 있음.
⑥ 미술은 주저하거나 말이 없는 아동과 친밀감을 형성하여 치료관계를 이루는데 한 방법이 됨.
⑦ 미술은 치료자로 하여금, 아동의 마음을 다치지 않고, 아동의 방어기제를 허물어뜨리지 않으면
서 아동의 무의식 세계를 알아볼 수 있게 해줌.
⑧ 미술은 여러 정보와 더불어 다음에 대한 보충적 자료가 되므로 아동을 진단하는데 도움을 줌.
Ÿ 결론적으로 미술치료는 표현의 자유를 주면서, 아동이 자신을 신뢰하고, 자신을 스스로
통제하며 상담자와의 관계를 다스리는 데 도움이 되는 외적 구조와 조직을 제공함.

 

8. 가족미술치료사의 역할
Ÿ 미술치료사는 가족의 다양한 형태구조를 관찰하여 내담자들에게 적절한 매체를 제공해야 하며
미술작업을 통하여 나타난 정보를 이야기하거나 활용하는데 적절한 시간을 할애해야 함. 또한
미술치료사는 미술의 잠재력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어야 함. 미술작업은 무의식을 표면화한다는
것을 명심 하고 주의해야 하며 기법들을 사용함에 있어서 신중해야 함. 이러한 미술체험은
상호관계를 촉진 하고 개방된 태도를 가지게 하며, 직관력을 키워주고, 새로운 기술을
채택하는데 도움을 줌. 또 미술 치료사는 반드시 미술재료들, 치료지침들, 치료과정에 대하여
충분한 지식을 갖추어야하며, 가족 상담에 대한 이론을 숙지해야 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