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사, 복지직 공무원 등 핵심 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29. 사회복지협의회의 개념

728x90
반응형

29. 사회복지협의회의 개념

 

1.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정의
- 사회복지협의회
지역사회 안의 각종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에 관심을 고 있는 민간단
체나 개인의 연합체.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사회복지의 구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
든 활동에 있어서 상호협력 및 조정하는 단체.
민간 자주적인 조직, 주민과 사회복지 조직에 의해 구성.
지역 내 대표적인 협의조정기관, 지역복지과제 해노력, 주민과 복지기
구 달성 위한 직적 서비스 제공.

 

2.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주요원칙
가. 주민
시의 원칙
- 지역주민들의 사회복지 충족을 위한 사회복지 P/G을 계획, 실천해
된다는 원칙.

 

나. 주민참가의 원칙
- 주민들의 사회복지에 한 관심을 된다는 원칙.
다. 전문성의 원칙
- 지역현황 및 실태 조사, 지역사회복지P/G의 계획실시 ․평가.
- 사회복지기관
단체의 직원 및 주민 상교육은 고도의 전문성을 가지
중하게 접근된다는 원칙.
라. 민성의 원칙
- 민간단체의 특성을 살려 지역사회복지과제에 대응한다는 원칙.
마. 공사 협력의 원칙
- 공공기관과의 상호협력, 감시을 통해 지역사회복지증진구해
하는 원칙.
바. 지역특성존의 원칙
- 지역사회의 사정실태에 라 조직구성, 사업내용이 정되어져야 하는
원칙.

 

3. 법적 시 기능
가. 사회복지사업법 제33조에 근
고 설치.
나. 사회복지사업법 시행
12조 사회복지 협의회의 기능
- 사회복지에 관한 조사 연구와 정책 건의.
- 사회복지에 관한 교육
훈련
- 사회복지에 관한 자수집과 간행발간.
- 사회복지에 관한 계
보.
- 자원봉사활동의
.
- 사회복지사업 종사자의 교육
훈련과 복지증진.
- 사회복지에 관한 학술 도
, 국제사회복지단체와 교.
- 보
복지부 장관이 위하는 사회복지에 관한 업.
- 기
정관으로 정하는 사.

 

4.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
가. 지역사회복지 활동 기능
- 지역사회복지계획, 실천,
- 자원봉사활동
증진
- 주민복지권리

- 각종사회행동

 

나. 연락조정협의의 기능
- 사회복지관영역 간의 연조정
- 사회복지 직능조직 활성화
- 자조집단의 조직강화 및 지원
- 각종 위원회 조직 강화

 

다. 보유지 기능
- 조사연구
- 정
개발제안
- 교육
훈련
- 정보제공 및 출판
- 자원조성
- 국제교

5.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역사적 천과정
- 1869영국 시작. 1877미국 버로 시에서 설립 된 COS에서 기원.
- 19C 후반 C
OS : 자단체의 이중구호 및 예방을 위해 설립.
- C
OS가 발전되어 현적인 지역사회복지협의회가 .
1908년 피츠버그 ‘자회’ (Associated Charities) 등
- 1차
전 후 협의회와 공동모금회가 밀접한 관계 형성.
- 1960
년대 민간협의회 역- 정부 기관의 역할 증대.
- 1970
년대 미국 지역사회복지협의회는 상한 시며 새
정립하여 활로를 개
하려는 직임을 보임.

 

6. 한국사회복지협의회
- 설립거 : 한국사회복지사업법 제27조제1
- 사회복지에 관한 조사, 연구와 각종 복지사업을 조성하기 위해 한국사회복
지협 의회를
다.
- 정관의
적 : 사회복지에 관한 조사, 연구와 각종 복지사업에 한 국민의
참여를
촉진으로우리나라의 사회복지 증진과 발전에
기여한다.
- 변천과정
1952한국사회사업연합회 설립.
1970한국사회복지협의회로 명변경.
1983법정단체로 정.
1998광역자치단체 협의회 립법 인화.
2003시, 군, 구 사회복지협의회 법정 단체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