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사회복지협의회의 개념
1.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정의
- 사회복지협의회
⋅ 지역사회 안의 각종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에 관심을 갖고 있는 민간단
체나 개인의 연합체.
⋅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사회복지의 욕구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
든 활동에 있어서 상호협력 및 조정하는 단체.
⋅ 민간 자주적인 조직, 주민과 사회복지 조직에 의해 구성.
⋅ 지역 내 대표적인 협의조정기관, 지역복지과제 해결 노력, 주민과 복지기
관 욕구 달성 위한 직․간접적 서비스 제공.
2.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주요원칙
가. 주민욕구중시의 원칙
- 지역주민들의 사회복지 욕구충족을 위한 사회복지 P/G을 계획, 실천해야
된다는 원칙.
나. 주민참가의 원칙
- 주민들의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을 높여야 된다는 원칙.
다. 전문성의 원칙
- 지역현황 및 실태 조사, 지역사회복지P/G의 계획․실시 ․평가.
- 사회복지기관․ 단체의 직원 및 주민 대상교육은 고도의 전문성을 가지
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된다는 원칙.
라. 민간성의 원칙
- 민간단체의 특성을 살려 지역사회복지과제에 대응해야 한다는 원칙.
마. 공․사 협력의 원칙
- 공공기관과의 상호협력, 감시․비판을 통해 지역사회복지증진을 추구해야
하는 원칙.
바. 지역특성존중의 원칙
- 지역사회의 사정․실태에 따라 조직구성, 사업내용이 결정되어져야 하는
원칙.
3. 법적 명시 기능
가. 사회복지사업법 제33조에 근거를 두고 설치.
나. 사회복지사업법 시행령 12조 사회복지 협의회의 기능
- 사회복지에 관한 조사 연구와 정책 건의.
- 사회복지에 관한 교육훈련
- 사회복지에 관한 자료 수집과 간행물 발간.
- 사회복지에 관한 계몽과 홍보.
- 자원봉사활동의 진흥.
- 사회복지사업 종사자의 교육훈련과 복지증진.
- 사회복지에 관한 학술 도입, 국제사회복지단체와 교류.
- 보건복지부 장관이 위탁하는 사회복지에 관한 업무.
- 기타 정관으로 정하는 사항.
4.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
가. 지역사회복지 활동 기능
- 지역사회복지계획, 실천, 평가
- 자원봉사활동증진
- 주민복지권리 옹호
- 각종사회행동
나. 연락⋅조정⋅협의의 기능
- 사회복지관련 영역 간의 연락 조정
- 사회복지 직능조직 활성화
- 자조집단의 조직강화 및 지원
- 각종 위원회 조직 강화
다. 보완⋅유지 기능
- 조사연구
- 정책개발제안
- 교육훈련
- 정보제공 및 출판 홍보
- 자원조성
- 국제교류
5.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역사적 변천과정
- 1869년 영국 시작. 1877년 미국 버팔로 시에서 설립 된 COS에서 기원.
- 19C 후반 COS : 자선단체의 이중구호 및 누락 예방을 위해 설립됨.
- COS가 발전되어 현대적인 지역사회복지협의회가 됨.
⋅ 1908년 피츠버그 ‘자선회’ (Associated Charities) 등
- 1차 대전 후 협의회와 공동모금회가 밀접한 관계 형성.
- 1960년대 민간협의회 역할 위축 - 정부 기관의 역할 증대.
- 1970년대 미국 지역사회복지협의회는 상당한 시련을 겪으며 새로운 역할을
정립하여 활로를 개척하려는 움직임을 보임.
6. 한국사회복지협의회
- 설립근거 : 한국사회복지사업법 제27조제1항
- 사회복지에 관한 조사, 연구와 각종 복지사업을 조성하기 위해 한국사회복
지협 의회를 둔다.
- 정관의 목적 : 사회복지에 관한 조사, 연구와 각종 복지사업에 대한 국민의
참여를 촉진시킴으로써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증진과 발전에
기여한다.
- 변천과정
⋅ 1952년 한국사회사업연합회 설립.
⋅ 1970년 한국사회복지협의회로 명칭 변경.
⋅ 1983년 법정단체로 규정.
⋅ 1998년 광역자치단체 협의회 독립법 인화.
⋅ 2003년 시, 군, 구 사회복지협의회 법정 단체화.
'지역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사, 복지직 공무원 등 핵심 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31.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이해 (0) | 2022.07.04 |
---|---|
사회복지사, 복지직 공무원 등 핵심 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30. 한국 사회복지협의회의 이해 (0) | 2022.07.03 |
사회복지사, 복지직 공무원 등 핵심 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27. 비영리 민간단체의 개념 이해 (0) | 2022.07.02 |
사회복지사, 복지직 공무원 등 핵심 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26. 사회복지기관간의 연계방안 (0) | 2022.07.01 |
사회복지사, 복지직 공무원 등 핵심 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25. 사회복지기관간의 연계 (0) | 2022.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