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사, 복지직 공무원 등 핵심 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26. 사회복지기관간의 연계방안

728x90
반응형

26. 사회복지기관간의 연계방안

1. 사회복지기관의 연계실태
가.
당서비스에 대한 타 기관과의 연계 정도
- 영역별로는 노인복지 관영역이 가장 게 실시, 복지 관, 아
동복지관
영역 으로 실시한 으로 나다.
- 연계 서비스의 정도가 가장
은 영역은 재가복지봉사센터 관

 

나. 공공기관 및 민기관과의 연계 정도
(1) 공공기관과의 연계
- 정보교환이나
라이트 의및 발영역은 게 나타난 반면, 자원
및 활용이나 프로그상호이용영역은 게 나다.
(2) 민간기관과의 연계
- 정보교환이나
라이트 의영역이 게 나으나 개인정보보다
는 프로그
또는 복지사업 관정보교환이 가장 연계가 활발하게 나
다.
- 공동사업
추진, 프로그상호이용, 자원발및 활용 등이 게 나
나 공공기관과의 연계 정도와 유사성을 보다.
전반적으로 볼 , 민간기관과의 연계 정도가 공공기관과의 연계 정도보
게 나다.

 

다. 다른 기관들의 정보를 파하는 방법
(1) 사회복지관 근무자 및 사회복지전
- 기관에서 발행하는
을 참고하여 정보를 파하는 경우가 가장 게 나
- 전원의 경우 임자 또는 다의 조게 나타남.
(2) 시설
근무자 - 개인적 친분을 통해 파.

 

라. 재, 연계가 활발한 지역사회복지기관
- 사회복지관은 종합사회복지관(29.7%),
- 구
복지관과(29.4%),
- 시
복지관과(4.7%),
- 자활지원센터(3.9
%)

 

마. 연계를 통한 도정도
- 간의 도(62),
- 별로 도
이 되지 않음(19),
- 아주
(18)
- 방해가
(0.3%)

 

바. 연계 시, 공식화 정도
- 전화를 통한 비공식적인 의53.7%
- 공문을 통한 공식적인 의38.2,
-
라이트에게 기관을 소개만 하는 정도가 6.7%

 

사. 연계의 요성
- 다기관에서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를 파하여 자기기관에 는 서비
스를 개발하기 위해서라는
이 가장 게 나타남.

 

아. 긴밀한 협조가 요하다고 생되는 기관
- 구복지관과가 가장 게 나.

 

2. 연계의 장요인
가. 근
요인
(1) 사회복지관 근무
- 업
무량 많고 기관 정보가 부며 타 한 인식부과 갈등으로 인하여 연계에 장.
(2) 사회복지전
- 과다한 업
무량과 기관 및 기관 프로그한 정보 부.
(3) 사회복지시설
- 시설의 위치상
접근 가능한 기관이 부, 이로 인해 기관 및 기관프
로그
한 정보 접근성이 .

 

나. 연계가 요하지만 없는 사회복지기관
- 정센터 12.6%,
- 노인주간보호센터 10.3
%,
- 여성생활시설 9.2
%,
- 노인복지관 8.6
%,
- 상
기관 8.0%
지역에 조속한 설치, 영 필요

 

3. 연계의 강화방
가. 연계에 대한 인식을 제고, 개선하는
- 공자 중심의 서비스제공을 상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다
기관과의 연계가 필수적, 지역사회 전체의 복지증진에 기
할 책임.
(1) 교육, 연수프로그
램 마련.
(2) 사회복지기관
가지에 연계사업 반영.

 

나. 정보공유체제 구및 운용의 요성
- 연계의 필요성을 인식하지만 연계와 관된 정보가 없거나 부하여 어
는 경우가 많음.
(1) 연계를 위한 협의체 및 모임 조직.
(2) 지역사회복지 정보체제 구
.

 

다. 실자의 업과다를 해소시켜 줄 필요성
- 연계를 구체적으로 추진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담당자의 업무량
한 고려가 필요함.
(1)
담당의 적정화.
(2) 인력의
원, 연계 담당직원에 한 인센티브 제공.

 

라. 요한 자원을 확해야 할 필요성
- CT구를 충족주기 위해서는 연계가 필요하지만 적한 자원과
한 서비스를 제공수 있는 사회복지기관, 사회복지조직 등이 부
한 경우가 많음.
(1) 필요한 사회복지기관의 설치.
(2) 연계에 필요한 자원
보.

 

마. 실천과정 및 실천방법의 개발 요성
- 위의 4가지의 기반조성을 토대로 하여 추진과정 및 방법이 행된다면
효과적인 연계
과 도이 가능.

학 습 정 리
1. 사회복지시설간 연계 실태를 파악한다.
- 현재 연계가 활발한 지역사회복지기관, 연계를 통한 도움정도, 연계
시, 공식화 정도, 연계의 필요성,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고 생각되
는 기관
2. 연계강화방안
- 연계에 대한 인식을 제고, 개선하는 것이 필요
- 정보공유체제 구축 및 운용의 필요성
- 필요한 자원을 확충해야 할 필요성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