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조언어학

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42. 유표성과 저지를 활용한 어휘 대조

728x90
반응형

42. 유표성과 저지를 활용한 어휘 대조

 

1) 유표성(Markedness)


언어의 어떠한 성질을 다른 언어와 비교할 때 보편적이지 않고 눈에 띄는 특징을 갖는 다거나
특별한 설명을 필요로 하는 것을 일컫는 말.

 

예) a. 연필이 얼마나 길어요? / 방이 얼마나 넓어요?
How long is the pencil? / How big is the room?
b. 다리가 얼마나 짧아요? / 집이 얼마나 좁아요?
How short is the pencil? / How narrow is the room?
→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는 말로 의문문을 구성하지 않음.
♠  형용사 파생 명사

 

- 형용사를 명사로 파생시킬 경우에도 유표성이 낮은 (=무표적인) 긍정적 표현 사용
→ 한국어, 영어, 일본어 모두 공통적으로 유표성이 낮은 형용사로 파생명사를 구성

 

- 남성이 무표, 여성이 유표
→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세 언어 모두 남성을 가리키는 무표적인 명사에
여성의 의미를 더하여 여성을 가리키는 명사로 사용함.

 

※ 참고 1
- 영어의 경우는?
* 별개의 여성 명사가 존재하기도 함
예) 왕(King) - 여왕 (Queen), 신부(Bride) - 신랑(Bridegroom)
* 대부분 성별어는 남성 명사에서 여성 명사가 파생됨.
예) 수사자(lion) - 암사자(lioness), 웨이터(waiter) – 여자 웨이터(waitress),
배우(actor) - 여배우(actress)

 

2) 저지(Blocking)


♠  유표적인 표현이 더 보편적인(무표적인) 표현의 사용을 막는 현상.
예) 영어: 엄지손가락: Thumb (O), First finger(X),
크리스마스 다음 날: Boxing day(O), the day after Christmas(X)
한국: 모레(O), 내일 다음 날(the day after tomorrow)(X)

 

♠  일반 동물명과 어린 동물명

 

- 영어의 경우 이외에도 eagle-eaglet, sheep-lamb, cat-kitten, duck-ducking 등
어린 동물명이 더 자세히 발달되어 있음.
- 일본어의 경우 동물명에 ‘새끼’라는 의미의 子[ko] 붙여 표현함.


♠  동물명과 고기명

 

- 한국어에서는 식용으로 사용하는 고기는 ‘동물 이름 +고기’를 붙임.
- 중국과 일본에서도 ‘肉’을 붙여서 식용으로 사용하는 고기를 명명함.
- 영어의 경우는 동물 이름과 식용으로 사용하는 고기 이름이 별도로 존재함.
→ 이는 고기를 지칭하는 명사가 저지현상을 일으키기 때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