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명사구 내부의 어순
1) 명사와 관계절 어순
관계절 + 명사 (580/825) | 명사 + 관계절(141/825) |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등 (아시아권 언어) |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등 (나머지 언어) |
♠ 예)
- 한국어 : 내가 만난 아이
- 일본어 : 私が[watasiga] 会った[atta] 子ども [kodomo] (내가 만난 아이)
- 중국어 : 我[wo] 昨天[zuotian] 见到的[yudao] 孩子[haizi] (나 어제 만난 아이)
- 영어 : The boy who I met
♠ 관계절이 명사 뒤에 오는 것이 훨씬 많음
→ “복잡 구성 원리(Heavy construction principle)” 구성이 복잡해지면
가능한 문장의 뒷부분에 둠
♠ 명사와 관계절 어순은 목적어와 동사의 어순과 관계가 있음
→ VO 언어는 거의 모든 경우 ‘명사+관계절’ 어순을 가짐
→ 관계절+ 명사 어순은 거의 OV언어에서만 나타남
2) 명사와 부치사의 어순
♠ 부치사란?
- 명사가 문장 안에서 주어나 목적어, 장소, 시간과 같이 통사적, 의미적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서 결합 하는 문법적 요소
- 전치사와 후치사로 나뉨
- 전치사 언어: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중국어 등
- 후치사 언어: 한국어, 일본어 등
전치사 + 명사 (470/1142) | 명사 + 전치사(514/1142) |
영어, 프랑스어, 중국어, 태국어, 베트남어, 타갈로그어, 아랍어, 러시아어 등 VO언어 |
한국어, 일본어, 터키어, 몽골어 등 OV언어 |
♠ 예)
- 한국어 : 나는 집-에서 공부한다.
- 일본어 : 私は[watasiwa] 家で[ie-de] 勉強します[benkyo oisimasu]
(나는 집-에서 공부한다)
- 중국어 : 我[wo] 在家[zaijia] 学习[xuexi] (나는 에서-집 공부한다)
- 영어 : I study at home
♠ 부치사 어순과 기본 어순과의 관계
→ OV 언어는 후치사를 갖는 것이 보편적이고 VO언어는 전치사를 갖는 것이 보편적
→ OV 언어가 후치사를 갖는 이유는 핵어 후행언어이기 때문이고,
VO언어가 전치사를 갖는 이유는 핵어 선행언어이기 때문
3) 명사와 속격의 어순
Ÿ 속격이란?
- ‘친구의 집’과 같이 소유격뿐만 아니라 ‘5월의 신부’나 ‘민주주의의 건설’ 등과 같이
명사가 다른 명사를 수식하는 구성
속격 + 명사 (685개) | 명사+ 속격 (467개) |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영어 등 |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등 |
♠ 예)
- 한국어 : 친구의 집
- 중국어 : 朋友[pengyoude] 家[jia] (친구, 집)
- 프랑스어 : La maison de mon ami (정관사, 집, 의, 내, 친구)
- 영어 : My friend’s house / the house of my friend
♠ OV 언어들은 ‘속격+명사’의 어순을 갖고, VO 언어들은 ‘명사+속격’의 어순을 가짐
♠ 영어는 두 가지 방법 모두 가능함
'대조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35. 문장의 분류의 기준 (2) | 2024.06.05 |
---|---|
국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34. 동사구 내부의 어순 (2) | 2024.06.04 |
국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32. 어순의 개념과 구조 및 기본성분의 순서 (2) | 2024.06.02 |
국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31. 단어형성법의 원리 - 합성 (1) | 2024.06.01 |
국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30. 단어형성법의 원리 – 파생 (1) | 2024.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