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조언어학

국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31. 단어형성법의 원리 - 합성

728x90
반응형

31. 단어형성법의 원리 - 합성

 

1) 합성의 특징


(1) 정의 : 둘 이상의 기존 어휘 형태소(어근)을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것
(2) 합성어의 품사 : 일반적으로 합성어의 품사는 중심어에 의해 결정되는데
보통은 명사, 동사, 형용사 중 하나
(한국어의 경우는 그 밖에도 관형사, 부사, 감탄사도 합성어를
이루며 품사도 다양함)


2) 합성 명사


(1) 명사+명사 구성
① 좌분지 언어 : 주변어가 중심어 앞에 와서 수식하는 구성(영어, 독일어, 한국어, 일본어)
(예) 철+로 (鐵+路), rail+way
② 우분지 언어 : 주변어가 중심어 뒤에 와서 수식하는 구성(프랑스어 등의 로망스어)
(예) chemin de fer (road of iron)
(2) 동사+명사 구성
① VO 어순의 경우
동사와 목적어의 결합, 즉 VP(동사구)가 하나의 명사로 바뀐 것이 많음
♠  동사+명사 구성의 합성어가 자연스러움 (영어, 프랑스어 등)
② OV 어순의 경우
♠  동사+명사 구성 그대로 합성어를 만들기 어려움
♠  동사를 관형사형, 명사형 등 다른 형태로 바꾼 후 명사와 결합함

 

3) 합성 동사


① 합성동사의 구성
♠  명사+동사 구성 : 많은 언어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구성 (예: 힘들다, manhandle)
♠  동사+동사 구성 : 주로 한국어, 일본어, 여러 알타이어(우즈벡, 카자흐어), 힌디어 등에
자주 나타남 (예: 갈아입다, 알아보다, sleepwalk)

Q: 동사+동사 구성은 모두 합성동사인가?
A: 동사+동사 구성이 모두 합성동사는 아님
연쇄동사와 본동사+보조동사 구성도 ‘동사+동사’ 구성이므로 ‘동사+동사’ 가
모두 합성동사는 아님
* 연쇄동사 : 둘 이상의 동작을 표현하기 위해서 둘 이상의 동사를 사용하는 것
(예: 삶아 먹다, 오르내리다, come and see)
* 합성동사 : 하나의 동작을 표현하기 위해서 둘 이상의 동사를 사용하는 것
두 동사 중 더 중요한 동사 있고 덜 중요한 동사가 있음
(예: 알아보다, 갈아입다.)


4) 언어별 특징


(1) 한국어
① 다양한 구성방법으로 다양한 품사의 합성어가 생성됨
*  품사에 따른 분류
- 합성명사
♠  명사+명사 : 논밭, 눈비, 고무신
♠  부사+부사 : 잘못
- 합성용언
♠  명사+용언 어간 : 힘들다, 줄서다, 앞세우다
♠  용언 어간+용언 어간 : 굶주리다, 높푸르다, 굳세다
- 합성 부사
♠  명사+명사 :밤낮, 오늘날, 이것저것
♠  관형사+(의존)명사: 어느새, 한바탕
♠  명사의 반복: 하나하나, 사이사이, 차례차례
- 합성 수사
♠  수사+수사 : 열하나, 하나하나
- 합성대명사
♠  관형사+명사 : 여러분
♠  대명사+대명사 : 여기저기
- 합성관형사
♠  형용사+형용사 : 기나긴
♠  부사+동사 : 몹쓸

 

* 결합방식에 따른 분류
- 대등합성어
♠  두 어근이 대등한 자격으로 결합함 (예: 논밭, 오가다)
- 종속합성어
♠  앞의 어근이 뒤의 어근을 수식하는 방식으로 결합함 (예: 돌다리, 뛰어가다)
- 융합합성어
♠  단순히 두 어휘를 합한 의미가 아닌 제3의 의미를 갖는 합성어
(예: 밤낮(=늘, 항상), 돌아가다 (=죽다))
② 합성어의 형태적 분류
- 통사적 합성어 : 문법형태소로 두 단어를 연결하는 경우
♠  큰형, 작은집 (용언의 관형사형)
♠  들고나다, 돌아가다 (연결어미 연결)
- 비통사적 합성어 : 문법형태소 없이 두 단어를 연결하는 경우
♠  꺽쇠, 덮밥, 여닫다, 보슬비 등

(2) 영어
① 다양한 품사의 합성어가 있으나 대부분 합성명사, 합성동사, 합성 형용사가 주를 이룸
(예: bath-room(합성명사), him-self(합성대명사), snow-white(합성형용사),
window-shop(합성동사), some –where(합성부사), al-though(합성감탄사))
이때, 대체로 우측핵 규칙을 따라 오른쪽 단어의 품사에 의해 합성어의 품사가 결정됨
② 합성어의 제1강세는 첫음절에 놓임
(예: ge'ntleman, ra'ilroad, da'rkroom)
③ 합성어의 경우 본래 발음과 달라지는 것이 원칙
(예: break+fast = breakfast, two+pence = twopence)
④ 합성어의 구성요소는 자유롭지 못하고 고정되어 있음. 합성어 중간에 다른 요소를
넣을 수 없음
(예: bread and butter (생계) - butter and bread (버터와 빵, 생계의 의미가 없음)
(3) 일본어
① - 동사가 다른 성분보다 앞에 위치할 때는 飛び[tobi], き[yaki],食べ[tabe] 등과 같이
조동사 -ます [masu]가 붙는 연용형으로만 나타남.
♠  기본형을 -ます [masu]가 붙는 연용형으로 바꾼 다음 -ます를 삭제하고 뒤에 오는
명사와 결합시킴

 

- 형용사의 경우 기본형 끝의 い[i]를 떼어낸 형, 즉 어간이 뒤에 오는 명사와 결합함

② 합성어의 뒤 성분이 ‘연탁(蓮濁)’ 현상에 의해 탁음화(유성음화) 하는 경우가 있음

③ 전음(轉音)현상에 의해 합성어의 앞 성분 어말 모음이 달라지기도 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