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귀금속디자인

(90)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40. 디자인의 원리 3 40. 디자인의 원리 3 가. 황금분할(golden mean, golden section) 고대 그리스시대부터 사용하여 온 비례에서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하고 아름다운 비례 로서, 하나의 선을 크고 작은 2개의 선으로 나누는 경우, 작은 부분의 길이와 큰 부분의 길이의 비(比)가 큰 부분과 전체와의 비에 동등하게 되는 분할이 될 때에 그 미적 효과가 가장 크다. [그림 3-34]와 같이 이것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작은 부분을 a라 하고, 큰 부분을 b라 할 때 이 선의 전체 길이는 a + b라고 불 수 있다. 따라서 a : b = b : a 이다. (1) 직사각형의 황금 분할 [그림 3-35] (a)와 같이 정방형의 한 면을 1로 하고, 정방형 ABCD에서 BC의 중점 E 를 구하여 ED의 대각선 길이를 반..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39. 디자인의 원리 2 39. 디자인의 원리 2 1. 대비 대비(對比 : contrast)는 성질 혹은 분량에서 전혀 달리하는 둘 이상의 것이 공간적, 시간적으로 접근하여 나타날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그것은 서로가 상대방의 반사 성질 에 의하여 자기가 가진 특성을 명확하게 강조하기 때문에 쌍방의 차이점이 한층 뚜렷하 게 되고, 변화있는 강한 자극을 그 전체적 효과로서 나타내게 된다. 이와같이 모든 시각 적인 요소에 대하여 동적이고 극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작용을 하는 대비는 디자인의 조 화에 대하여 우리의 흥미를 자극하고 흥분시키는 다이나믹한 효과의 기본이고, 현대 생 활을 활기있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2. 균제와 균형 가. 균제(均齊 : symmetry) 균형의 가장 완전한 형으로 대칭 또는 균정(均整)이라고도 한다. 대칭..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38. 디자인의 원리 1 38. 디자인의 원리 1 어느 대상의 아름다움과 추함을 결정하는 조건을 그것의 내용·의미와 분리해서 형식 만을 생각할 때 이것을 미의 원리 또는 미의 형식 원리라고 한다. 따라서 디자인의 형식 적 원리만을 따지는 것을 디자인의 원리라고 한다. 고대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형식 원리가 제시되었고, 특히 근대의 심리학과 미학자들에 의해서 어느 정도 정리되었다. 이것은 원래 미학상의 개념이지만 오늘날은 거의 상식화되었다. 조화·대비·비례· 균제(均齊)·균형·율동·점이(漸移)·반복·통일·착시(錯視) 등이 그 주된 것으로 이 들 전체에 통하는 기본 원리는 다양의 통일이라는 것이다. 뛰어난 디자인은 이와 같이 여러 가지 원리가 교묘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이것을 기계 적으로 분석하기는 곤란한 일이다. 이들 원리를..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37. 입체 등 37. 입체 등 1. 입체 동적정의(動的定義)에 따르면 입체는 면의 이동에 의한 궤적이다. 이 경우 [그림 3-16]과 같이 면의 이동은 3차원적으로, [그림 3-16]과 같이 면과 각도 를 가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그림 3-17]과 같이 면의 회전에 의해 서도 발생한다. 그러나 이 같은 동적 정의는 입체에 관한 한 이념적인 것이다. 현실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물체는 입체이지만 순수형태로서의 입체는 모든 입체물의 기 본적 요소가 되는 의미에서 구(球), 원통, 입방체 등과 같이 단순한 것이 아니면 안된다. 그것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실제의 재료, 예를 들면 목재, 금속, 석고, 종이, 등을 필 요로 한다. 그러나 그 경우에 그 재질이나 구조 등은 문제 밖의 일이다. 즉 목재의 구(..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36. 면과 형 36. 면과 형 면은 선의 궤적에 의하여 생기며, 깊이와 넓이를 가진다. 조형적으로는 면과 합성 또 는 절단에 의해 새로운 면이 형성되는 경우가 선의 궤적에 의해 생기는 면보다 많다. 일반적으로 형은 입체적인 형과 평면적인 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입체적인 형을 보통 형태(form)라 하며, 평면적인 형은 셰이프(shape)라 부른다. 형(形)은 면과 동일한 개념에서 출발하여 어떤 모양을 나타낸다. 형은 보통 그 형태의 종류에 따라 기하학적 형태, 유기적(organic) 형태, 우연적(automatic) 형태, 불규칙 형태 등 4가지로 나누며, 선의 성격에 따라 직선적인 형, 곡선적인 형으로 분류하고, 이 를 다시 기하직선형, 자유직선형, 기하곡선형, 자유곡선형 등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가. 면(형)..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35. 디자인의 요소 (선) 35. 디자인의 요소 (선) 기하학에서 선은 점의 운동 궤적(軌跡)이라 한다. 면과 면의 경계, 형태의 외곽 또는 점운동의 흔적도 우리들은 선이라고 느낀다. 선은 자연 속에서 시각적으로 많은 역할을 못하나, 그릴 때나 창조하는 조형 속에서는 매우 중요한 시각적인 요소로 되어 있다. 사실 점이 본래 보이지 않는 것과 같이 선도 또한 볼 수 없는 것이며 개념적인 것이다. 그러나 점을 구상화시켜 시각적으로 여러 가지 점을 가시적으로 표현할 수 있듯이 선도 구상화 할 수 있다. 선은 면과 면의 경계 외에도 명암의 차이, 색상의 차이, 질감의 차이에서도 지각할 수 있다. 가. 선의 종류 선은 크게 직선과 곡선으로 구분 할 수 있다. (1) 직선 직선의 종류는 [그림 3-9]의 (a)와 같이 힘 있는 굵은 직선과 ..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34. 디자인의 요소 점 34. 디자인의 요소 점 디자인을 구성하는 요소는 여러 가지 각도에서 분류할 수 있으나 이것을 내용적 요소 와 형식적 요소로 분류하는 것이 보통이다. 내용적 요소라는 것은 디자인하는 대상의 목적·용도·기능·표상(表象) 등을 말하며, 형 식적 요소는 점·선·방향·크기·형(形)·텍스튜어(texture)·명암·색·매스 (mass)· 공간 등을 말한다. 형식적 요소는 내용적 요소에 지배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즉 둘은 떨어질 수 없는 관계에 있다. 또 형식적 요소는 재료에 의해서 구체화되므로 비록 디자인이 제품 이전의 계획이라 할지라도 재료와 그의 가공(加工) 및 생산 기술을 무시 할 수는 없다. 그래서 앞의 내용적 및 형식적 요소 이외에 이것을 실질적 요소 또는 물적 요소라고 해도 좋다...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33. 디자인의 과정 33. 디자인의 과정 우리들은 디자인 과정에서 디자인의 조건이 어떠한 방법으로 해결되어 발전해 가는가 를 생각하는 것으로 그 디자인을 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다. 예컨대 반지를 디자인 할 때에 반지를 착용하는 사람에 대한 기본적인 체격조건을 알 고 현재 유행 디자인을 조사하고 그 다음 디자인의 유행 방향을 생각하고, 재료 즉 소지 금속이나, 보석 등의 특징을 생각하여야 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왜 반지의 디자인을 하려고 하는가 라는 이유를 생각하여야 한다. 그러한 이유로는 자기의 일을 위하여 디자인 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고, 또 자기의 직 무로서 회사가 희망하는 것을 디자인 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디자인은 왜 필요한가 라는 것을 생각하는 과정이 곧 디자인의 출발점이다. 디자인의 과정으로는 ..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32. 디자인의 의미와 조건 등 32. 디자인의 의미와 조건 등 1. 디자인의 개념 예술가는 순수하게 아름다움만을 추구하고 표현하며, 우리들의 생활을 편리하게 한다 든가 대량생산을 해야 된다든가 하는 것은 생각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점에서 예술가에게는 제약이나 필요조건이 뒤따르지 않아 순수한 의미와 관계 가 없는 것은 생각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디자인은 그렇지가 않다. 즉 예술은 우리들의 정신을 높이고 마음의 기쁨을 주 면 충분하지만 디자인은 시각적으로 아름다워야 하고 기능에 충실해야 우리들 몸에 직 접 관련되고 무엇이든 행복을 가져와야 한다. 새로운 의자가 디자인되어 지금 것보다 값이 싸고 아름답고 앉은 기분이 좋아 장시간 의 작업에도 지치지 않는다면, 이 디자인은 우리들 몸에 구체적인 행복을 가져온 것이라 할 수 있다. ..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31. 귀금속과 장신구 2 31. 귀금속과 장신구 2 나. 은 (Silver, 銀) 은은 다른 귀금속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인 반면 은이 가지는 결점 때문에 준 귀금속(準貴榨屬)이라고도 한다. 색상은 우아한 회백색의 금속이나 분말인 경우에는 회색을 띤다. 순은은 순금 다음으로 전연성이 높은 금속으로 얇은 판이나 가는 선으로 만들 수 있으 며, 대기 중에 방치하거나 가열하여도 녹이 생기지 않으나, 유황이나 황화수소에는 반응 하여 황화은이 되어서 색상이 검게 변한다. 완성된 장신구나 착용 중에 변색을 한 은제품은 소다에 물을 적셔 닦아주거나 희석된 청산가리 용액에 담갔다가 꺼내어 깨끗한 물에 씻어주면 표면의 변색이 제거되어 원래 의 은색으로 된다. 은은 예부터 금 다음으로 애호되는 장신구의 재료로써 은선, 은박, 은분으로 만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