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디자인의 요소 점
디자인을 구성하는 요소는 여러 가지 각도에서 분류할 수 있으나 이것을 내용적 요소
와 형식적 요소로 분류하는 것이 보통이다.
내용적 요소라는 것은 디자인하는 대상의 목적·용도·기능·표상(表象) 등을 말하며, 형
식적 요소는 점·선·방향·크기·형(形)·텍스튜어(texture)·명암·색·매스 (mass)·
공간 등을 말한다.
형식적 요소는 내용적 요소에 지배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즉
둘은 떨어질 수 없는 관계에 있다. 또 형식적 요소는 재료에 의해서 구체화되므로 비록
디자인이 제품 이전의 계획이라 할지라도 재료와 그의 가공(加工) 및 생산 기술을 무시
할 수는 없다. 그래서 앞의 내용적 및 형식적 요소 이외에 이것을 실질적 요소 또는 물적
요소라고 해도 좋다.
이것은 완전한 분류법은 아니라도 그의 상호 관계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 디자인 요소>
기하학에서는 크기가 없고 위치만을 가리키는 것의 점의 정의이다. 그러나 시각적으로
점을 알아내기 위하여는 크거나 작거나 시각 단위로서의 크기가 필요하다. 크기가 있으
면 기하학상의 점이 아니고 작은 면적이 되지만 시각적으로는 상당히 큰 원(圓)도 환경
과의 관련에서 원이라고 보지 않고 점이라 생각하여 위치에 관심을 둘 경우가 있다. 예
컨대 성좌(星座)의 모양에서는 별은 상당히 크게 표현되어도 감각적으로는 별의 위치만
을 생각한다.
가. 점의 성질
점의 성질은 점의 크기, 점과 점의 간격, 그리고 주어진 화면이나 공간의 상대적인 관
계에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점의 성질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 인장력(引張力)
어떤 공간에 하나의 점이 놓이면 공간에 무게가 붙고 우리들의 시각은 이 자극에 집중된다.
[그림 3-1의] (a)는 빈 공간으로 공간속에 무게감이 느껴지지 않으나, 그림 (b)는 점으
로 인하여 무게감이 느껴진다. 여기에 그림 (c)와 같이 또 하나의 점이 가해지면 집중감
은 분산되나 점과 점 사이에는 심리적인 긴장을 느끼게 된다.
(2) 시력의 이행(移檧)
공간 속의 두 점이 크기가 같을 때에는 주의력이 양쪽으로 분산되지만, 하나가 더 클
때에 는 주의력이 우선 큰 쪽으로 쏠리고, 다음에 작은 쪽으로 옮겨진다. 이것을 시력의
이행이라 하는데, 시선의 흐름은 시각유도의 중요한 요소로서 디자인에 있어서 목적에
따른 시각 유도의 계획에 필수적인 것이다.
레이아웃(lay out)의 기술은 바로 이러한 원리를 적용한 것이다.
(3) 심리적인 형
별자리의 모양을 별의 위치만으로 알게 되는 것과 같이 점과 점 사이에 심리적인 직선
이 작용하여 우리는 세 점 이상이 모이면 어떠한 모양을 느끼게 된다.
이것은 우리들의 지각 속에 시각경험이 있어 이것에 관련하여 몇 개의 점을 볼 때 연
상 작용을 일으키게 되어 하나의 모양으로서 깨닫게 된다.
(4) 면적감, 입체감
점이 집합하면 명백하게 어떤 모양 또는 면적감을 느끼게 된다. 흔히 신문에 기재되는
동판사진(harf tone)을 보면 작고 큰 점으로 밀집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점의
특징을 잃고 면적감을 느끼게 하며 다양한 형태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또한 점의 놓여지는 질서에 따라 입체감도 느낄 수 있다.
(5) 방향감, 운동감
점이 같은 간격으로 연속적인 위치를 갖게 되면 선으로 느껴지며, 점에다 선을 가함으
로써 방향감과 움직임을 나타낸다. 점이 집합할 때 주조가 되는 점이 다른 점들을 종속
시키면 강한 움직임을 느끼게 된다.
(6) 온도감
같은 점이라도 점과 흰점의 감정 전달은 매우 다르다. 검정 바탕의 흰점이 흰 바탕의
검정 점보다 따뜻하게 느껴진다.
(7) 고상한 점
점의 집합에서 그 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점잖게 느껴지나, 크면 클수록 유치하고 점
잖지 못해 보인다. 물방울무늬의 옷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좋은 예이다.
(8) 변화 있는 점
질서 있게 배열된 점은 안정감은 있으나 단순하고 지루한 느낌이 든다. 따라서 변화
있는 점의 배열이 멋있게 느껴진다.
그러나 산만한 배열은 품위가 없으며, 짜임새 있고 균형 있는 배열이 안정감을 주면서
아름다운 조화미가 있다.
'귀금속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36. 면과 형 (2) | 2023.09.08 |
---|---|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35. 디자인의 요소 (선) (2) | 2023.09.07 |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33. 디자인의 과정 (3) | 2023.09.04 |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32. 디자인의 의미와 조건 등 (1) | 2023.09.03 |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31. 귀금속과 장신구 2 (2) | 2023.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