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귀금속과 장신구 2
나. 은 (Silver, 銀)
은은 다른 귀금속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인 반면 은이 가지는 결점 때문에 준
귀금속(準貴榨屬)이라고도 한다.
색상은 우아한 회백색의 금속이나 분말인 경우에는 회색을 띤다.
순은은 순금 다음으로 전연성이 높은 금속으로 얇은 판이나 가는 선으로 만들 수 있으
며, 대기 중에 방치하거나 가열하여도 녹이 생기지 않으나, 유황이나 황화수소에는 반응
하여 황화은이 되어서 색상이 검게 변한다.
완성된 장신구나 착용 중에 변색을 한 은제품은 소다에 물을 적셔 닦아주거나 희석된
청산가리 용액에 담갔다가 꺼내어 깨끗한 물에 씻어주면 표면의 변색이 제거되어 원래
의 은색으로 된다.
은은 예부터 금 다음으로 애호되는 장신구의 재료로써 은선, 은박, 은분으로 만들어 쓰
며, 장신구, 보석함, 화폐, 식기 등을 만들거나, 화학공업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1) 은의 특성
(가) 물리적 성질
은은 비중 10.49, 용융점은 960.5℃이며, 열 및 전기전도도는 금속 중 가장 좋다.
(나) 기계적 성질
은은 극히 유연해서 가공성이 풍부하며, 모든 금속 중 금 다음으로 전연성이 우수하여
그 특성을 이용하여 은박으로도 만들어 사용된다. 그러나 귀금속 장신구 재료로써의 순
은은 너무 무르기 때문에 합금하여 어느 정도 단단하고 질긴 은 합금으로 만들어 쓴다.
그중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쓰이는 것이 정은(sterling silver :正銀 92.5%)이다.
다. 백금(Platinum, 白榨)과 백금족(白榨族)
고급 장신구의 재료로써 이상적인 금속인 백금은 다이아몬드나 진주와 같은 회백색 보
석들과 조화를 이룬다.
백금은 순도에 따라서 A(1000‰), B(950‰), C(900‰), D(850‰)의 4등급으로 분류
되는데, A급과 B급은 귀금속이나 전자공업용으로 C급은 화학공업 및 실험실용의 도가
니, 용기, 선 등으로 사용되고, 이 밖의 D급은 화폐, 장식품, 전기저항선, 치과 재료 등
에 사용된다. 미국의 경우 순도가 95% 이상일 때에만 백금장신구에 Pt 또는 Pm 각인
을 찍고 있다.
(1) 백금의 특성
(가) 물리적 성질
백금 비중 21.43, 용융점 1773℃이다.
(나) 화학적 성질
산화되지는 않으나 인, 유황, 규소 등의 앙칼리나 왕수에는 침식된다.
(다) 기계적 성질
회백색의 귀금속으로 광택이 강하며 전성(展性), 연성(延性)은 비교적 좋다.
'귀금속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33. 디자인의 과정 (3) | 2023.09.04 |
---|---|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32. 디자인의 의미와 조건 등 (1) | 2023.09.03 |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30. 귀금속과 장신구 1 (2) | 2023.09.01 |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29. 서양 장신구사 5 (3) | 2023.08.31 |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28. 서양 장신구사 4 (4) | 2023.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