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21. 삼국시대 장신구사 5
21. 삼국시대 장신구사 5 나. 고려시대 (1) 시대적 배경 고려시대의 금속공예의 발달은 이 시대의 도예와 함께 한국 공예사상에 유례가 없는 풍요한 내용을 지니고 있다. 이 금속공예품들은 범종, 반자, 향완, 정병, 요령, 사리기를 비롯한 불교 관계의 조도품과 호사스럽던 귀족사회의 생활을 반영하는 장신구, 동경, 주 자(注子), 식기류 등 일상용 그릇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불교 관계의 금속공예품은 그 기법의 세련이나 양식의 특색으로 보아 이 시대 금속공예의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범종과 동제은입사로 된 향완, 정병류는 거의 고려 금속공예의 대표적인 예라 고 할 수 있을 만하다. 이밖에 고려의 금속공예는 이들 불교조도나 상류사회의 금·은기가 보이는 높은 격조 에 따를 만한 도자(刀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