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의문문의 일반적 특징과 언어권별 특징
1) 의문문의 종류
판정 의문문 = 극성 의문문 = 닫힌 의문문 | Yes/No Question |
설명 의문문 = 의문사 의문문 = 열린 의문문 | 의문사 있는 의문문 |
2) 판정의문문
(1) 판정의문문 형성 방식
♠ 의문 첨사에 의한 판정의문문
- 평서문 + 의문문용 첨사 = 의문 첨사에 의한 의문문
예) 중국어 : 你来吗(ma)? 당신은 옵니까?
프랑스어 : Est-ce-que + le president vient? 대통령이 옵니까?
일본어 : 山田さんは寝ています+ か(ka)? 야마다 씨는 자고 있습니까?
- 의문첨사의 위치
* 문말에 위치 - 아시아권 언어들(한국어 제외) (50%이상)
* 문두에 위치 – 유럽언어, 아랍어 (25%)
♠ 의문형 동사 형태에 의한 판정 의문
- 동사 + 의문문용 접사 혹은 어미
예) 한국어 : 그는 한국어를 공부합니까? (* 그는 한국어를 공부합니)
- 해당 언어 (전체 언어의 18%)
* 한국어, 미얀마어, 우즈베키스탄어, 아일랜드어, 아시아 소수민족 언어
※ 중요 * 의문첨사로 의문문을 만드는 것과 의문형 동사 형태로 의문문을 만드는 법의 차이 의문첨사 - 你来 (O) 당신은 옵니다 / 你来吗? 당신은 옵니까? (O) 의문형 동사 – * 당신은 옵니 / 당신은 옵니까? → 의문첨사는 평서형을 기준으로 첨사를 추가한 것으로 첨사가 빠져도 평서형 문장 형태를 유지함 → 의문형 동사는 동사 어미(접사)의 형태가 다르므로 의문형 동사 어미(접사)를 빼면 평서형이 되지 않음 |
♠ 어순도치에 의한 판정의문문
- 동사+주어의 의문문 어순
- 전체 언어의 1.4%
→ 영어, 독일어, 체코어, 스웨덴어 등 소수의 유럽언어
3) 설명의문문
(1) 설명의문문 형성 방식
♠ 의문사 사용 방식 : Where are you going?
♠ 부정대명사 사용 방식 : Are you going to somewhere?
♠ 설명의문문 의문사 위치
① 문두형
- 전체 언어의 1/3, 의문사+동사+주어 어순(What is it?)
- 예)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아랍어 등
② 비문두형
- 전체 언어의 2/3
- 예)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베트남어 등
4) 언어별 의문문의 특징
(1) 한국어
♠ 의문문표지
– 의문형 종결어미, 의문사, 상승억양, 이접구조(예: 먹어, 안 먹어?)
♠ 설명의문문 어순은 평서문과 동일
♠ 다양한 의문사 관련어 존재(몇, 얼마, 무슨, 어떻게....)
♠ 부가의문문은 형태변화 없이 ‘그렇지요?’ ‘그렇지 않니?’ 같은 구문을 덧붙임
(예: 오늘 날씨가 좋지요, 그렇죠?)
(2) 일본어
♠ 판정의문문의 표지 – 억양, 의문첨사(か(ka)), 이접구조
♠ 설명의문문의 어순은 평서문과 동일
♠ 설명의문문도 억양과 의문첨사 표지를 가짐
♠ 今何時です+ か(ka)? 지금 몇 시입니다 + 첨사 – 지금 몇 시입니까?
♠ いつご飯を食べる+の(no)? 언제 밥 먹다 + 첨사 – 언제 밥 먹니?
♠ 의문사에는 대명사, 수량사, 부사 등이 있음
(3) 중국어
♠ 평서문 끝에 의문 첨사인 조사 吗(ma)를 덧붙여 판정 의문문을 만듦.
♠ 정반의문문 즉 이접 구조 의문문을 많이 사용함.
예) 你喜欢她吗?+你不喜欢她吗?
너 걔 좋아하니? + 너 걔 안 좋아하니?
→ 你喜欢不喜她?
너 걔 좋아하니, 안 좋아하니?
♠ 선택의문문의 경우 还是[hai shi]를 사용하여 표현함.
→ 이때는 吗(ma)를 사용하지 않음.
예) 您 喜欢 音乐 还是 电影?
당신 좋아하다 음악 아니면 영화
♠ 설명의문문의 경우 의문사가 있기 때문에 吗(ma)를 사용하지 않음.
→ 의문사의 문두 이동은 없음.
예) 你 毆欢 强
너 좋아하다 누구
(4) 영어
♠ 의문문 표지는 어순도치, 의문사, 억양, 조동사 do, 이접구조.
♠ 판정의문문의 경우 조동사 do를 문두에 둠.
♠ 판정의문문에 대한 대답으로 yes, no를 사용함.
- 부정의 판정의문문에 대한 대답은 한, 중, 일과 다름.
- 질문과 관계없이 긍정이면 yes, 부정이면 no로 대답함.
- 예) Don’t you like me?
→ Yes, I like you. / No, I don't like you.
♠ 부가의문문은 주절이 긍정이면 부정의 형식, 주절이 부정이면 긍정의 형식을 가짐.
♠ 억양은 질문할 때는 상승조, 확인할 때는 하강조를 가짐.
- 예) You like him, don't you?
You don’t like him, do you?
'대조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39. 부정문의 일반적 특징과 언어권별 특징 (2) | 2024.06.09 |
---|---|
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38. 명령문의 일반적 특징과 언어권별 특징 (2) | 2024.06.08 |
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36. 평서문의 일반적 특징과 언어권별 특징 (1) | 2024.06.06 |
국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35. 문장의 분류의 기준 (2) | 2024.06.05 |
국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34. 동사구 내부의 어순 (2) | 2024.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