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조언어학

국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25. 형용사의 보편적 특징과 언어별 특징

728x90
반응형

25. 형용사의 보편적 특징과 언어별 특징

 

형용사는 사람과 사물의 속성이나 상태를 나타내며 많은 언어에 존재함.
문장 내에서 수식 또는 서술의 기능을 함.


1) 형용사의 보편적 특징


(1) 형용사는 전형적으로 속성의 개념을 표시하는 말. 따라서 그 속성의 정도에 따른
형태 변화(예: bigger, biggest)가 있거나 정도성을 나타내는 말의 수식을 받을
수 있음 (예: really big, too big)


(2) 의미적 관점에서 볼 때, 명사적 속성과 동사적 속성을 공유함
▶  형용사는 명사와 동사의 중간쯤에 해당
① 형용사-명사 언어 : 라틴어, 프랑스어, 몽골어, 터키어 등
② 형용사-동사 언어 : 태국어, 인도네시아어, 한국어 등


(3) 형용사는 언어에 따라 열린 부류일수도 있고 닫힌 부류일 수도 있음

▶ 열린 부류 : 명사나 동사같이 새로운 어휘들이 지속적으로 더해질 수 있어 어휘 첨가에
제한이 없는 품사
▶ 닫힌 부류 : 한국어의 조사나 영어의 접속사와 같이 새로운 어휘의 첨가가 쉽지 않은 품사

 

2) 한국어 형용사의 특징


(1) 속성의 개념을 표시하지만 속성의 정도에 따른 형태 변화는 없음
단, ‘더 맛있다’, ‘제일 크다’ 등과 같이 정도성을 나타내기 위해 정도 부사의 수식
을 받을 수 있음


(2) 동사적 성격을 갖는 형용사-동사 언어
▶  그 자체로 서술 기능을 가짐 즉 한국어 형용사는 용언에 속함
▶  따라서 “계사+형용사” 구문이 존재하지 않고 동사와 마찬가지로 형용사가 활용을
할 수 있음
▶  동작성 의미를 갖지 않기 때문에 명령형, 청유형, 진행형을 만들 수는 없음
a. 이 요리가 맛있다. This cuisine is delicious
b. 이 요리는 맛있고, 맛있지만, 맛있는데, 맛있으니까....., 맛있어요. 맛있습니까?
c. 예쁘세요(X), 예쁘고 있어요(X), 예쁩시다(X)

 

(3) 형용사에는 현재형 어미 ‘-ㄴ/는다’를 사용할 수 없음
▶  형용사는 기본형이 현재형 (예쁘다 : 예쁜다(x), 예쁘다 (o))


3) 형용사의 언어별 특징


(1) 영어
▶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형태변화가 있음(비교급-er, 최상급-est)
▶  영어의 형용사는 명사에 대해 무엇인가를 더해줌(명사 수식기능)
▶  영어의 형용사는 서술어가 될 수 없음. 서술어가 되려면 계사(be동사)의 도움이 필요함
▶  be 동사는 연결동사의 기능.
▶  열린 부류에 속하여 새로운 어휘에 대하여 개방되어 있음


(2) 일본어 (p197,198 scan)
① 형용사의 분류
- 형용사 : -い[i] - 서술기능, 활용
- 형용동사 : -だ [da] - 서술기능, 동사식 활용

② 형용사의 수식
* 한국: 관형사형 전성어미로 명사 수식 – 좋은 나라
* 일본
- 형용사 : 기본형 유지
- 형용동사 : 기본형-だ[da]가 한국어의 관형사형 전성어미 기능을 하는
연체형 -な[na]로 바뀜

 

 

③ 열린 부류로 새로운 어휘에 대하여 개방되어 있으며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으나
정도에 따른 형태 변화는 없음


(3) 중국어
① 형용사가 수식과 서술의 기능을 가지며 열린 부류로 목록이 개방화되어 있음
② 고립어적 특성으로 인해 품사의 겸용현상이 나타남

품사의 겸용 현상이란?
단어가 형태의 변화 없이 명사, 동사, 부사 등 여러 품사를 가질 수 있는 것
즉 단어가 접사화에 의한 형태변화 없이 다른 품사의 역할을 하는 것
이때 품사는 어순과 문장 구조에 따라 결정됨

 

③ 형용사가 서술어로 사용될 때는 영어와 달리 계사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음
④ 다음절 형용사가 관형어나 부사어로 사용될 때 구조조사를 사용함.
명사 앞에서 2음절 이상의 형용사가 관형어(수식)로 쓰일 경우 형용사 뒤에 的[de]를
사용하고 부사어로 사용될 경우 형용사 뒤에 地[de]를 사용 <200그림삽입>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