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인칭대명사의 보편적 특징과 언어별 특징
▶ 인칭대명사는 여러 대용어(pro-form)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며, 모든 언어에 존재함
1) 인칭대명사의 보편적 특징
① 인칭대명사는 일반적으로 인칭과 수에 따른 변화가 있음
인칭: 1, 2, 3인칭 수 : 단수, 복수
② 대부분 언어는 3인칭에서 성의 구분이 있음
③ 인칭 대명사는 겸양이나 높임과도 관련이 있음
▶ 겸양 –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에서는 1인칭에 겸양의 인칭 대명사가 있음
▶ 높임 – 대부분의 언어는 2인칭 높임의 인칭대명사가 있음
동양 – 대화 참여자의 상, 하 개념
서양 - 상호 존중의 개념
④ 인칭대명사에 격변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존재함
▶ 영어의 인칭대명사, 게르만어군, 로망스어군, 슬라브어군 등 대부분 인도 유럽어족 언어들.
2) 한국어 인칭대명사의 특징
(1) 한국어 인칭대명사 분류
(2) 한국어는 인칭대명사가 발달하지 않은 언어 중 하나
▶ 실제 사용되는 인칭대명사 – 나, 우리, 저희, 너, 너희들 /
2인칭 높임 ‘당신’ - 특별한 경우 사용
(3) 한국어에는 단일어로서의 3인칭 대명사가 없다고 할 수 있음
▶ ‘그’, ‘그녀’는 문어 혹은 번역문에서 사용하고 있음
▶ 한국어에서는 ‘지시관형사 + 명사’의 형태로 사용됨
(예) a. 그녀 너무 예쁘지 않아? (?)
b. 그 여자 너무 예쁘지 않아? (O)
▶ 친분이 있거나 가족 관계일 때는 ‘이분’, ‘저분’을 사용하지 않고 호칭과 지칭 사용
(4) ‘저희’는 1인칭 복수인 ‘우리’의 겸양칭이지만 청자를 포함하지 않고,
‘우리’는 청자를 포함
(예) a. 선생님, 우리 같이 커피 마시러 가실래요?
b. 선생님, 저희 커피 좀 마시고 오겠습니다.
3) 인칭대명사의 언어별 특징
(1) 영어
① 영어 인칭대명사는 격에 따라 굴절을 함
② 단수와 복수로 이루어져 있음
③ 3인칭 단수의 경우 성에 따른 구분이 있음
④ 1인칭 복수의 경우 청자 포함 또는 불포함의 구분이 없음
⑤ 여러 언어에서 볼 수 있는 겸양어나 높임말은 없음
(2) 일본어
① 단수와 복수로 이루어져 있음
② 3인칭 단수는 물론 복수에도 성에 따른 구분이 있음
③ 1인칭 복수의 경우 청자 포함 또는 불포함의 구분이 없음
④ 1인칭의 경우 한국어와 같이 평칭과 겸양칭, 2인칭의 경우 존칭이 있음
⑤ 한국어와 달리 彼[kare,그], 彼女[kanozyo,그녀]를 잘 사용함
(3) 중국어
① 단수와 복수로 이루어져 있음
② 3인칭 단수는 물론 복수에도 성에 따른 구분이 있음
③ 1인칭 복수의 경우 청자 포함 또는 불포함의 구분이 없음
④ 2인칭 단수의 경우 부모나 가까운 친척 어른에게는 평칭인 你[ni]를 쓸 수 있음
모르는 사람이나 나이가 많은 사람,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는 2인칭 존칭인 您[nin]을 씀
⑤ 한국어와 달리 他[ta,그], 她[ta,그녀]를 잘 사용
'대조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26. 동사의 보편적 특징과 언어권별 특징 (0) | 2024.05.27 |
---|---|
국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25. 형용사의 보편적 특징과 언어별 특징 (1) | 2024.05.26 |
국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23. 명사 (1) | 2024.05.08 |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22. 어휘범주와 품사의 개념 (0) | 2024.05.07 |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21. 구개음화 (0) | 2024.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