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조언어학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14. 언어별 자음체계

728x90
반응형

14. 언어별 자음체계

1) 한국어의 자음 체계


(1) 개요 : 21개, 조음위치, 조음 방법, 공기의 세기(우리 몸으로부터 방출되는 공기)
로 분류


(2) 자음 목록

 

① 장애음 15개, 공명음 6개
② 장애음 –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이며 모두 무성음
-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이 모두 평음, 경음, 격음으로 구성
(단, 마찰음 /s/는 격음 없음)
③ 공명음 – 한국어의 모든 공명음은 유성음
 


2) 영어의 자음체계


(1) 개요 : 24개, 조음위치, 조음방법, 성대진동유무로 분류
(2) 자음목록

 

① 모든 장애음에는 무성음과 유성음 존재 (성문음 h 제외)
② 공명음은 한국어 체계와 동일
③ 비음은 파열음과 조음위치 동일
④ 유음은 /
ɹ/,/l/이 별개의 분절음으로 존재


3) 일본어의 자음체계


(1) 개요 : 14개, 조음위치, 조음방법, 성대진동 유무
(2) 자음목록

 

 
① 파찰음은 파열음의 변이음으로만 존재
② 비음 /n/,/m/은 있으나 연구개비음/ŋ/은 없음.
③ 유음/l/은 존재하지 않으며 탄설음 /
ɾ/이 있음.
 


4) 중국어의 자음체계


(1) 개요 : 25개, 조음위치, 조음방법, 유기성의 유무
(2) 중국어의 자음 체계

 

① 성문마찰음 /h/가 없고 연구개 마찰음 /x/가 존재
② 파열음과 파찰음에는 무기음과 유기음의 대립이 있으나 마찰음에는 유기음 없음.
③ 공명음, 비음은 한국어, 영어와 동일
④ 유음은 영어와 마찬가지로 /
ɹ/,/l/이 있음.
⑤ 활음은 /j/,/w/외의 유성의 양순 경구개 접근음인 /
ɥ/가 있음.

 

4) 언어간 자음 목록 대조


(1) 조음 위치별 자음 대조

 

① 한국어에는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후음이 있으나 순치음, 치간음, 치음, 권설음이
없음.
② 영어에는 양순음, 순치음, 치간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이 있으나
치음과 권설음이 없음.
③ 일본어에는 양순음, 치조음, 연구개음, 후음만 있음.
④ 중국어는 자음의 수가 가장 많음, 치간음과 치조음을 제외하고 모두 발견됨.


(2) 조음 방법별 자음 대조

 

① 한국어는 파열음이 9, 마찰음 3, 파찰음 3, 비음 3, 유음1, 활음 2로 파열음이 많음.
② 영어는 파열음 5, 마찰음 9, 파찰음 3, 비음 2, 유음2, 활음2로 마찰음이 많음.
③ 일본어는 파열음 6, 마찰음3, 비음2, 유음1, 활음2로 파열음이 많고, 네 개의 언어 중
자음의 수가 가장 적음.

④ 중국어는 파열음 6, 마찰음 5, 파찰음 6, 비음 3, 유음 2, 활음 3 파열음과 파찰음이
많은데 다른 언어에 비해서는 파찰음이 상대적으로 많음.


(3) 한국어 자음의 특징
① 대립되는 소리의 수적인 차이
- 다른 언어는 장애음이 두 종류로 분류되는데 한국어는 세 종류로 분류됨.
예) 양순파열음 – 영어, 일본어 /p/,/b/ 두 종류의 소리가 있는 반면,
한국어는 /ㅂ,ㅍ,ㅃ/ 세 종류의 소리가 있음.


② 대립되는 소리의 질적인 차이
- 다른 언어에서 장애음은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나누어짐. 반면에 한국어의 장애음에는
/b.d.g.z.
ʤ/와 같은 유성음은 없고 무성음만 있음. 대신 평음, 격음, 경음의 대립이 있
고, 이 소리에 의해 의미가 달라짐. (예 : 달, 딸, 탈)

※ 한국인이 영어나 일본어의 /b,d/를 한국어의 /ㅂ.ㄷ/로 인식하는 것은 유성음과 무성음의
차이를 기의 세기로 인식하여 유성음을 상대적으로 기가 약한 평음으로 인식하기 때문

 

③ 조음위치가 단순한 한국어 자음
- 치음(영: think, father의 /ɵ, ð/)이나 순치음(영: flower, victory의 /f,v/) 같은 소리
가 없음.
- 권설음(중국어)이나 목젖음,인두음(아랍어)이 없음.
④ 다수의 파열음과 파찰음
- 한국어의 파열음과 파찰음은 각각 9개, 3개로 모두 12개
- 일반적인 경우의 평균이 8-10개임을 고려할 때 상당히 많은 편
- 가장 흔한 마찰음이 /s,f,ʃ/임을 고려해 보면, 한국어 마찰음은 수적인 면에서는 적지
만 ‘ㅅ’와 ‘ㅆ’의 대립은 보편적인 것은 아님.
⑤ 영어에서는 /l/과 /r/이 별개의 자음이지만 한국어의 유음 /ㄹ/은 환경에 따라
소리가 다르게 나는 변이음
(예: 다리, 노래의 ‘ㄹ’은 /r/과 유사한 발음, 돌, 풀의 ‘ㄹ’은 /l/과 유사한 발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