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강 가정의 의미와 가정문화
집,가족,가구의 의미
가정과 유사한 개념에는 집, 가족, 가구가 있다. 집은 우리가 사는 가옥을 의미하기도 하고, 가족이 있는 가정을 의미하기도 하며, 정서적인 둥지, ‘집안’ 또는 ‘가문’을 의미하기도 한다. 가족은 생물학적 뿌리를 가진 사회학적 개념으로서 부모 자식 관계와 같은 인연으로 맺어지는 친척과 결혼으로 부부가 되는 인연으로 맺어지는 인척의 결합을 의미한다. 가구는 경제학적 개념으로 수입과 지출을 관리하는 방식, 부양의 책임을 지는 범위와 한계 등을 보면 가구들 간의 문화적 차이를 알 수 있다. 가정의 의미 - 가정은 가족이 만드는 사회적 관계, 정서적 분위기, 문화적 행동의 집합체를 말한다. 가정은 초기 사회화의 핵심적인 장이며, 교육적 환경을 제공하고 교육적 토대를 형성하는 중요한 단위가 된다.
가정의 기능
1)가정은 한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문화의 전달을 가장 초기에 가장 기초적인 방식으로 수행한다. 가정에서 진행되는 문화학습은 주로 모방, 훈육, 실습에 의해 이루어진다. 2)최근에는 학교의 획일성, 억압성, 비효율성 등을 비판하면서 홈스쿨링(home schooling)과 같이 가정의 교육 기능을 복원하려는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가정에서 부모는 자녀를 양육하면서 동시에 자녀를 지도하고 있다. 그리고 부모의 자녀에 대한 직접적인 교육과 자녀의 교육에 대한 간접적 지원의 비중은 오늘날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가정,학교,사회
1)가정, 학교, 사회는 하나의 생활세계 속에 공존하면서 부단히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2)학교는 한 사회의 표준적인 공통문화를 체계적으로 전달하는 공공의 장이다.(학교학습-교과학습/ 가정학습-문화학습으로구분하기도한다) 3)근대 산업화 이후 농촌 중심의 대면사회가 도시 중심의 대중사회로 전환되면서 대중문화와 대중교육이 핵심적인 과제로 대두되었다. 4)최근에는 사회 전체를 평생교육의 장으로 구조화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가정문화의 개념
가정이라고 하는 작은 사회에 별도의 문화가 있을 수 있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가정에서 삶을 영위하는 독특한 방식과 기준이 있고, 이것이 바로 가정문화이다. 가정문화는 사회 전체 문화의 축도 또는 조견표라고 말할 수 있다. 가정문화의 구성요소 - 가정에 대한 관심, 가정을 구성하는 집단들과 그 특성, 가정생활의 방식, 가정의 제도적 조건과 기능. 가정에대한관점 - 우리는 일부다처제 가정, 일처다부제 가정, 일부일처제 가정, 이성 간의 결혼으로 이룬 가정, 동성 간에 결혼으로 이룬 가정 중, 관점1) 어떤 가정을 정상적인 가정 또는 비정상적인 가정이라고 여기는가? 또한, 관점2)우리는 어떤 가정을 행복한 가정 또는 불행한 가정이라고 여기는가? 부유한 가정인가 아니면 화목한 가정인가?
가족 구성원들의 특성과 관계 - 1)좋고 나쁜 아버지의 상과 어머니의 상이 있고, 2)형제 서열에 따른 구분이 강한 사회와 약한 사회가 있으며, 3)구성원들에 대한 호칭체계가 복잡한 사회와 단순한 사회가 있다. 4)가정 구성원들의 관계는 권리, 의무, 금기, 애정, 상속, 거주 등 여러 요인에 의해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가정생활의 방식 - 1)부부의 재산관리 방식,2) 부부의 역할 분담, 3)세대 간 관심의 차이, 4)자원과 기회의 배분을 둘러싼 경쟁, 5)구성원 각자의 공간에 대한 관점이나 제도에 따라 달라진다.
가정의 제도적 조건과 기능 - 1)모든 사회는 가정의 성립, 유지, 변이에 대한 규범과 제도를 가지고 있다. 이 중에는 법률로 규정된 것도 있고, 불문율로 공유하고 있는 것도 있다. 2)가정에 대한 기대와 기능은 다양한 형태의 문화로 존속하고 있다. 3)보통 때는 잘 모르다가도 가정의 규범, 제도, 기대, 기능 등이 침해될 때 사람들은 가정문화의 존재를 확인하게 된다.
한국 가정문화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가정에 대한 관점측면에서 혈연강조, 자녀교육에 치중 되고있다. 가정을 구성하는 집단들과 그 특성측면에서 엄부자모의 전통 와해, 종적 질서보다 횡적 유대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 가정생활의 방식측면에서 맞벌이, 외식, ‘문화비’지출이 증가되고,가정의 제도적 조건과 기능면에서 가정의례준칙을 무색케 하는 혼례풍습, 공공육아시설 부족현상이 있다. 첫째, 자녀의 교육과 성공 문제가 가정문화의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둘째, 부모와 자녀 사이의 효도, 형제자매 간의 우애와 같은 전통적인 가치가 아직도 큰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다. 셋째, 남녀 간 역할 분담이 다변화되고 있으나, 여성의 경우 살림살이와 직장생활이 이중부담으로 작용하는 경향도 있다. 넷째, 향후 노년기 가정의 미래가 불투명한 실정이다.
문화와 인성 학파는 한 사회의 문화가 어떻게 구성원들에게 전달되며, 그 심리구조가 어떻게 피드백되어 문화로 재생산되는가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문화와 인성 학파에 의하면, 우리는 어린 시절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초기 사회화를 통하여 자기 문화의 패턴을 습득한다. 또한, 모든 민족 또는 국민에게 민족성이나 국민성과 같은 독특한 성격이 있다. 비판 - 그러나 동일한 육아방식에도 상이한 행동방식이 나타나며, 동일한 문화에서 성장한 사람들 간에도 개인차가 존재한다. 이 점에서 문화와 인성 학파의 논의는 비판적 검토의 여지가 있다. 예컨대, 구순기(예;젖주기,젖떼기)의 만족도가 높으면 낙관적인 성격을 갖게 되고 낮으면 비관적인 성격을 갖게 되며, 항문기(예;대소변 훈련)의 만족도가 높으면 여유롭고 온화한 성격이 형성되고 낮으면 인색하고 잔인한 성격이 형성되며, 혼자서 먹고 입고 자고 배설하기와 같은 독립훈련의 시기와 방법에 따라서 서로 다른 성격이 형성된다는 가설은 검토가 필요하다.
강의요약
1. 가정은 초기사회화의 핵심적인 장이자 교육의 중요한 단위임
2. 가정문화는 가정에서의 삶을 영위하는 독특한 방식과 기준을 말함
3. 한국의 가정문화에서는 자녀의 교육과 성공 문제가 가장 중요한 요소임
4. 문화와 인성의 관계에 대한 가설들은 장기적인 관찰과 문화 간 비교연구가 요구됨
'문화와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 교양 학과, 인문학 등 문화와 교육 요점 정리 9. 학교문화의 개념과 연구의 주요 내용 (0) | 2022.11.29 |
---|---|
문화 교양 학과, 인문학 등 문화와 교육 요점 정리 8. 가정문화와 가정교육 (0) | 2022.11.27 |
문화 교양 학과, 인문학 등 문화와 교육 요점 정리 6. 문화의 변동과 지체 (0) | 2022.11.25 |
문화 교양 학과, 인문학 등 문화와 교육 요점 정리 5. 문화와 교육의 갈등․상생 관계 (0) | 2022.11.24 |
문화 교양 학과, 인문학 등 문화와 교육 요점 정리 4. 문화와 교육의 갈등․상생 관계 (0) | 2022.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