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장 사회문제란 무엇인가: 사회, 문제, 사회문제
개인문제와 사회문제
- 개인적인 문제일지라도 많은 사람들이(집단적으로) 유사한 고민이나 문제를 갖고 있다면 그것은 더 이상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라 사회문제가 된다.
- 밀즈. 『사회학적 상상력』: 경제가 불황이라 공장의 기계가 멈추어 있고 기업이 기업 활동을 하 지 못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취업을 못하고 실업으로 고생한다면 그것은 더 이상 개인 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문제이다.
- 사회문제
· 집합적인 의미를 가짐
· 문제의 원인이 인간사회로 한정됨
· 대안이나 행동이 전제됨
· 지속적인 관심을 필요로 함
· 개인적인 대처보다 사회 공동의 대처나 국가의 적극적 역할을 통해 해결해 나가야 한다는 점을 사고할 수 있도록 해준다.
2. 사회문제를 보는 관점
- 사회문제에서 ‘문제’라는 말은 ‘관심을 필요로 하는’ 또는 주로 공론을 통해 ‘해결해야 하는’ 이라 는 뜻이다.
3. 사회문제의 상대성
- 객관적으로는 남녀차별과 신분차별이 존재했으나 주관적으로는 사람들이 문제로 인식하지 못했 기 때문에 이러한 차별들이 적극적으로 사회문제가 되지 않음
- 사회 문제에 대한 인식은 시대, 국가, 집단 등에 따라 상대성을 지닌다.
- 사회적 지위, 이해관계, 가치관 등의 차이로 인해 동일한 현상에 대해 ‘사회문제’로 느끼는 정도 가 다를 수 있다.
4. 한국사회와 사회문제
- 우리가 한국사회라고 지칭하는 것의 실체는 남한사회인 것이다.
- 남한의 특수한 조건은 서구와는 다른 형태의 사회문제가 발생함
- 한국전쟁으로 좌파 세력과 사회운동에 대한 극심한 억압은 민주주의 제도가 제대로 작동하는 것 을 방해하였다.
- 남북 분단으로 인한 상시적인 전쟁위협, 사회내의 이념 갈등과 지역 분열, 미국을 비롯한 주변 강대국의 이해관계에 종속
'한국사회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양, 논술, 방통대 등 한국 사회문제 요점정리 6. 건강불평등문제 (0) | 2022.09.05 |
---|---|
교양, 논술, 방통대 등 한국 사회문제 요점정리 5. 여성문제 (0) | 2022.09.05 |
교양, 논술, 방통대 등 한국 사회문제 요점정리 4. 한국사회와 청년문제 (0) | 2022.09.04 |
교양, 논술, 방통대 등 한국 사회문제 요점정리 3. 교육문제 (0) | 2022.09.04 |
교양, 논술, 방통대 등 한국 사회문제 요점정리 2. 노동문제 (0) | 2022.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