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56. 오류분석의 한계점
1) 오류와 습득의 관계
♠ 오류가 많이 나타난다고 해서 학습자는 그 규칙(문법)을 이해하고 있지 못한다고 말할 수 없음
→ 회피전략
♠ 오류 연구는 학습자들의 발화 자료 전체에 대한 관찰이 바탕이 되어야 하며 특정 규칙의
발화 빈도, 바르게 사용된 빈도, 오류가 일어난 빈도 모두가 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함
2) 산출 자료에 대한 연구 편중
♠ 오류는 표현영역과 이해영역에서 모두 다루어져야 하지만 이해영역에서 발생한 오류를
관찰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표현영역의 오류를 주로 관찰해왔음.
♠ 그러나 학습자 언어란 산출과 수용 모두를 말하는 것이므로 오류연구 역시
이해와 표현영역을 모두 다루어야 함
3) 오류분석의 주관성
♠ 오류를 분석하고 그에 대해 설명하는 과정에 연구자의 직관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매우 높음.
♠ 오류 식별 단계에서 비문법성을 판단하는 근거인 직관은 사람마다 다름
→ 이 때문에 동일한 문장에 대한 문법성 판단 결과가 달라질 수도 있음
♠ 오류 기술 단계에서는 오류문에 대응되는 목표어 문장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오류 양상이 달라진다는 점도 문제임
♠ 오류 수정의 범위 (이정희 (2007))
- 최소한으로 고침
- 학습자의 발화의도를 최대한 반영함
- 한국어 화자의 발화 경향을 반영하여 수정함
728x90
반응형
'대조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55. 오류분석의 실제 (1) | 2024.07.04 |
---|---|
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54. 오류분석의 절차와 방법 (1) | 2024.07.03 |
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53. 오류판정의 기준 (1) | 2024.07.02 |
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52. 오류의 원인 (3) | 2024.07.01 |
문학, 국어,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51. 오류분석과 대조분석의 차이 (2) | 2024.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