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족이란 무엇인가?
가족에 대한 개념정의를 한 학자- 머독, 레비스트로스, 버제스와 로크
머독(Murdock)-가족이란 부부와 그들의 자녀로 구성되고, 주거와 경제적인 협력을 같이 하며, 또한 자녀의 출산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이라고 한다(가족의 외형적 구성과 기능을 중심으로 가족을 정의)***
레비스트로스(Levi-Strauss)-가족은 결혼으로 시작되며 부부와 그들 사이에 출생한 자녀로 구성되지만 이들 이외에 가까운 친척이 포함될 수 있고 가족구성원은 법적 유대 및 경제적 .종교적인 것 등의 권리와 의무, 성적 권리와 금기, 애정, 존경 등의 다양한 심리적 정서로 결합되어 있다고 하였다 이것은 머독의 개념보다 확대된 범위의 가족을 말하며 특히 가족의운명공동체적 성격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버제스(Burgess)와 로크(Locke)-가족을 혼인 혈연 혹은 입양에 의해 결합된 집단으로서, 하나의 가구를 형성하고, 남편과 아내 아버지와 어머니, 아들과 딸, 형제와 자매라는 각각의 사회적 역할 속에서 상호작용하며 의사를 소통하고, 공통의 문화를 창조, 유지하는 집단이라고 정의 하였다(가족구성원간의 내적인 상호작용 관계를 강조)*
(2)가족의 종합적인 의미-가족이란 부부와 그들의 자녀나 근친자로 구성되는 기본적인 사회 집단으로서, 이들은 이익관계를 떠난 애정적인 운명공동체를 이루며, 서로 간의 의사소통 속에서 공통의 문화를 창조. 유지하는 집단으로 볼 수 있다
(3)가족과 함께 일상적으로 통용되는 용어**
가정-가족이 함께 생활하는 공동체를 가정이라고 하는데, 이는 가족이 안주할 수 있는 장소를 의미하는 말로, 물질적인 환경뿐만 아니라 휴식과 안식이 있는 따뜻한 보금자리를 뜻함
가구- 주거와 가계를 같이 하는 자 또는 독신으로서의 주거를 가지고 단독생활을 영위하는 자를 가구라고 한다(행정용어로 쓰이는 호구(戶口)나 세대(世代)는 가구와 동의어) 혼인관계나 혈연관계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경제적 협력만을 기준으로 한집단을 말함***
집-물리적인 건물, 문화적인 가격과 가풍, 가족원과 친족원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초시간적인 개념도 포함한다
☞가족에 대한 재개념화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다양성을 인정하는 범위은 그렇게 크지 않으며, 아직은 여전히 초혼 핵가족을 가족의 주류 형태로 인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핵가족- 부부와 그들의 미혼자녀로 구성된 가족을 말하며 개별가족, 단순가족, 요소가족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서양의 핵가족과 구별되는 성격을 지니는 점에서 부부가족이라는
용어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확대가족- 핵가족이 확대되거나 복합된 형태로 이는 총체가족, 합성가족, 복합가족이라고도 한다
☞머독은 확대가족과 복혼가족을 합하여 복합가족이라고 한다
☞부모로부처 독립하여 분가(分家)하는 차남 이하의 자녀가 구성하는 새로운 가족은
부부가족이 된다(외형적으로 핵가족과 동일)
☞계부모 가족-두명의 성인과 그들 중의 어느 한쪽 혹은 양쪽에서 나온 자녀들로
이루어진 다양한 가족이다
☞수정확대가족-구성원 상호간의 정서적 유대를 강조하고 친밀한 환경으로서 가구를 통해 현대가족의 고립을 피하고자 하는 것이다
☞동거부부-공식적으로 결혼식이나 혼인신고를 하지 않고 사는 부부로, 동거부부로 지내다가 서로가 맞지 않으면 헤어지고 잘 맞으면 자녀를 낳고 가족을 형성하는 등 구혼과정 중의 한부분으로 실험 결혼의 성격을 갖는 형태
☞공통적으로 자녀의 사회화를 가족의 보편적 기능으로 본 학자
- 데이비스(생식, 유지, 지위부여, 사회화의 기능)
- 머독(생식, 사회화, 경제적 협력, 성적인 기능)
- 라이스(새로 태어난 아이를 양육하는 사회화의 기능)
☞오늘날 서구사회의 현대가족이 수행하고 있는 중요한 기능(듀발Duvall)*
①가족원간의 애정도모, ②안정감 부여와 수용, ③만족감과 목적의식 부여
④지속적인 동료감 유지, ⑤사회적 지위 부여와 사회화, ⑥통제력과 정의감의 확립
☞오늘날까지 지속되는 가족의 기능(맥이버-가족의 기능이 점차 감소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떤 것은 역사적으로 소멸된 것도 있다는 것을 인정
☞파슨즈는 산업사회에서 핵가족의 기능으로 자녀의 사회화 기능과 긴장관리의 기능으로서 성인의 인성을 안정시키는 기능만 남게 된다고 보았다
☞갈등론자들과 여권론자들-가족내에서 사회화 과정을 통하여 성차별적, 계급 차별적
이데올로기가 재생산되는 측면에 대해서도 주목하고 문제를 제기한다
☞구조기능주의- 가족이 사회와 개인을 위해 수행하는 순기능적 측면만을 강조하고 그 기능 수행이 원활히 되기 위해서는 가족 내 부부간의 역할 분담이 성에 의해 잘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여성의 과중한 부담- 여성의 경제적 기능, 여성의 교육기능, 가족복지기능
'가족관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사1급, 복지직, 보육사 등 가족관계학 핵심 요점 정리 6. 결혼 준비 (0) | 2022.10.23 |
---|---|
복지사1급, 복지직, 보육사 등 가족관계학 핵심 요점 정리 5. 사랑 (0) | 2022.10.22 |
복지사1급, 복지직, 보육사 등 가족관계학 핵심 요점 정리 4. 한국가족의 이념과 실제 (0) | 2022.10.22 |
복지사1급, 복지직, 보육사 등 가족관계학 핵심 요점 정리 3. 가족과 계층 (0) | 2022.10.21 |
복지사1급, 복지직, 보육사 등 가족관계학 핵심 요점 정리 2. 가족 생활 주기 (0) | 2022.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