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사, 복지직 공무원 등 핵심 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8. 지역사회복지의 역사(한국)

728x90
반응형

8. 지역사회복지의 역사(한국)

1. 일제시대 이전의 지역사회복지(근대이전)
가. 민속적인 부락협동관행
(1) 계(契)
- 계는 상호 간에 공통된 이해관계를 가2인 이상이 상호부조의 정
각하여 사회,경제, 산업, 교육 및 일반생활의 이을 도모하기 위
하여 구성한 일종의 민간협동 조직

 

(2)
- 부터 우리 농촌에서 전되어 모의 부단위공동체로서
주로
공작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기 위한 민속적이적인 지역사
회의 공동체
다.
-
오늘날 활동과 기계를 공동 이용하여 수배분하는 공동작업반,
업기계 이용하는 등의 형태가 두레에서 나이라고 볼 수 있
다.

 

(3) 품앗
- '품앗'란 말 중에 ''노동을 가리키는 , ''공동노
력을 의미하는
으로 부민들이 노동력을 서로 차용 또는 교
환하는 조직을
한다.
- 우리나라
농촌의 가장 대표적인 노동협력의 형태로 이사회적 성
고 있다.

 

(4) 향약
- 지역사회의 발전과 지역주민들의 화, 화, 교화를 적으로 한 지식
인들 간의 자치적인 협동조직.
향약의 4업상권, 과실상,
예속상교, 환

 

나. 정부에 의한 인보제도
(1) 강제성이 아
라 당위성을 재량적인 시책.
(2)
국시대 대표적 구제도
- 고구려 진대
기에 관민에게 다가 수기에 상환토록 하는 구
도로 고국천
16에 재상 을파소가 실시
-
민육조로 현되는 6가지 복지시(민서)
-
가통
중국의 인보제도를 본부터 실시한 정부가 강제성을 지
인보제도.
(3) 국가 단위 상설복지기구
- 의(義倉)
라시에는 이 들면 양장해서 상구제, 고려 구호
행정에 중요역

에서는 의장된 의 반은 거치하고 나지 반은 민간에
부하여 다음 추수기에 환
오늘날 생활보호제도와 같다고 수 있
- 상평창(常平倉)
고구려시, 민에 물 대여하고 상환의주어
-
민을 구제하는 국가기관

 

2. 일제강점기의 지역사회복지 (1910 ~ 1945)
- 일제의 식민통치의 소산이제국주의 침탈 과정에서 기되는 사회문제를
.
-
대표적 법안은 1944에 제정된구호령」우리나라 생활보호법의
모태.
- 일제강점기
민정은 민중의 기본구에 있는 이 아라 식민지 지배질
서의 안정이라는
면에서 정치적, 이데로기적 기능면이 강조되면서 전개
되었다.

 

가. 협동조합운동
(1) 협동조합은 상부상조를 통해 조합원의 경제적 지위를 상시키고자 하는
자주 조직.

(2) 일제시에는 일제의 자본주의 성장시키기 위한 관제로 도되어 문제를
.

 

나. 일제하의 사회복지사업
(1) 사회복지지도기관 : 오늘날 사회복지협의회와 유사업, 조직이 관에 의
해 통제.
(2) 조
구호의 실시(19443) : 공부조의 효시.
(3) 사회복지시설과 사업 : 각종 어린이 보호시설, 구
, 방사업, 다수의 인
보관 개설.
(4) 지역복지에 관한 연구 활동 : 각종 문
발간, 강회, 사회사업협회 설치.

 

다. 인보관 중심의 근대화 시기
- 현재 사회복지관의 모체인 인보관은 20교사들에 의해 설립.
우리나라 초의 인보관은 1906년 선교사 스(Mary Knowles)의 반
은 1921년 선교사 이어스에 의해 설립된 태화사회관 이라
고도 함.
부에서 일본 사회사업제도였던 방면위원제도를 서에 설치.
- 효과적 수행 위해 동부,
부, 포, 성동, 영등포 5개 인보관 설립, 영.

 

3. 해방 이후의 지역사회복지
가. 개관
- 해방 이후에는 사회, 한국전우한 사람 수용시설사업이

이에 라 지역사회복지사업은 국 민간 원조기관에 의한 이 1970년대
지 주를 이
- 서구의 사회복지 개념은 1900년대 초기부터 교사의 교활동의 일
환으로 소개

 

나. 사회복지공동모금
- 민간자원을 동원하여 사회복지 상에 기여하는 .
(1) 1971
한국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구성라 민간주도 공동모금
동 전개.
- 사회여
보 부으로 발전하지 함.

- 1980사회복지기금법을 제정, 관주도의 우이동 전개
- 1997
사회복지공동모금법 제정, 1999사회복지 공동모금회법으로 개
정.

 

(2) 의의
- 지역 주민이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
수 있는 계
마련.

 

다. 국민원조기관과 지역사회복지
(1)
국 민원조단체 한국연합회 (KAVA, Korean Association of
Voluntary Agencies)
- 국에 있는 본부의 지원으로 국내에 보사업, 교육사업, 생활보호, 재
해구호 또는 지역, 사회개발 등의 사회복지사업을 행하는 비영리적 사회
사업기관으로, 사업자원이
국에서 마련되고 국에 의해 영되는 기
관이다.
- 1970
년대 후반부터 수하거나 수계획을 세움.
(2) KAVA리나라 사회복지사업에 미
- 지역사회 작사업 등 전문화된 사회복지 사업을 실천으로 보여.
- 우리나라 민간복지사업의 주
, 우리나라에 사회사업이라는 학문 도
.

 

라. 지역사회개발사업
- 1955UN에 의하여 후국의 경제, 사회발전을 위해 주창됨.
- 1970
년대 지역사회개발사업은 새마동으로 전환 : 지역사회복지 실천
기반, 관주도의 반강제적
동이라 자발성 원칙에 어.

 

마. 1980년대 이후 : 지역사회개발 모에서 지역사회행동 모로 확대
(1) 제 5공화국의 사회복지정책
- 1981제5공화국이 범하면서 민심회유의 정치적인 배경아복지사
설을 국정지로 내다.
- 영
대책으로 층에 한 소능력의 배양과 빈곤세습화 차단
과 영
민의 도시 집중제에 노력하다.
- 1981
자복지법,노인복지법, 1981아동복지법,
1982
생활보호법1983사회복지사업법이 개정으로, ‘복
지5법’이
립되어 사회복지서비스가 법적 기초아발달하게 되었다.

- 5공화국 후반부터는 시설수용위주의 복지사업에서 어나 지역복지와
재가복지가 강조되기 시작하
고, 사회복지관을 설, 확대다.
- 1987
1991의 제6차 경제개발 5개계획의 기본방으로 정부는 경제
발전수
는 복지시, 가과 지역사회의 복지지원의 최대한 동원
등을 제시하
다.
- 이 시기부터 한국형 복지모형은 국가개
을 가능한 소화하고 가기능
을 강화하
자조와 재활을 강조하고 자원봉사를 강조하는 면으로
되었다.

 

(2) 제 6공화국의 사회복지정책
- 1988제6공화국정부는 경제와 사회의 형적인 발전을 통하여 가
자의 갈등을 해소 하다는 목표선언다.
- 1989
지방자치법이 제정되고 지방자치가 시작되면서 사회복지업
도 중정부에서 지방정부에 이양하기 시작다.
- 이 시기의 개정법
로는 모자보, 영유아보, 인고
촉진에 관한 법, 자고용촉진, 장인복지법 개정, 노인
복지법 개정, 의
보호법 개정, 사회복지사업법 개정 등이 있다.
- 의
보장의 경우 1963년 처음 보호법이 제정되었으나, 1989부터
전 국민
상의 의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 1988
부터 국민연금제도가 실시되었고, 장인종합대책을 공포하여 장
인복지에 노력하고, 사회복지관을 전국으로 확대하여 수용시설의 복지
시설을
탈피하려 하다.
- 여성의 사회참여
증대라 보육시설을 확충고. 재가복지를 중시하
여 재가복지봉사센
를 설치하고 사회복지전문요원을 영집지역
에 배치하
다.

 

(3) 문민, 국민의 정부의 사회복지정책
- 정권의 경제정로 1997IMF체제에 들어감에 라 1998
년 말대량의 실업자가 발생하고 이 가데 1998중 정권이
범하여 제1차 사회보장발전계획(19992003)을 수립.
- 이 계획에는 경제위기를
이하여 1차 안전'4'과, 2차 안전
인 ‘공적부조', 3차 안전'긴구호'로 구성된 사회 안전망 갖
지국가의
설.

- 우리나라사회보장제도는 산재보, 의, 국민연금, 고용보등 4
사회보제도가 시행.

 

(4) 근의 경
- 1990년대 이후 지역사회복지는 지역중심성, 전문성을 특강화함으로
질적인 변화를 구하고 있.
- 자원봉사 활동
확대, 법제정으로 민간활동라 정부 조직도 강화
- 재가복지의
확대 : 재가복지봉사센터가 민간사회복지관에 부설되어 있으
, 서비스 실천 주체는 주로 자원봉사자가 담당.
- 2000
10국민기초생활보장법 시행으로 지역사회 중심의 자활지원사
업 본
전개.
-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 지역사회
구에 는 복지서비스 제공 노력.
- 2005
8부터 시, 군, 구에서 지역사회 복지 협의체를 영하고 있.

학 습 정 리
1. 일제시대 이전의 지역사회복지(근대이전)
2. 일제강점기의 지역사회복지(1910~1945)
3. 해방 이후의 지역사회복지(1946~현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