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사, 복지직 공무원 등 핵심 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6. 지역사회복지의 역사(미국)

728x90
반응형

6. 지역사회복지의 역사(미국)

1. 미국 지역사회복지 자선조직시기 (1865~1914)
가. 자선조직협회 (C.O.S : The Charity Organization Society)
- 산업화에 따른 농촌의 도시 이동, 해이민자의 빈곤, 남북
문제, 주
, 질문제로 사회문제가 이 발생, 이를 개하기 위해 사회
복지기관이
이 설립.

 

(1) 설립
- 1873
경제공황에 의한 은 실업자 발생, 런조직협회에서
활동하
미국인 사들이 미국으로 아와서 1877영국 성공회 소
속 거
(Gurteen)사에 의해 버로시에서 설립.
- 민간단체들 간의 업
조정은 론, 사회의(Case conference)를 조직
화하여 직
적인 서비스를 제공함.
- 이 시기의 자
조직협회의 지도자들은 구호를 을 가치가 있는
과 가치가 없는
민으로 구분하고 구호를 을 가치가 있는 민에
게만 원조를 제공.

 

(2) 활동내용
- 미국의 C
OS동은 단한 구호활동을 어 합리적이고 효적인 자
, 과학적 자(scientific charity)을 지다.
- 구호
신청자들을 체계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유원(초의 사회
복지사)을
용.
- 자원봉사자인 우
방문원이 구호 신청자들을 개별적으로 면.
- 과학적 자
을 지함으로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실천의 발전을 가져왔다.
- 지역사회계획 전문기관
생.
- 사회조사기술이 발전하여
츠버그 서이 실시.

 

나. 인보관 (settlement movement)
(1) 설립
- 1886
이트(Stanton Coit)가 (Neighborhood Guild
o
f New York)를 성한 을 시작으로, 1889스(Jane Adams)
여사가
하우스 (Hull House)를 시고에 립하면서 인보관
속하게 확대.
- 사후치
보다는 사전예방적인 방법을 우시.

 

(2) 인보관 활동의 특
- Jane Adams는 1890에 런Toynbee Hall을 견학하고 시고에
미국 인보관의상
이라고 수 있는 Hull House를 설립.
- 자
조직협회와는 달리 빈곤문제의 원인을 개인의 나태와 무절제에
있다고 보지
고 사회적인 환경에 있다고 주장.
- 노동조합의
성을 조장하고 아 교육 공중위생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
- 인보관은 미국 전역에 설치.
- 지역주민 스스로 문제를 해
결할 수 있도는 전문 사회사업의 집
단사회사업, 사회조사, 지역사회조직으로 발전.

 

2.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비교

구분 COS Settlement Movement

기관
- 영국 : 1869예술가인 러스
의 주 도로 런에 설립.
- 미국 : 1987
기어틴 목사의 주
도로
주 버로에
설립.
- 영국 : 1884성공회 사제 바넷
의해 런
의 유대빈민가에 '
인비 '을 설립.
- 미국 : 1889
제인 아스가 시
민가에 '헐 하우스'
설립.
- 민구제
- 자
민 구호 단체의 조직
화.
-
민들의 구호 의존을 근절하는
.
- 연한 계갈등과 노사 갈등을 지
역사회 수
에서 조정 또는 봉합하
여 사회적 조화를 이루는
, 사회
적 갈등의 봉합.
-
민과의 우정과 동료애의 강조로
부간의 갈등이 수 있는
으로 믿.
이념사상 사회화론 자유주의, 개교 사회복, 급진주의,
실용주의
초점/
관점
- 민들의 구호 의존 문제에 관심
-
빈곤을 개인적 관점에서의 접근

-
민은 수자이자 도의
- 빈곤 자체에 관심
-
빈곤을 지역사회의 맥락 접근
-
민과의 개별적 관계를 중시
- 이
과 동접근
방법 - 자기관들의 트워크형성
-
민을 개조하거나 그들이
상황의 역기능적인 면 수정-도
움 받을 자이 있는 사람과 그
은 사람으로 구분
- 개별적 방문을 통한 자립과

의 가치
- 지역사회 내 거주하면서 그들의 생
활에 어
정도 동정하고 기존 사
회질서에
해 비
- 문치활동, 민속제, 프 등 지
역사회복지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 환경과 제도를 개
주도자 - 상층, 부유층 - 교육을 은 중산층 출신
참여형태 - 개인의 역기능적인 면 수정
- 가정 방문을 통한 교육, 가계 경
제에
한 조
- 민들과 거주하는 자원봉사자
- 1:1상적인 구호와 서비스
제공
(
이스시초)
- 지역사회조직(전문가로 구성된 협
회설립)모태
- 지역사회계획 전문기관
생, 사
회조사기술(서
이)발전
- 그룹웍 시초
- 지역사회
동(지역사회복지관 형성)
에 영
한계 - 활동가들의 내재된 도적 우
감으로 개인적 관계형성에 실.
-
민과의 개인적 관계형성이라는
적이 크게 퇴색.
- 빈곤문제의 본 원인을 지적하는
이 소적이라 지역의 환경변화
민의 사회적 이 성장한
은 아.
- 주민 참여의
극대화보다 필요한 서
비스제공에 중점을
.

3. 미국 지역공동모금과 협의회 발전시기 (1914 ~ 1929)
- 제1차 전 중 전모금회가 생성된 부터 공동모금회로 발전, 그리고
1929
년 대공황에 이르는 시기. 개인의 실는 개인의 문제에서 비된다고
믿어서 개인변화에 역점.

 

가. 지역공동모금제도의 등장
- 제1차 전 중 ‘전시모금기구’설립 - 공동모금제도 발전 촉진제.
- 자
사하는 사람들의 이을 위한 지역공동모금제 설립.

 

나. 사회복지기관협의회
- 사회복지사업을 합리적으로 조직화하고 모금능력 강화하여 자들과 사
회복지기관의 자치성을 보호하기 위해 1909
년 밀워키와 츠버그에
초로 설립.
-
공황으로 인한 대량실업과 빈곤으로 개인의 명은 이상 개인에게
원인이 있는
이 아라 사회에도 임이 있다고 하여 민간보다 정부
증대되어한다고 생각함.
사회보장법 제정(1935), 공공사업 분야 확대, 최저 임금법 제정.
: 과거 민간기관에 의해 제공되었
던 빈민구제사업이 정부기관으로 이양.
린스키(S. Alinsky)의 지역조직동 활성화
:
오늘날 지역사회복지동에 직적 영을 미.

 

4. 미국 지역복지의 정착시기 (1955년 이후)
가. 1960년대의 큰 이슈는 ‘빈곤과의 전쟁’정책으로 연방정부 책임 확대
- ‘빈곤과의 정’ 중에서 지역사회행동 프로그
- 지역주민 조직화하여 면문제 직하도유도
헤드스타트(Head Start Program)
- 미국정부는 1965년 대도시 민가의 유아에게 조기교육의 기회를 제공해
빈곤대물림막겠다는 지로 도다. 이 프로그은 시초에
는 일부 도시지역
층 자상으로 지만, 지금은 미국전역에
층 3,4유아교육, 보육, 출신 부모상 영어교육 등 다양
한 지원활동을
이고 있다.

 

나. 1970년대와 80년대 신보수주의 이념의 확대
- 보수적 이데로기와 예산 부으로 자조집단 형성, 자원봉사 조직화하려
는 노력
-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전
들이 다양하게 개발

 

다. 1990년대
- 사회복지기관의 행정과 계획, 조직발전, 가계획에 주안점
이로 인해 사회복지서비스의 효성과 가 등을 강조

- 복지개(welfare reform)으로 지역사회 중심의 민간비영리조직이 양적으

- 프로그
목표, 조직 간의 협력체계가 발달

학 습 정 리
1. 미국 지역사회복지 자선조직시기(1865~1914)
2. 미국 지역공동모금과 협의회 발전시기(1914~1929)
3. 공공복지사업의 발전시기((1929~1954)
4. 미국 지역복지의 정착시기(1955 이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