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지역사회복지의 역사(미국)
1. 미국 지역사회복지 자선조직시기 (1865~1914)
가. 자선조직협회 (C.O.S : The Charity Organization Society)
- 산업화에 따른 농촌의 도시 이동, 해외이민자의 빈곤, 남북전쟁 후 흑인
문제, 주택, 질병문제로 사회문제가 많이 발생, 이를 개선하기 위해 사회
복지기관이 많이 설립.
(1) 설립
- 1873년 경제공황에 의한 많은 실업자 발생, 런던 자선 조직협회에서
활동하던 미국인 목사들이 미국으로 돌아와서 1877년 영국 성공회 소
속 거틴 (Gurteen)목사에 의해 버팔로시에서 설립.
- 민간단체들 간의 업무조정은 물론, 사례회의(Case conference)를 조직
화하여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함.
- 이 시기의 자선조직협회의 지도자들은 구호를 받을 가치가 있는 빈민
과 가치가 없는 빈민으로 구분하고 구호를 받을 가치가 있는 빈민에
게만 원조를 제공.
(2) 활동내용
- 미국의 COS운동은 단순한 구호활동을 넘어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자
선, 즉 과학적 자선(scientific charity)을 지향했다.
- 구호 신청자들을 체계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유급 사무원(최초의 사회
복지사)을 채용.
- 자원봉사자인 우애방문원이 구호 신청자들을 개별적으로 면접.
- 과학적 자선을 지향함으로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실천의 발전을 가져왔다.
- 지역사회계획 전문기관 탄생.
- 사회조사기술이 발전하여 피츠버그 서베이 실시.
나. 인보관 (settlement movement)
(1) 설립
- 1886년 코이트(Stanton Coit)가 뉴욕시 근린길드(Neighborhood Guild
of New York)를 결성한 것을 시작으로, 1889년 아담스(Jane Adams)
여사가 헐 하우스 (Hull House)를 시카고에 건립하면서 인보관 운동
이 급속하게 확대.
- 사후치료보다는 사전예방적인 방법을 우선시.
(2) 인보관 활동의 특징
- Jane Adams는 1890년에 런던의 Toynbee Hall을 견학하고 시카고에
미국 인보관의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Hull House를 설립.
- 자선조직협회와는 달리 빈곤문제의 원인을 개인의 나태와 무절제에
있다고 보지 않고 사회적인 환경에 있다고 주장.
- 노동조합의 결성을 조장하고 탁아 교육 공중위생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
- 인보관은 미국 전역에 설치.
- 지역주민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전문 사회사업의 집
단사회사업, 사회조사, 지역사회조직으로 발전.
2.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비교
구분 | COS | Settlement Movement |
최초 기관 |
- 영국 : 1869년 예술가인 러스킨 의 주 도로 런던에 설립. - 미국 : 1987년 기어틴 목사의 주 도로 뉴욕 주 버팔로에 설립. |
- 영국 : 1884년 성공회 사제 바넷에 의해 런던의 유대빈민가에 ' 토인비 홀'을 설립. - 미국 : 1889년 제인 아담스가 시카 고 빈민가에 '헐 하우스'를 설립. |
목적 | - 빈민구제 - 자선 및 빈민 구호 단체의 조직 화. - 빈민들의 구호 의존을 근절하는 것. |
- 막연한 계급갈등과 노사 갈등을 지 역사회 수준에서 조정 또는 봉합하 여 사회적 조화를 이루는 것, 사회 적 갈등의 봉합. - 빈민과의 우정과 동료애의 강조로 빈부간의 갈등이 완화될 수 있는 것으로 믿음. |
이념사상 | 사회진화론 | 자유주의, 개신교 사회복음, 급진주의, 실용주의 |
초점/ 관점 |
- 빈민들의 구호 의존 문제에 관심 - 빈곤을 개인적 관점에서의 접근 함 - 빈민은 수혜자이자 선도의 대상 |
- 빈곤 해결 자체에 관심 - 빈곤을 지역사회의 맥락 접근함 - 빈민과의 개별적 관계를 중시 - 이웃과 동료로 접근 |
방법 | - 자선기관들의 네트워크형성 - 빈민을 개조하거나 그들이 처한 상황의 역기능적인 면 수정-도 움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과 그 렇지 않은 사람으로 구분 - 개별적 방문을 통한 자립과 근면 의 가치 훈계 |
- 지역사회 내 거주하면서 그들의 생 활에 어느 정도 동정하고 기존 사 회질서에 대해 비판 - 문맹퇴치활동, 민속축제, 캠프 등 지 역사회복지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 환경과 제도를 개혁 |
주도자 | - 상류층, 부유층 | - 교육을 받은 중산층 출신 |
참여형태 | - 개인의 역기능적인 면 수정 - 가정 방문을 통한 교육, 가계 경 제에 대한 조언 |
- 빈민들과 거주하는 자원봉사자 |
영향 | - 1:1상담 직접적인 구호와 서비스 제공 (케이스웍 시초) - 지역사회조직(전문가로 구성된 협 회설립)모태 - 지역사회계획 전문기관 탄생, 사 회조사기술(서베이)발전 |
- 그룹웍 시초 - 지역사회운동(지역사회복지관 형성) 에 영향 |
한계 | - 활동가들의 내재된 도덕적 우월 감으로 개인적 관계형성에 실패. - 빈민과의 개인적 관계형성이라는 목적이 크게 퇴색. |
- 빈곤문제의 근본 원인을 지적하는 것이 소극적이라 지역의 환경변화 나 빈민의 사회적 힘이 성장한 것 은 아님. - 주민 참여의 극대화보다 필요한 서 비스제공에 중점을 둠. |
3. 미국 지역공동모금과 협의회 발전시기 (1914 ~ 1929)
- 제1차 세계대전 중 전쟁모금회가 생성된 때부터 공동모금회로 발전, 그리고
1929년 대공황에 이르는 시기. 개인의 실패는 개인의 문제에서 비롯된다고
믿어서 개인변화에 역점.
가. 지역공동모금제도의 등장
- 제1차 대전 중 ‘전시모금기구’설립 - 공동모금제도 발전 촉진제.
- 자선금 희사하는 사람들의 이익을 위한 지역공동모금제 설립.
나. 사회복지기관협의회
- 사회복지사업을 합리적으로 조직화하고 모금능력 강화하여 자신들과 사
회복지기관의 자치성을 보호하기 위해 1909년 밀워키와 피츠버그에 최
초로 설립.
- 대공황으로 인한 대량실업과 빈곤으로 개인의 운명은 더 이상 개인에게
원인이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도 책임이 있다고 하여 민간보다 정부
역할이 증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함.
⋅ 사회보장법 제정(1935), 공공사업 분야 확대, 최저 임금법 제정.
: 과거 민간기관에 의해 제공되었던 빈민구제사업이 정부기관으로 이양.
⋅ 알린스키(S. Alinsky)의 지역조직운동 활성화
: 오늘날 지역사회복지운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침.
4. 미국 지역복지의 정착시기 (1955년 이후)
가. 1960년대의 큰 이슈는 ‘빈곤과의 전쟁’정책으로 연방정부 책임 확대
- ‘빈곤과의 정책’ 중에서 지역사회행동 프로그램
- 지역주민 조직화하여 당면문제 직접 해결하도록 유도
※ 헤드스타트(Head Start Program)
- 미국정부는 1965년 대도시 빈민가의 유아에게 조기교육의 기회를 제공해
서 빈곤의 대물림을 막겠다는 취지로 도입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시초에
는 일부 도시지역 저소득층 자녀를 대상으로 했지만, 지금은 미국전역에
서 저소득층 3,4세 유아교육, 보육, 외국출신 부모대상 영어교육 등 다양
한 지원활동을 벌이고 있다.
나. 1970년대와 80년대 신보수주의 이념의 확대
- 보수적 이데올로기와 예산 부족으로 자조집단 형성, 자원봉사 조직화하려
는 노력
-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전략들이 다양하게 개발
다. 1990년대
- 사회복지기관의 행정과 계획, 조직발전, 평가계획에 주안점
⋅이로 인해 사회복지서비스의 효율성과 평가 등을 강조
- 복지개혁(welfare reform)으로 지역사회 중심의 민간비영리조직이 양적으
로 확산
- 프로그램의 목표, 조직 간의 협력체계가 발달
학 습 정 리 |
1. 미국 지역사회복지 자선조직시기(1865~1914) 2. 미국 지역공동모금과 협의회 발전시기(1914~1929) 3. 공공복지사업의 발전시기((1929~1954) 4. 미국 지역복지의 정착시기(1955 이후) |
'지역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사, 복지직 공무원 등 핵심 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9. 지역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이론적기초(사회체계이론) (0) | 2022.06.20 |
---|---|
사회복지사, 복지직 공무원 등 핵심 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8. 지역사회복지의 역사(한국) (0) | 2022.06.19 |
사회복지사, 복지직 공무원 등 핵심 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5. 지역사회복지의 역사(영국) (0) | 2022.06.17 |
사회복지사, 복지직 공무원 등 핵심 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4. 지역사회 복지의 원칙 (0) | 2022.06.16 |
사회복지사, 복지직 공무원 등 핵심 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3. 지역사회 복지의 개념 (0) | 2022.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