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사 및 사회복지학과 필수과목 사회복지실천론 요점 요약 정리 2강. 사회복지실천발달과정의 이해

728x90
반응형

2강. 사회복지실천발달과정의 이해

 

1. 학습개요

사회복지 실천 발달과정에 대한 이해

 

2. 학습목표

사회복지 실천이론 및 모델의 역사적 발달과정을 학습한다

 

3. 학습내용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사회복지 실천의 발달과정

그 시기마다 나타나는 역사적 사건, 사회사상, 이론에 영향을 받음

한국의 사회복지실천 발달과정

일제시대 방면위원회 제도’ - 빈민의 생활상태 조사 : 개별

이화여자대학교(1947), 강남사회복지학교(1953) : 사회복지교육

태화기독교사회관 - 최초의 복지관(1921) : 지역

현재 전국 330~ 340개 복지관

전문적
사회복지실천
이전기
(~19C )
1601. 영국
엘리자베스
구빈법
빈민구호법령을 집대성하여 성문화, 세계 최초 공적 복지 법률
빈민분류(사회통제적 성격)
열등처우의 원칙(최하봉급액수를 넘지 않는 선)
빈민의 국가책임 인정
전문적
사회복지실천
출현(19C ~
1900)
자선조직 미국(1877), 영국(1896) 설립
기존의 사회복지 서비스를 과학적으로 통합조정
구제신청자에 관해 체계적으로 조사
우애방문자(19C~산업혁명 이후) : 중산층 부인들이 중심. 구 제기능간 연락, 조정, 이후 유급봉사자로 활동하면서 기능과 영 역확대. 정신보건의료분야로 발전
개별사회사업(cw)의 시초 : 사회복지실천 활동의 근간이 됨
인보관운동 영국에서 먼저 시작. 빈민계층과 함께 거주
기독교 사회주의 사상. 빈민들의 생활개선, 집단활동 전개
소외계층의 역량 강화
지역사회복지와 집단사회사업으로 발전
사회복지실천
전문화기
(1900~1920)
사회복지실천 전문직이 확립된 시기(전문적 확립기)
전문적인 사회사업실천 이론 확립, 사회사업조직이나 단체에 유급직원 배 치, 사회사업관련 단체와 연맹을 전국 규모로 조직, 사회사업관련 전국회의 를 개최
사회복지실천
전문적 분화기
(1920~1950)
다양한 영역에서 사회복지실천이 확장되면서 공통지식기반을 만들자는 움직임 이 나타남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사업
사회복지실천
의 통합(1950
~1960)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이 이루어진 시기
사회사업실천 이론의 통합, 통합이론의 대표적 모델, 사회사업실천 기술의 통합, 전문직 단체의 통합, 사회사업 교육의 통합
사회복지실천의
발전기
(1960~1980)
여러 방향으로 발전하다 통합이란 이름으로 발전(따로 발전하면서 확장) 서로 공존, 의존하면서 발전
새로운 관점의
등장과 개입전
략의 확장
(1980~현재)
다양화 시대

 

 

 

4. 정리하기

사회복지실천 역사에 대한 역사적 흐름을 전체적인 시각에서 이해하고 사회복지에 대한 시대적 변화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최신의 사회복지실천의 관련 뉴스에도 관심을 기울인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