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강. 사회복지실천개념 및 정의 이념
1. 학습개요
사회복지실천개념 및 정의 이념, 특징, 철학에 대해 이해한다
2. 학습목표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정의에 대해 학습한다
사회복지실천의 이념 및 특징에 대해 학습한다
3. 학습내용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정의
-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실천의 관계
사회복지실천(social work practice)은 사회복지사가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인, 집단, 가족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각자의 문제와 욕구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전문적인 사회복지실천활동. 동시에 사회기능을 향상하고 사회정의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사회복지실천은 사회복지의 실천적 의미를 강조한다.
․ 사회복지실천의 두 가지 기능 : 개인들의 사회기능 증진, 사회정의 향상
․ 시대별 정의 변화 : 1917년 메리 리치몬드 『사회진단』‘개별사회사업’(미시 적, 치료 중심) → 1930년 대공황 사회자원을 균등하게 배분, 사회개 혁(거시적) → 1950년 NASW(미국사회복지사협회) →1970년 체계의 개 념이 사회복지에 도입 → 1980년 생태체계관점 → 1990년 역량강화모 델
◎ 리치몬드(미시적 관점)
개인의 욕구충족과 인격개발을 목적으로 함(개인의 심리치료)
◎ 핀커스와 미나한(거시적인 관점)
지역사회와 주변자원, 개인을 둘러싼 전체체계를 봄. 최초로 클라이언트 문제에 대한 대 처능력 언급. 체계개념으로 자원, 기회, 서비스의 개념 소개, 효과성을 언급하면서 평가 의 중요성 강조. 처음으로 사회복지정책 언급.
☞ 일반사회복지실천 vs 전문사회복지실천
․ 일반사회복지실천 : 광범위한 지식과 기술로 문제를 포괄적으로 시정하 고 해결. 미시에서 거시에 이르기까지 개입초점 다양
․ 전문사회복지실천 : 과학에 기반한 전문성 추구. 개별, 집단, 지역사회조 직으로 접근방법을 분리. 하나의 방법론만 추구.
◎ 사회복지실천의 이념적 배경
․ 사회복지실천의 이념들 : 인도주의(박애사상, 이타주의 기반, 자선조직협회, 우애방문자 철학), 사회진화론(사회에서 요구하는 대로 사회 적합계 층은 살아남고 부적합계층 은 소멸), 민주주의(모든 인간은 평등,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에 영향), 개인주의/자유방임주의(최소한 수 혜자격 원칙, 개별화를 중시하는 데 기여), 다양화(다양한 계층, 문제 욕구에 다양하게 접근) 등
※ 사회복지실천 영향을 미친 학문 : 사회학, 상담학, 인류학, 정신의학, 심리학 등
4. 정리하기
사회복지실천의 본질적인 목적과 기능에 대해 확실히 이해하여야 한다
'사회복지실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사 및 사회복지학과 필수과목 사회복지실천론 요점 요약 정리 6강. 사회복지실천현장에 대한 이해 (0) | 2022.04.24 |
---|---|
사회복지사 및 사회복지학과 필수과목 사회복지실천론 요점 요약 정리 5강.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복지 실천 (0) | 2022.04.20 |
사회복지사 및 사회복지학과 필수과목 사회복지실천론 요점 요약 정리 4강.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0) | 2022.04.19 |
사회복지사 및 사회복지학과 필수과목 사회복지실천론 요점 요약 정리 3강. 사회복지전문직의 역할과 정체성 및 지식 (0) | 2022.04.18 |
사회복지사 및 사회복지학과 필수과목 사회복지실천론 요점 요약 정리 2강. 사회복지실천발달과정의 이해 (0) | 2022.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