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8 장 환율결정모형의 실증분석
●목표
-환율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구매력평가의 성립여부
-거시경제 환율결정모형에 대한 실증분석의 결과
-환율결정모형의 새로운 접근
제 1절 환율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환율변동의 정형화된 사실(stylized facts)
: 환율의 변동성이 매우 높음, 실질환율의 변동성이 산출량변동성의 4배
: 실질환율의 변동은 매우 지속성(persistence)이 강함, 시계열상관계수 평균 0.8
: 명목환율과 실질환율의 변동은 매우 유사한 동행성을 보임, 상관계수 거의 1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남
: 1973년 변동환율제 이행 이후 환율의 변동성이 크게 증가
- 명목교란요인 가설 vs. 실질교란요인 가설
제 2절 환율결정모형의 실증분석
1.구매력평가설 실증분석
-직접검증 vs. 간접검증
: 구매력평가 방정식 직접 검증
: 일물일가의 법칙 검증
2.거시경제 환율결정모형에 대한 실증분석
-환율결정의 거시경제모형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 모형의 예측력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미스와 로고프(Mees and Rogoff(1983))
: 거시경제모형 중 어느 모형도 예측력(predictive accuracy)에 있어서 임의보행(random walk)모형을 능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제 3절 환율결정모형의 새로운 접근
-미시구조 접근(microstructure of foreign exchange markets) vs. 신개방거시경제학(new open economy macroeconomics: NOEM)접근
: 미시구조접근, 외환시장의 거래량, 예상의 형성, 시장조성자의 역할, 등의 실재적 시장상황을 명시적으로 고려하여 환율의 변동을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
: 신개방거시경제학 접근은 환율변동요인을 거시경제변수에서 찾고 있는데 기존의 거시경제 환율결정모형과는 달리 동태적 일반균형모형임
: 신개방거시경제학은 불완전경쟁과 가격의 경직성을 동시에 가정하여 소비자, 생산자, 등 모든 경제주체의 최적화 원리를 도입한 모형으로 미시경제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음
: 신개방거시경제학의 최초 환율결정모형은 옵스트펠트와 로고프(Obstfeld and Rogoff(1995))의 “재생 환율동태모형(Exchange Rate Dynamics Redux)”임
'현대국제금융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 및 정경대학 필수 과목 현대국제금융론 요약 정리 7. 뉴스모형 (0) | 2022.04.14 |
---|---|
경제학 및 정경대학 필수 과목 현대국제금융론 요약 정리 6. 자산시장 모형 (0) | 2022.04.13 |
경제학 및 정경대학 필수 과목 현대국제금융론 요약 정리 5. 외환수급모형 (0) | 2022.04.12 |
경제학 및 정경대학 필수 과목 현대국제금융론 요약 정리 4. 구매력평가이론 (0) | 2022.04.11 |
경제학 및 정경대학 필수 과목 현대국제금융론 요약 정리 3. 국제금리 재정거래 (0) | 2022.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