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제수지의 기초
●목표
-국제수지의 개념
-국제수지표의 작성원리 및 국제수지표의 주요계정
-경상수지, 자본수지 및 대외지급준비와의 관계
-국제수지 불균형에 대한 해석
제 1절 국제수지의 개념
-국제수지 한 나라의 ‘일정한 기간 동안에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발생한 모든 경제적 거래를 체계적으로 기록’한 것을 말함
: ‘일정기간 동안’이란 말은 국제수지는 일정시점 사이에 발생한 거래를 집계한 유량(flow)개념
: 저량(stock)개념인 국제간의 채권․채무관계를 나타내는 국제 부채(international indebtedness)와는 구별됨
: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란 말은 경제활동을 영위하는 주 소재지가 국민경제 영역내에 있는 경제주체 즉 거주자와 국민경제 영역 밖에 있는 경제주체 즉 비거주자의 사이를 의미: 국적보다 이익의 중심(a center of economic interest )이 중요
: ‘모든 경제적 거래’란 말은 상품의 소유권이전, 서비스의 공여, 화폐 및 기타자산(모든 금융청구권이 포함됨)의 이전 등 모든 유상 및 무상의 거래를 총망라한 것을 의미: 국제수지는 외환결제가 수반되는 거래뿐만 아니라 물물교환과 같은 외환결제가 없는 거래도 모두 포함
: ‘체계적으로 기록’한다는 말은 복식부기의 원리에 따라 모든 거래를 차변과 대변에 동시적으로 그리고 동일금액으로 기록하는 것을 의미
제 2절 국제수지의 계상
-국제수지는 하나의 표로 작성되며 그것을 국제수지표라 부름
: 국제수지표는 복식부기의 원리에 따라 국제거래에서 국제수지 작성국으로 자금이 유입되는 성질의 것이면 대변에, 반대로 자금이 유출되는 성질의 것이면 차변에 기입
제 3절 국제수지표의 주요계정
-국제수지표는 경상계정(current account), 자본계정(capital and financial account), 준비자산증감계정(changes in international reserves account) 및 오차 및 누락계정(ent errors and omissions account)으로 구성됨
: 경상계정에는 상품의 수출입, 서비스의 수출입, 소득수취 및 소득지급, 이전거래 등을 계상
: 자본계정에는 자본의 국내외 유출입을 계상
: 준비자산증감계정은 대외지급준비(international reserves)의 증감을 계상
![](https://blog.kakaocdn.net/dn/GwHbQ/btryBrDezM2/t1s4E1BBocckeEGT6EknT1/img.png)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소득수지 및 경상이전수지의 4가지로 구성됨
-자본수지는 투자수지와 기타투자수지로 나누어지고 투자수지는 다시 직접투자, 증권투자 및 기타투자로 나누어짐
-준비자산의 증감은 일국의 통화당국(중앙은행)이 일정시점에 있어서 국제유동성 수단으로 보유하고 있는 대외지급준비자산(international reserves: IR)의 증감을 말함
: 대외지급준비자산은 외환보유고(foreign exchange), SDR, 금, IMF포지션(position) 등 4가지로 구성됨
-대외지급준비자산 vs. 순대외자산(Net Foreign Assets : NFA)
: 순대외자산이란 일국의 대외자산에서 대외부채를 차감한 것을 말함
-오차 및 누락계정은 실제로 국제수지표를 작성하는데 있어서 통계상의 불일치를 조정해 주기 위해서 사후적으로 기장해주는 항목임
제 4절 국제수지표 주요계정의 관계
-국제수지는 복식부기의 원리에 따라 기장을 하므로 차변의 각 항목은 반드시 대변에 동일금액의 그것에 대응하는 항목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차변의 합계와 대변의 합계는 항상 일치하게 됨
![](https://blog.kakaocdn.net/dn/dIcv9J/btryz0e2QXp/5T1Maums0oXV4jci0JfmLk/img.png)
제 5절 국제수지 불균형에 대한 해석
-국제수지의 흑자 또는 적자에 대한 호.불호는 어느 계정이 어던 이유로 흑자 또는 적자를 내고 있느냐에 다라 판별할 문제
제 5절 제 6절: 생략
제 7절 국제수지와 통화량
1.통화승수
-개방경제에서는 통화량은 중앙은행의 통화정책뿐만 아니라 국제수지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
![](https://blog.kakaocdn.net/dn/dflLNt/btryyXC8x2N/z5U7qZ8qaZTEkQljxyBock/img.png)
2.국제수지와 통화량
-<표 2-3>중앙은행 대차대조표
자산 | 부채 |
국내여신 | 화폐민간보유액 |
대외지급준비 | 상업은행지불준비금 시재금 중앙은행예치금 |
합계 | 합계 |
![](https://blog.kakaocdn.net/dn/bPN9ah/btryxI7Iuka/GxYa1dhQNMzqqQDSim3dkk/img.png)
'현대국제금융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 및 정경대학 필수 과목 현대국제금융론 요약 정리 6. 자산시장 모형 (0) | 2022.04.13 |
---|---|
경제학 및 정경대학 필수 과목 현대국제금융론 요약 정리 5. 외환수급모형 (0) | 2022.04.12 |
경제학 및 정경대학 필수 과목 현대국제금융론 요약 정리 4. 구매력평가이론 (0) | 2022.04.11 |
경제학 및 정경대학 필수 과목 현대국제금융론 요약 정리 3. 국제금리 재정거래 (0) | 2022.04.08 |
경제학 및 정경대학 필수 과목 현대국제금융론 요약 정리 2. 환율 및 외환시장의 기초 (0) |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