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품 중 수분의 역할
① 용매[solvent] 및 분산매[dispersant]
: 영양소, 효소, 화학물질 등을 용해 or 분산시키는 역할
② 화학반응의 연속상[medium] 및 반응물질
[reactant]
: 가수분해 작용 등 각종 화학반응의 장을 제공
반응물질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함
③ 미생물 생육에 필수적
∴ 식품 중의 수분은 식품의 변질과 밀접한 관계!
수분의 종류
동일한 수분함량을 지닌 식품이라도저장안정성(storage stability)은 다를 수 있다! ∴ 수분함량만으로 저장안정성 판단 불가!!
Ex. A : 20%, B: 30%의 수분함량?
B가 변질이 더 잘 일어난다??
∵ 식품이 가지고 있는 수분들 중 모든 수분이 기질로 작용하지는 않음!
free water만 기질로 작용!
수분활성도
:어떤 임의의 온도에서 식품이 나타내는 수증기압(P)에
대한 그 온도에 있어서의 순수한 물의 수증기압(P0)의 비
P0 = 주어진 온도에서 순수한 물(용매)의 수증기압(기압)
P = 주어진 온도에서의 식품(용액)의 수증기압(기압)
%ERH = 평형상대습도(equilibrium relative humidity)(%)
0.0 < Aw ≤ 1.0
순수한 물의 경우 Aw가 1.0이 될 수 있다.
But, 일반식품의 경우 자유수를 완전히 0으로 만들 수는 없음
수분
결합수/자유수
- 결합수 (bound water): 미생물이 이용할 수 없는 물
로 단백질이나 탄수화물 등과 결합한 상태로 용매로
서 역할을 하지 못하며 화학반응에도 참여 못함
- 자유수 (free water): 미생물이 이용할 수 있는 물
수분활성도 (water activity, aw)
- 화학반응의 용매, 기질로 작용
- 미생물이 이용 가능한 수분의 비율 (0~1)
- 일반적으로 호염세균이 0.75, 곰팡이 0.80, 효모
0.88, 세균 0.93
수소이온농도 (pH)
- 세균의 최적 pH는 중성 (pH 6.8~7.2) 부근이고 일부 균을 제외하면 pH 4.5 이하에서는 잘
생육하지 못함
- 곰팡이: 최적 pH 3.0~3.5
- 효모: 최적 pH 4.0~4.5
온도
- 생육최적온도: 생육도가 가장 큰 온도
- 최적온도조건에 따라 호냉균 (psychrophile), 중온균 (mesophiles), 고온균 (thermophiles) 등
으로 구분
- 대부분의 식중독 균 및 부패 미생물은 중온균에 해당
- Bacillus stearothermophilus, Clostridium thermosaccharolyticum, Desulfotomaculum
nigrificans 등의 고온균은 통조림 등의 캔 식품에서 부패의 원인이 되는 균으로 최적온도가
55°C 이고 최고 온도가 70°C 임
산소
- 산소요구성 차이에 따라 절대호기성균 (obligate aerobe), 통성혐기성균 (facultative
anaerobe), 절대혐기성균 (obligate anaerobe), 미호기성균 (microaerophile)로 분류
- 산소가 있는 조건에서 생육하거나 산소에 내성이 있는 미생물들은 산소로부터 생성되는
O2- (superoxide)나 H2O2 (hydrogen peroxide)와 같은 유해물질을 분해시킬 수 있는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peroxidase 등의 효소를 가지고 있음
식품의 미생물 오염원
1차 오염/2차 오염
- 1차 오염: 식품의 가공 이전에 발생
- 2차 오염: 식품의 취급 및 가공·저장이나 보존과정에서 발생
토양미생물
- Bacillus, Pseudomonas, Serratia, Proteus, Citrobacter, Klebsiella, Enterobacter,
Clostridium 등의 세균
- Streptomyces, Nocardia, Corynebacterium, Brevibacterium, Micrococcus 등의 방선균
- Penicillium, Aspergillus, Mucor, Rhizopus, Fusarium 등의 곰팡이
- Saccharomyces, Candida 등의 효모
수생미생물
- Pseudomonas, Alcaligenes, Aeromonas, Flavobacterium 등의 민물세균
- Vibrio, Pseudomonas, Aeromonas, Photobacterium 등의 해수세균
- Escherichia coli, Proteus, Citrobacter, Klebsiella, Enterobacter, Clostridium, Bacillus 등의 하
수세균
공중미생물
- 토양미생물이 바람에 의해 비산한 것이 대부분
- Bacillus 등의 포자형성세균, 곰팡이포자, Micrococcus, Staphylococcus, Streptococcus 등의
그람양성 구균류가 대부분
분변미생물
- Escherichia coli, Clostridium, Bifidobacterium, Lactobacillus, Klebsiella, Citrobacter,
Enterobacter, Serratia, Proteus, Shigella, Salmonella, Streptococcus faecalis 등
식품오염의 지표미생물
지표미생물
- 병원성 미생물과 공존 가능성이 높고 검출이 쉬우며, 구별이 용이한 지표미생물을 사용하여
식품에 바람직하지 않은 미생물의 오염 가능성을 나타냄
일반세균수
- 식품 중에 존재하는 총균의 수를 나타내며 식품의 부패나 변질을 추정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
대장균군 (coliform bacteria)
- 그람음성, 무아포의 간균으로 lactose를 분해하여 산과 가스를 생성하는 호기성 또는 통성혐기성균
- Escherichia coli, Citrobacter, Enterobacter, Klebsiella, Hafnia 등
대장균 (Escherichia coli)
- 대장균군에는 식품, 토양, 물 등에서 유래되는 것들도 포함되어 있어 대장균 검사를 통해 식품
의 분변에 의한 오염을 보다 확실히 추정
장구균 (Enterococcus)
- 사람이나 동물의 장관에 서식하는 그람양성 세균으로 분변 지표균
- Enterococcus faecalis, Enterococcus faceium이 가장 흔함
- 건조, 고온, 냉동 등 식품의 가공과정에서도 생존율이 높아 냉동식품, 건조식품, 가열식품 등
의 검사에 유용하게 사용
식품의 미생물학적 검사
일반세균수 검사 (표준평판법)
- 시험용액 1 mL와 10배 단계 희석액 1 mL씩을 멸
균 페트리접시 2매 이상씩에 표준한천배지와 무균
적으로 분주하고 잘 혼합하여 응고시킴
- 1개의 평판당 15∼300개의 집락을 생성한 평판을
택하여 집락수를 계산하는 것을 원칙
일반세균수 검사 (건조필름법)
- 시험용액 1 mL와 각 10배 단계 희석액 1 mL를 세균수 건조필름배지에 각 2매 이상씩 접
종한 후 35±1℃에서 48±2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붉은 집락수를 계산
대장균군 검사 (정성시험-유당배지법)
- 추정시험
시험용액 10 mL를 2배 농도의 유당배지 (lactose broth)에, 시험
용액 1 mL 및 0.1 mL를 유당배지에 각각 3개 이상씩 가함
접종한 유당배지를 35~ 37℃에서 48시간까지 배양한 후 발효관
내에 가스가 발생하면 추정시험 양성
- 확정시험
가스 발생한 관으로부터 BGLB (Brilliant green lactose bile
broth)배지에 접종하여 35~37℃에서 48 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가
스발생 여부를 확인
대장균군 검사 (정성시험-유당배지법)
- 확정시험
가스발생을 보인 BGLB 배지로부터 Endo 한천배지 또는 EMB (Eosin Methylene Blue
Agar) 한천배지에 분리 배양 후 전형적인 집락이 발생되면 확정시험 양성
- 완전시험
확정시험의 Endo 한천배지나 EMB한천배지에서 전형적인 집락 1개 또는 비전형적인 집
락 2개 이상을 각각 유당배지발효관과 보통한천배지에 접종하여 35~37℃에서 48±3시간
동안 배양
가스를 발생한 발효관에 해당되는 한천배지의 집락에 대하여 그람음성, 무아포성 간균이
증명되면 완전시험은 양성이며 대장균군 양성으로 판정
대장균군 검사 (정성시험-BGLB법)
- 시험용액 1~ 0.1 mL를 2개씩 BGLB 배지에 가함 (대량의 시험용액을 가할 필요가 있을 때
에는 대량의 배지를 넣은 발효관을 사용)
- 시험용액을 넣은 BGLB 배지를 35~37℃에서 48±3시간 배양한 후 가스 발생을 인정하였을
때에는 Endo 한천배지 또는 EMB 한천배지에 분리 배양
대장균군 검사 (정성시험-Desoxycholate lactose 배지법)
- 시험용액 1 mL와 10배 단계 희석액 1 mL씩을 멸균 페트리접시 2매 이상씩에 -
Desoxycholate lactose 배지 약 15 mL과 함께 분주하고 잘 혼합한 후 응고 시킴
- 35~37℃에서 24시간 배양 한 후 암적색의 집락이 인정하였을 때에는 1개 이상, 의심스러운
집락일 경우에는 2개 이상을 Endo 한천배지 또는 EMB 한천배지에서 분리 배양
대장균 검사 (정성시험)
- 양성일 경우 해당 EC 발효관으로부터 EMB 배지에 접종하여 35~37℃에서 24±2시간 배양한
후 전형적인 집락을 유당배지 및 보통한천배지로 각각 이식
- 유당배지에 접종한 것은 35~37℃에서 48±3시간 배양하고 보통한천배지에 접종한 것은
35~37℃에서 24±2시간 배양
- 유당배지에서 가스발생을 인정하였을 때에는 이에 해당하는 보통한천배지에서 배양된 집락
을 취하여 그람염색을 실시하여 그람음성, 무아포성 간균을 확인한 후 생화학 시험을 실시하
여 대장균 양성으로 판정
- 시험용액 1 mL를 3개의 EC 배지에 접종하고 44.5±0.2℃에서
24±2시간 배양 후 가스발생시 양성, 가스발생 안할 시 음성
생화학적 시험
- IMViC test
생화학적 시험
- API kit
- ViTek system
대장균/대장균군 정량시험
- 건조필름법
미생물 규격에서 사용하는 용어 (n, c, m, M)
- n : 검사하기 위한 시료의 수
- m : 미생물 허용기준치
- M : 미생물 최대허용한계치
- c : 최대허용시료수
- 예) 냉동 제품 미생물 규격 (식품공전)
① 세균수 : n=5, c=2, m=100,000, M=500,000
② 대장균군 : n=5, c=2 m=10, M=100
③ 대장균 : n=5, c=2, m=0, M=10
식품의 변질과 부패
- 식품이 여러 요인에 의해 분해되고 맛, 냄새, 색깔 및 외관 등이 나빠져서 식품으로서의 가치
를 잃게 되는 현상을 변질 (또는 열화, spoilage)이라고 함
- 식품의 변질은 생물학적 요인, 화학적 요인, 물리학적 요인 등의 변질 요인이 한 가지 또는 복
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남
부패 (putrefaction)
- 단백질을 함유한 식품이 부패세균의 효소작용에 의해 분해될 때, 악취와 유해물질을 생성하
여 가식성을 잃는 현상
변패 (deterioration)
- 탄수화물과 지방질이 분해되어 산미를 형성하거나 비정상적인 맛과 냄새가 나는 현상
산패 (rancidity)
- 지질이 생화학적 요인 또는 산소, 햇볕 등의 비생화학적 요인에 의하여 산화, 변질되는 현상
식품성분의 변질
단백질의 부패
- 식품 자체 자가효소의 자기소화작용 (autolysis)과 더불어 미생물의 단백질 분해효소 등에 의
하여 펩타이드, 아미노산으로 분해
- 그 이후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아민류, 황화수소 (H2S), indole, scatole, mercaptane,
carbonic acid 등이 생성되어 변질과 악취 발생
식품성분의 변질 및 부패
탄수화물의 변패
- 탄수화물의 분해생성물인 당류의 분해 시 알코올, 유기산 등이 생성되어 식품의 풍미를 저하
시키고 이산화탄소가 생성되어 변질을 야기시킴
지방의 산패
- 산소에 의한 산패, 효소 (미생물 효소)에 의한 산패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
- Aldehyde, alcohol, ketone 등이 생성되어 산패취 발생
식품의 변질에 따른 주요 생성물
암모니아
- 부패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 단백질 식품에서 부패의 지표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황화수소 및 mercaptane
- 황을 함유하는 아미노산은 분해되어 황화수소 (H2S)나 mercaptane 등의 휘발성 황화합물을
생성하여 냄새 및 변색 (흑변)을 유발
인돌 (indole), 스카톨 (skatole)
- 트립토판으로부터 생성되는 부패취 원인 물질
아민 (amine)
- 아미노산의 탈탄산반응에 의해 생성
- putrescine, spermidine, spermine과 cadaverine은 살아있는 세포에서 필수불가결한 구성성
분으로 단백질 합성과 막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
- 신경 전달 물질 역할, 혈압조절 및 혈류 등의 심혈관계에도 영향
- Histamine : 알레르기성 식중독 (두통, 두드러기, 발작, 설사, 구토)
- Tyramine : 과량 섭취시 혈관수축과 심박활동을 증가시켜 혈압상승을 유발
- Putrescine, spermidine : 질산염과 반응하여 발암물질인 nitrosoamine 생성 가능
기질 아미노산 | 생성되는 아민 | 기질 아미노산 | 생성되는 아민 |
Histidine | Histamine | Ornithine | Putrescine |
Tyrosine | Tyramine | Lysine | Cadaverine |
Arginine | Spermidine, Spermine |
Tryptophan | Tryptamine |
Valine | Isobutylamine | Leucine | Isoamylamine |
Trimethylamine (TMA)
- 해산 어패류 부패취의 주요 원인이며 전구물질은 trimethylamine oxide (TMAO)
- TMAO 환원효소의 작용으로 생성
알코올류
- 탄수화물의 변패 생성물 중 하나로 맛의 변화와 냄새 유발
유기산
- 유기산은 냄새 성분으로 관여하는 것이 많고 식품의 맛이나 보존성에도 관여
이산화탄소
- 통조림, 레토르트 식품, 포장된 햄, 어육 소시지, 생선묵 등의 식품 중에서 팽창의 원인
부패 생성물
점질물
- 소시지나 어육제품의 표면에서 Leuconostoc, Micrococcus 등에 의해 심한 악취를 내는 점질
물질 생성
- 우유에서는 Alcaligenes에 의한 점질물 생성
색소
- 미생물이 만드는 균체 내 또는 균체 외 색소는 식품의 변색을 유발
- 카로티노이드 색소는 Flavobacterium, Serratia, Corynebacterium, Xanthomonas 등이 생산
- Pseudomonas 속 일부 세균은 fluorescein, pyocyanin, pyorubin 등의 형광색소 생성
- 육류나 육제품에서 부패세균에 의해 만들어진 황화수소가 육류 중의 미오글로빈 (myoglobin)
이나 헤모글로빈 (hemoglobin)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sulfmyoglobin이나 sulfhemoglobin
부패의 판정
관능검사
- 식품의 부패에 의한 냄새, 색깔 변화, 물성 변화, 점액화, 맛의 변화 등을 통한 판정
- 개인적인 차이로 인해 객관적인 판정법이 될 수 없음
ˇ 냄새의 발생 (암모니아, 아민, 인돌, 알코올 냄새 및 산패취 등)
ˇ 색깔의 변화 (변색, 퇴색, 광택 등)
ˇ 조직의 변화 (고체인 경우 탄력성, 유연성, 점액의 발생 상태 등)
ˇ 이상한 맛이나 불쾌한 맛의 발생 (신맛, 쓴맛, 자극적인 맛 등)
세균학적 판정
- 식품 중 세균 수를 측정하여 판정하는 방법
- 유해균종의 유무와 대사산물의 측정 필요
- 측정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모든 식품에 적용할 수 없음
화학적 판정
- pH
ˇ 탄수화물이 많은 식품은 미생물이 증식하여 유기산을 생성하므로 pH가 저하
ˇ 일정시간 계속 측정하여야 하며 식품의 종류, 균종 등에 따라 pH가 변동
- 휘발성 염기질소 (volatile basic nitrogen, VBN)
ˇ 단백질 식품에는 아미노산 분해에 의해 암모니아, TMA, 휘발성 아민류 등의 휘발성 염기질
소 생성
ˇ 어육의 신선도 판단 예
- Trimethylamine (TMA)
ˇ 어패류 100g 중 3 mg이하는 신선도가 양호, 4~5 mg은 초기부패로 간주, 10 mg 이상은 부
패로 판정
- k 값
감칠맛의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값
어패류 및 식육의 선도 판정에 많이 사용
'식품위생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기사, 영양사, 식품공학, 영양학 등 대비 식품위생학 핵심 요약 정리 6. 바이러스 및 곰팡이 독소 (0) | 2021.10.17 |
---|---|
식품기사, 영양사, 식품공학, 영양학 등 대비 식품위생학 핵심 요약 정리 5. 세균성 식중독 [독소형] (0) | 2021.10.16 |
식품기사, 영양사, 식품공학, 영양학 등 대비 식품위생학 핵심 요약 정리 4. 세균성 식중독 [감염형] (0) | 2021.10.15 |
식품기사, 영양사, 식품공학, 영양학 등 대비 식품위생학 핵심 요약 정리 2. 위해성 분석 (0) | 2021.10.13 |
식품기사, 영양사, 식품공학, 영양학 등 대비 식품위생학 핵심 요약 정리 1. 식품위생 개요 (0) | 2021.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