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품첨가물
사용목적 ① 기호성증진 ② 변질방지 ③ 영양강화
착색료 | 사용기준 |
식용색소 녹색 제3호 | 면류, 단무지, 아이스크림류 과실채소류음료 (희석 된건 제외) 두유류, 발효음료류 두부, 젓갈류, 김치류, 절임류 |
식용색소 적색 제2호 식용색소 적색 제3호 |
|
식용색소 청색 제1호 식용색소 청색 제2호 |
|
식용색소 황색 제4호 식용색소 황색 제5호 |
|
식용색소 적색 제40호 식용색소 적색 제102호 |
★ 보존료
① 미생물의 증식에 의해서 일어나는 식품의 부패나 변질을 방지
② 식품중의 효소작용 억제의 목적
③ 식품의 유통단계에 있어서 안전성을 확보
★ <구비조건>
① 미생물의 발육 저지력이 강할 것
② 지속적이어서 미량의 첨가로 유효할 것
③ 식품에 악영향을 주지 않을 것
④ 무색, 무미, 무취일 것
⑤ 사용이 간편하고 값이 쌀 것
⑥ 인체에 무해하고 독성이 없을 것
보존료명 | 사용제품 |
데히드로초산(dehydroacetic acid) 데히드로나트륨 (sodium dehydroacete) |
치즈, 버터, 마가린 |
소르빈산(sorbic acid) 소르빈산칼륨(potassium sorbate) |
치즈, 식육제품 |
안식향산(benzoic acid) | 탄산음료, 간장 |
프로피온산 나트륨 (sodium propionate) |
빵, 케이크류 |
※ propionic acid
발색제명 | 사용기준 |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ate) | 어육소시지 및 어육햄류 |
질산나트륨(sodium nitrate)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 |
① 효모의 증식에 영향을 주지 않은 보존제
※ 유해성 보존료 → 포름알데히드
살균료명 | 사용기준 |
치아염소산 나트륨 (sodium hypochlorite) |
참깨에 사용 못함 |
표백분, 고도 표백분 | |
이염화 이소시아뉼산 나트륨 | |
과산화수소 |
표백제명 | |
환원표백제 메타중 아황산칼륨 무수아황산 (과실주의 표백제) 아황산나트륨 (천식환자에게 민감) 차아황산나트륨 |
산화표백제 과산화수소 |
■ 살균제
※ 치아염소산 나트륨(sodium hypochlorite) → pH 4.0
① 광선에 의해 유해염소가 분해되므로 냉암소에 보 관
② 단백질이나 탄수화물 등의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으면 소독효과가 저하
③ 유효염소란 치아염소산 나트륨에 산을 가할 때 발생하는 염소
산화방지제명 | |
부틸 히드록시 아니졸(BHA) | 디부틸 히드록시 톨루엔(BHT) |
L-아스코르빈산나트륨 (sodium L-ascorbate) |
몰식자산 프로필(propyl gallgate) |
■ 산화방지제(항산화제)
※ 수용성 → erythobic acid, ascorboc acid
※ sodium L-ascorbate
수용성이므로 색소의 산화방지에 이용
※ 산화방지제의 효과를 강화하기 위하여 유지 식품에 첨가되는 효력증강제
① tartaric acid ② citric acid ③ phosphoric acid
■ 착색료 → 9가지 수용성산성타르색소
※ 타르색소
① 석탄 tar중 벤젠이나 나프탈렌핵으로부터 합성
② 허용된 타르색소 수용성 산성 타르색소
③ 적색 2·3호, 황색 4·5호 등 9가지 타르색소 허용 가능(빛에 약함)
④ 타르색소의 알루미늄레이트를 포함
※ 유해성 착색료 → 아우라민(auramine)
① 저렴하고 착색성이 좋음
② 단무지와 카레 가루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
③ 발암성 등 화학적 식중독 유발가능성이 높아 사 용금지
■ 발색제
■ 표백제
※ Rongalite
우리나라에서 물엿, 알 사탕 등의 표백제로 사용하여 크게 물의를 일으켰던 유해성 물질
■ 산미료
① 식품의 제조과정이나 최종 제품의 pH조절제
② 부패균이나 식중독 원인균을 억제하는 식품 보존제
③ 유지의 항산화제 작용이나 갈색화반응 억제시의 상승제
① 구연산 ② 젖산 ③ 초산
감미료명 | |
사카린 나트륨 (saccharin sodium) |
아스파탐(aspartame) |
D-소르비톨 (D-sorbitol) | 스테비오 사이드 (stevioside) |
글리시리진산나트륨 | 아세설펌칼륨 |
■ 인공감미료
※ 유해성이 문제가 되는 인공감미료
① dulcin ② cyclamate ③ ρ-nitro-o-toluidine
④ ethylene glycol
※ D-sorbitol 상업적으로 이용할 때 합성하는 방법
→ 포도당으로부터 화학적 합성
■ 착향료 - DL 멘톨
■ 유화제(계면활성제) - 서로 혼합이 잘 되지 않은 2종류의 액체 또는 고체를 액체에 분산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물질
※ 허가된 유화제
① Glycerin fatly acid ester
② Sucross fatly acid ester
③ Sorbitan fatly acid ester
■ 호료 - 식품에 대하여 점착성을 증가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좋게 하며 가공할 때나 보존 중에 선도를 유지하고 형체를 보존하는 데 도움을 주며 미각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음
■ 피막제- 과일이나 과채류를 채취한 후 그 선도를 오래 유지하게 하기 위하여 표면에 피막을 만들어 호흡작용을 적당히 제한하고 수분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또는 단순히 외관을 좋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첨가물
■ 소포제 - 거품을 없애기 위하여 사용되는 첨가물(규소수지)
※ β-caroten ① 착색효과 ② 영양강화효과
※ ① 초산전분 ② 알긴산 나트륨 ③ 카제인
점착성 증가, 유화 안정성 좋게 만듬
가열이나 보관 중의 변화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첨가물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식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상식, 식품기사, 영양사, 식품 공무원 대비 식품위생학 요약 정리 3. 식품의 위생 (0) | 2021.05.16 |
---|---|
건강상식, 식품기사, 영양사, 식품 공무원 대비 식품위생학 요약 정리 2. 식품 관련 질병 (0) | 2021.05.15 |
건강상식, 식품기사, 영양사, 식품 공무원 대비 식품화학 요약 정리 (6) 식품의 독성물질 (0) | 2021.05.12 |
건강상식, 식품기사, 영양사, 식품 공무원 대비 식품화학 요약 정리 (5) 식품의 냄새, 맛 (0) | 2021.05.11 |
건강상식, 식품기사, 영양사, 식품 공무원 대비 식품화학 요약 정리 (4) 식품의색, (1) | 2021.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