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더십

경영학, 인간관계, 처세술 등 리더십 핵심 요점 정리 9. 다양한 상황이론들의 이해 2

728x90
반응형

9. 다양한 상황이론들의 이해 2

 

하우스의 경로 – 목표이론

리더십 유형
- 지시적 리더십: 계획 조직 통제와 같은 공식적 활동을 강조하는 리더십으로 종업원에
의한 참여는 이루어지지 않음
- 지원적 리더십: 종업원의 욕구 작업환경 및 복리후생에 관심을 보이며 종업원들과의 인
간관계의 증진을 강조함
- 참가적 리더십: 종업원과 정보를 교환하고 공동의 의사결정을 추구하는 유형으로 의사결
정에 참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십
- 성취지향적 리더십: 도전적인 작업 목표의 설정과 이를 달성하기 위해 종업원을 독려하
고 종업원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업적향상을 추구하는 유형 하위자들에게 . 높은 목표를
설정해 주고 지속적인 개선을 추구하며 종업원의 능력발휘에 높은 기대를 설정하는 리더십


▶  상황변수
- 경로 - 목표이론에서는 리더가 4가지의 유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
며 이 , 점은 리더십을 고정적으로 본 피들러의 상황이론과 대조적임
- 경로 - 목표이론의 상황요인은 부하의 특성과 환경적 요인 두 가지가 있음
① 부하의 특성
▶  리더십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하급자의 특성 중에는 통제의 위치, , 권위주의 능력 등
을 들 수 있음
▶  부하특성 변수 중 통제위치 의 (locus of control) 경우 내재적 통제위 치를 가진 부하
에겐 참여적 리더십이 유리한 반면 외재적 , 통제성향을 가진 부하에게는 지시적 리더
십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남
▶  욕구에서는 친교욕구가 강한 부하들은 후원적 리더나 참여적 리더십에 호의적인 반응
을 보일 것이며 성취욕구가 , 강한 부하들은 성취지향적 리더에게 호의적인 경향을 나타낼 것
▶  능력은 부하 자신이 자기의 능력을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 리더에 대한 태도가 달
라진다는 것

 

② 환경적 특성
▶  환경요인으로는 부하의 과업특성 공식 , 권한체계 및 작업집단의 성격 등을 들 수 있

▶  환경요인 변수 중 과업의 경우 구조화되어 있을 때 지시적 리더십은 불필요하게 엄격
한 통제의 인상을 주므로 오히려 지원적인 리더십이 유리
▶  과업이 구조화되어 있을 않을 경우 지시적 리더십일 때 부하들은 호의적 반응을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남


(6) 하우스의 경로 – 목표이론

 

(7) 경로 – 목표이론에 대한 결과 및 평가
▶  경로-목표이론의 시사점
① 피들러의 리더십을 2 ( ) 가지 차원 과업지향적 리더십과 관계지향적 리더십 에서 분류한데
비해 경로 목표모형은 - 4가지 차원에서 분류하고 있음
- 이는 리더의 다차원적 개념을 통해 경영자의 직무 성격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 해줌
② 경로 목표이론은 - 리더의 행동과 상호간의 상화작용을 잘 나타내주어 리더십행동이 상황
에 따라 적절히 수행되어야 함을 시사
▶  경로-목표이론의 한계점
① 리더의 행동의 측정에 있어서 정확성과 신빙성의 문제가 있음
② 이론모형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이론 전체가 입증하기가 매우 어려움
- 따라서 부하행동에 대한 일괄적인 예언성이 의문시 된다는 비판도 받고 있음

 

3) 허쉬와 블랜차드의 상황이론


(1) 허시와 블랜차아드 (P. Hersey and K.H. Blanchard)  는 블레이크와 무우튼의 관리
격자 (managerial grid) 의  개념을 이용


(2) 리더의 행동을 과업행동과 관계행동의 2차원을 축으로 한 4분면으로 분류함


(3) (maturity) 상황요인으로 부하의 성숙 를 추가하여 양자가 적합한 관계를 가질 때
조직의 유효성이 올라간다는 이른바 리더십 수명주기이론(Life Cycle Theory of
Leadership)을 주장하였음


(4) 리더십 유형과 상황변수
▶  리더십 유형
- . 피들러의 구분과 비슷하나 관계지향과 과업지향이 서로 독립적인 것으로 여기고 있다 따
라서 두 차원의 높고 낮음에 따라 4개의 유형으로 나뉨
① 지시적(telling) 리더십
▶  높은 과업행동과 낮은 관계행동의 리더로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과 리더 중심의 의사
결정을 하는 리더를 말함
② 지원적(selling) 리더십
▶  높은 과업행동과 높은 관계행동의 리더로 쌍방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부하로 하여금
바라는 행동을 하도록 도와주는 리더를 말함
③ 참가적(participating) 리더십
▶  낮은 과업행동과 높은 관계행동의 리더로 쌍방적인 커뮤니케이션과 문호개방을 통해
의사결정권을 공유하는 리더를 말함
④ 위양적(delegating) 리더십
▶  낮은 과업행동과 낮은 관계행동의 리더로 부하들 자신의 자율적 행동과 자기 통제에
의존하는 리더를 말함


< 허쉬와 블랜차아드의 수명주기이론 > 

(5) 부하의 특성과 리더십 유형과의 연결
▶  지시형 리더십 – M1
▶  지원적 리더십 – M2
▶  참가적 리더십 – M3
▶  위양적 리더십 – M4


(6) 허쉬와 블랜차아드의 이론에 대한 결과 및 평가
▶  이 이론의 시사점
- , 강한 실용성으로 기업뿐 아니라 학교 가정 등 다양한 상황에서 쉽게 응용될 수 있음
- 리더의 융통성과 적응성을 강조하고 있어 리더가 구성원의 발달수준을 알아내고 상황에
따라 리더의 행동을 적응시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음
- . 여러 가지 상황에서 리더가 지향해야 할 행동을 말해주고 있음 유익성이 낮은 경우에는
지시적 행동을 헌신성이 , 낮은 경우에는 지원적 행동을 제시하고 있음
▶  이 이론의 한계점
- 성숙도라는 단지 하나의 상황변수에 의존한 점과 구성원들의 성숙도에 대한 모호한 개념
화임
- 과업수행 능력과 과업수행 동기를 기준으로 어떻게 네 가지 발달 수준이 형성되는가에 대
하 명확한 설명이 없음
- 각각의 요소에 가중치가 어떻게 부여되고 그 요소들이 어떻게 결합되었는지에 관한 기준
이 없음
- 이 이론의 접근법의 가설이나 명제를 증명하기 위한 실증연구가 부족함
- 네 가지 리더십 유형과 구성원의 발달단계의 결합에 대한 타당성 문제임
- Vecchio 이후 의 연구결과는 리더십모형에서 제시하는 기본적 적합의 타당성을 입증하는
데 실패했음
- ( ) 집단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 과업의 특성 등 이 고려되지 않았음

 

4) 리더십 상황이론들의 비교

5) 상황이론에 대한 평가


(1) 리더십행동이 결과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상황변수들이 조절하는 것을 설명함으로
써 때때로 ( ) 매개변수 형식을 취함 리더로 하여금 현상에 대한 이해·설명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해주었음
(2) 그러나 활용될 수 있는 상황변수의 종류가 너무 많았기 때문에 상황이론들은 이
론적 설명은 충실했을지 몰라도 실무에 있는 사람들이 그것을 어떻게 적용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명쾌한 답을 제시해주지 못함
(3) 이론의 기능이 현상에 대한 이해 설명 예측 통제에 · · · 있다고 볼 때 리더십 , 상황이론
은 리더십 현상에 대해 이해 설명하는 , 데는 도움이 되었으나 예측과 통제에는 명
쾌한 답을 제시해 주지 못함
(4) 도움보다는 오히려 복잡성만을 더한 게 아닌가 하는 비판이 제기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