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더십

경영학, 인간관계, 처세술 등 리더십 핵심 요점 정리 4. 리더십의 특성

728x90
반응형

4. 리더십의 특성

1) 리더가 갖추어야 될 특성


(1) CEO (Listen) 국내외 많은 들이 리더가 갖추어야 할 조건 중 경청 을 꼽음
(2) GE( ) 제너럴 일렉트릭사 에서는 미국의 행동과학자 피고스의 리더십에 대한 정의를
사원교육에 도입하여 관리자능력개발에 효과를 올리고 있음
피고스
- ‘리더십은 듣는 것으로 시작해서 대답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다.’
- (Leader) 리더 란 여섯 가지 동사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각의 머리글자를 합성한 것
▶  listen( ), 듣는다
▶  explain( ), 설명한다
▶  assist( ), 도와준다
▶  disccuss( ), 토론한다
▶  evaluate( ), 평가한다
▶  response( ). 책임진다
- 가장 중요한 것은 ‘듣는다.’

 

① 자기가 하는 일의 70% 80% 내지 를 듣는 일에 해야 한다고 함
② 좋은 리더는 주위 사람의 말을 잘 듣고 자신의 , 비전 등을 조직원들에게 잘 설명하
고 어려움이 , 있으면 도와줄 수 있어야 함
③ 또 문제가 발생하면 토론을 통해 합리적으로 해결하고 객관적인 , 방법으로 조직원을
평가하고 최종적으로는 , 어떤 문제에 대해 자신이 최종 책임을 지는 자세를 견지해야
한다는 것으로 설명됨


- 리더는 聽해야 함

▶  다른 사람의 말을 듣는 귀 가 ( ) ( ) , ( ) ( ) 耳 으뜸 이며 들을 王 때는 열 개 의 十 눈 을 目 움직
여 하나의 마음 을 ( ) ( ) . 一 心 주시하는 것처럼 들으라


2) 리더십의 특성


(1) “비전”
▶  비전의 첫 번째 부분은 가치이며 사람이나 조직마다 추구하고 따르는 것
▶  비전의 두 번째 부분은 사명으로 회사나 리더의 임무는 사명을 완수하는 것
▶  비전의 세 번째 부분은 목적이며 조직이 존재하는 이유
▶  비전의 네 번째 부분은 목표이며 현재의 위치에서 내가 가고자 하는 곳까지 갈수 있는 구체
적인 계단
▶  비전의 다섯 번째 부분은 명확함으로 믿고 . 따르는 바를 정확하게 아는 것


(2) “용기”
▶  용기는 위험을 감수할 줄 아는 능력으로 위대한 리더임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것임
▶  대단함이란 아무런 보장이 없어도 과감하게 행동하는 것을 의미함
▶  과감이란 결연히 앞으로 나아가는 공격적인 전략을 의미함.
▶  끈기란 그 자리에 굳건히 서 있을 수 있는 능력
▶  위기관리의 진정한 리더십 테스트는 위기에 어떻게 대처 하는가를 보는 것


(3) “성실함”
▶  성실함은 뛰어난 사람들이 존경 받고 칭송 받는 가장 큰 이유이자 원인
▶  성실함은 모든 다른 특성들의 바탕이 되는 특성
▶  “ ” 리더십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현실원칙 ( ) 잭 웰치

▶  성실성의 핵심은 진실
▶  타인의 지지를 얻는데 가장 중요한 특성은 일관성


(4) “책임감”
▶  “내 책임입니다 는 .” 리더로서의 역할을 받아드린다는 뜻임
▶  잘못된 일에 대해 변명하지 말라
▶  리더는 냉정하고, 침착하며 정보를 모음
▶  어제의 문제보다는 내일의 기회를 생각함


(5) “통찰력”
▶  앞을 내다 볼 수 있는 능력
▶  모든 위대한 리더들은 전략적 사고를 함
▶  통찰력의 주요 부분은 위기예측 능력
▶  행동과정에 있어서 모든 가능성을 고려하라
▶  회사 시장 , 그리고 시장상황의 현 위치와 향후 갈 방향을 주시하라
▶  환경 변화의 상관관계를 예측하라


(6) “최선을 다해 승자가 되겠다고 약속한 사람”
▶  리더는 주변 상황의 필요에 집중함
▶  리더는 달성되어야 하는 결과에 주목함
▶  리더는 자신의 강점과 업적에 중점을 둠
▶  차이를 만드는데 나만이 할 수 있는 것을 항상 물음
▶  리더는 자신과 회사의 핵심역량에 초점을 맞춤
▶  리더는 다른 사람들도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격려하고 동기부여 함


(7) “협동”
▶  다른 사람과 잘 일하는 능력으로 협동은 추종자를 만들어 내는 능력
▶  핵심인물을 조직의 안과 밖에서 찾아냄
▶  권력이란 내게 의지하는 사람들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  예와 그림을 보여줌으로써 리드하라 이것은 . 다른 사람을 격려하고 동기부여 함


3)  리더십 (Leader ship) 과 헤드십(Head ship) 


(1) 헤드십은 리더십이 아님 기업의 회장이나 사장 또는 군대의 장관 등 직위만을
갖고 권한을 행사하는 것은 리더십이 아니라 헤드십


(2) , 리더십은 구성원의 자발적인 동의를 기반으로 하지만 헤드십은 ‘내가 수장首長이
니까 내가 ’ ‘ CEO니까 하면서 ’ 구성원들이 반대하는 사안도 자기 뜻대로 밀어붙임


(3) , 사장이 직원들에게 지시를 하면 직원들이 사장의 지시를 이행하고 장군이 부하에
게 명령을 하면 부하가 장군의 명령을 수행하는 것은 상대가 직위와 권한을 갖고

있기 때문 이것은 → 단순히 명령을 수행하는 것일 뿐 만약 부하들이 사장이나 장
군을 개인적으로 존경해 추종하지 않는다면 이것은 리더십이 아니라 헤드십인 것


(4) , , 강압에 의해 상하 계약에 의해 법이나 규정을 통해 사람을 움직이게 할 수 있지
만 행위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외형적 행위의 도출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이
것은 리더십이 아님 → 헤드십은 지도자의 개인적 이해를 바탕에 두고 있기 때문
에 지배 支配 의  개념에 가까움


(5) 리더십과 헤드십의 중요한 차이는 ‘ ’ 존중의 정신 그 . 정신은 구성원을 이해하고 받
아주며 더 , . 나아가 반대자까지 포용하는 것


(6) 리더십은 집단 구성원의 자발적 협력에 의해 그 집단이 목표로 하는 기능을 훌륭
히 수행하도록 이끔.


(7) 리더십과 헤드십의 차이
▶  헤드십은 머리만으로 이해하고 명령만으로 , . 사람을 다루려 함 리더십은 집단의 수족이 되어
일하면서 전체를 이끌어 나감
▶  헤드십은 배 밖에 있으면서 배에 탄 사람을 끌어당김 리더십은 . 리더가 배 안에 타고 있으면
서 함께 움직이도록 함
▶  헤드십은 두뇌 만 (Cool Head) (Warm Heart) 있으면 되고 심장 은 필요 없음
▶  리더십은 냉철한 이성과 따뜻한 마음이 모두 필요함


4) 리더십의 유형 - 7P Leader ship 


Plan-계획 중심의 전략가형
Program-일 중심의 전문가형
▶  Process-과정 중심의 관리자형
▶  Purpose-목적 중심의 개혁자형
▶  Production-결과 중심의 성취가형
▶  People-사람 중심의 구비자형
▶  Power-능력 중심의 최고경영자형


(1) 전략가형 (Strategist-Plan) 
▶  전략가형 지도자는 조직의 미래에 관심이 있으며 무조건 열심히 일하지 않고 전략적으로 일함
▶  조직의 모든 자원을 한 가지 방향으로 모으고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것이 무엇인지 연
구하고 분석함
▶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를 어떻게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해서 실행계획을 세움


(2) 전문가형 (Expert-Program) 
▶  전문가형 리더십은 지식과 기술을 중요시 하며 이 유형의 지도자는 경쟁력을 위해서는 전문

성이 필요하다고 믿음
▶  경쟁력 있는 전문가를 선발하고 격려하여 조직 내에 전문성을 확산시키려고 노력함
▶  잘 고안되고 개발된 핵심역량이 경쟁우위를 획득하고 유지시킬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라고 생각함
▶  조직 전체가 전문분야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집중할 뿐만 아니라 전문성을 강화하는 프
로그램이나 시스템을 개발하는 일에도 탁월한 능력을 발휘함


(3) 관리자형 (Manager-Process) 
▶  규제형 리더십을 행사함
▶  조직의 규제는 일관성 있고 예측 가능한 행동과 경험을 위한 통제 체계이며, 그 체계는 그
조직의 생산성과 인력 그리고 문화를 관리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
▶  이러한 통제 체계를 설계하고 유지하고 또 이를 , 이용해서 직원들의 성과를 측정하는 데에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함
▶  전략가형 지도자가 미래에 대한 계획 을 (plan) , 세우는 일에 시간을 보내고 전문가형 지도자
가 지식과 기술을 위한 프로그램 을 (program) , 운영하는 데에 에너지를 투자한다면 관리자형
지도자는 현상유지를 위한 과정 이 (process) 잘 진행되도록 점검하고 감독하는 일에 가장 큰
노력을 쏟음


(4) 개혁자형 (Reformer-Purpose) 
▶  개혁자형 지도자는 조직의 궁극적 목적을 위하여 끊임없이 자신을 혁신하고 조직을 혁신함
▶  찰스 파커스가 조사연구한 바에 의하면 세계적인 기업의 경영주들 중에서 관리자형 리더십
이 30%  인 반면에 개혁자형 리더십은 15% 에 불과하다고 함
▶  개혁과 혁신은 어려운 일이지만 개혁자형 지도자는 비록 혼란과 문제가 발생하고 전략적 실
수가 나타나고 일시적으로 손해가 나더라도 지속적인 개혁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믿
는 사람


(5) 성취가형 (Accomplisher-Production) 
▶  성취가형 지도자는 항상 모든 일을 자신이 앞장서서하기를 즐거워하며 어떤 일이나 과업을
성취함으로써 삶의 보람을 느낌
▶  리더십 학자인 게리 유클은 이 같은 성취가형 지도자에 대해서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성과의 증진을 추구하며 수행이 , , 뛰어날 것을 강조하고 부하들이 높은 표준을 갖도록 자신
감을 심어주는 사람”이라고 정의함
▶  성취가형 지도자는 앤드류 브라운이 분류한 ‘ ’ 영웅으로서의 지도자 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음.
영웅은 다른 사람들에게 역할의 모범이 되며 다른 , 사람들에게 나도 성공할 수 있다는 자신
감을 심어줌


(6) 구비자형 (Equipper-People) 
▶  구비자형 리더십은 리더십의 본질이 사람을 키우고 구비시키는 것으로 이해하는 리더십
▶  이 지도자의 최대 관심사는 사람으로 비록 , 과업을 완수해야 조직의 목적을 성공한다고 하더

라도 결국 그 목적을 이루는 존재는 사람이므로 사람에게 최대의 가치를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함
▶  구비자형 리더십은 다른 말로 인적자원 형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음
▶  인적자원 형 지도자는 실력 있는 사람을 채용하고 관리하는 것만이 생산성을 높이는 지름길
임을 알고 있음


(7) 최고경영자형 (CEO-Power) 
▶  최고 경영자형 리더십은 앞에서 말한 여섯 가지의 리더십 유형들 즉 , , , 전략가형 전문가형
관리자형 개혁자형 성취가형 구비자형 , , , 등의 모든 좋은 요소들을 종합한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음
▶  전략가형의 계획 을 전문가형의 (plan) , (program) , (process) , 프로그램 을 관리자형의 과정 을
개혁자형의 목적 을 성취가형의 (purpose) , (production) , 생산 을 그리고 구비자형의 사람
(people) (power) 을 다 추구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능력 을 가진 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