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조언어학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2. 대조언어학과 비교언어학, 언어유형론과의 관계

728x90
반응형

2. 대조언어학과 비교언어학, 언어유형론과의 관계

- 모든 언어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가짐. 언어가 가지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비교, 대조
하는 언어학의 분야에는 비교언어학, 언어 유형론, 대조언어학 등이 있음.


1) 비교언어학과 대조언어학


(1)비교언어학 (= 역사비교언어학)
♠ 해당 언어의 변천 및 여러 언어 간의 상관관계를 통시적인 시각으로 연구하는 분야
♠  언어에 대한 이해에 목표(이론언어학적 성격)
예: ① 한 언어의 초기 형태와 후기 형태를 비교
② 같은 계통에 속하는 상이한 언어들을 비교하여 특정 언어 간의 상호관련성 연구


(2)대조언어학
♠  공시적인 시각으로 대상이 되는 언어의 특징을 파악하고 다른 언어들과의 차이점을 파악하
고자 하는 언어학
♠  실용적인 목적에서 출발한 언어학 (응용언어학적 성격)

 

  비교언어학 대조언어학
관심영역 해당언어 간의 공통점 해당언어 간의 차이점
목적 보편성과 특수성 등
언어에 대한 이해
외국어 교육 등
실용적인 분야에서의 활용
접근방법 통시적 접근 공시적 접근
언어학적 분류 이론언어학 응용언어학

 

2) 언어유형론과 대조언어학


(1) 언어유형론
♠  공시적인 시각에서 세계의 여러 언어들을 조사하여 공통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
로 유형을 분류하는 것.
♠  역사적인 관계 고려하지 않음.
♠  언어의 보편성을 추구
♠  자연언어의 전체적인 조감도를 그림.
♠  동시에 많은 언어를 연구 대상으로 함.
♠  궁극적으로 언어의 특성을 일반화하여 자연언어가 가지는 보편적 특징을 탐구


(2) 대조언어학
♠  언어의 개별성 추구
♠  언어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 등 구체적인 특징을 파악
♠  소수의 언어를 연구 대상으로 함.

  언어유형론 대조언어학
관심영역 언어 간의 공통점 언어 간의 차이점
중시분야 보편성, 전체적 조감도 개별성, 구체적인 특징
접근방법 공시적 접근 공시적 접근
언어학적 분류 이론언어학 응용언어학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