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귀금속디자인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45. 색채와 디자인 5

728x90
반응형

 

45. 색채와 디자인 5

7. 색채관리

 

색채 관리란 비교적 최근에 생긴 어휘이며, 모든 기업이나 생산 공장에서 색채 관리를
제대로 실시하고 있는 것도 많지만 아직은 그 보급이 초기단계를 면하지 못하고 있는 실
정이라 하겠다.
우리들의 주변에서 품질 관리(quality control)란 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색채관
리와 품질관리를 비교하면 품질이란 말과 색채라는 말이 다를 뿐 관리의 목적이나 그 방
법은 내용적으로 거의 같은 것이라고 보아야한다. 색채 관리의 뜻은 색채의 종합적인 활
용 방법이다.
색채 관리는 어떠한 기업체 내에서 색채를 담당하는 사람의 힘만으로 되는 것은 아니
다. 각 부분의 색채 담당자는 물론, 사장으로부터 공장, 영업부, 크게는 그 회사의 제품
을 애용하는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모두 참여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곧 기업 운영의
기술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색채 관리란 색채의 종합적인 활용의 결과로서 회사는 물론 소비자가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적합한 색을 제품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기술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색채 관리의 대상이 되는 범위도 우리들의 의·식·주 생활의 전
반에 걸쳐 사용되는 모든 제품을 생산하는 데에 전부 필요한 것이므로 그 범위는 매우
넓은 것이다.


가. 현대 상품의 특징


어떠한 상품이든지 모든 상품의 외부는 모두 색으로 처리되어 있다. 모든 포장이나 용
기 등은 판매 효과를 위한 인위적인 색을 사용하고 있으면서 그 내용물은 그 나름대로
고유한 물질의 색을 가지고 있다.
그러면 그러한 색은 어떠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가? 그것은 소비자가 그 상품에 손을
대기 전에“내가 이 물건을 사야 되겠다.”고 결심을 하도록 동기를 주는 역할을 하고 있
는 것이다.
즉 현대의 상품은 기능적인 품질만 갖추고 아무렇게나 어떤 색이든지 외부를 처리하면
되는 것이 아니고, 소비자에게 호감을 줄 수 있는 아름다운 배색으로 처리해서 구입하려
는 충동을 일으켜야 하는 것이다.
오늘날 발달된 생산 기술은 균일화된 상품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했으며, 소비자는
상품의 질보다 포장이나 색채에 의한 심리적 기능이 구매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발전되
고 있다. 따라서 점차 모든 상품은 심리적 기능을 요구하며,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상품은 판매경쟁에서 낙후될 것이다.


나. 기업에 있어서의 색의 역할


기업에서 생산되는 모든 제품들은 운송이나 보관의 편리를 위하여 포장이라는 디자인
의 과정을 거쳐 소비자의 손에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판매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품정
보를 소비자에게 자세히 알려주는 방법으로서 각종 광고, 선전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광고, 선전은 신문이나 잡지, 텔레비전, 라디오 등에 소정의 경비를 지불하
여 행해지고 있으나, 최근에는 기업에서 업무용으로 쓰이는 각종 인쇄물, 운송 차량, 편
지나 봉투 등의 각종 서식류, 표식, 간판 등도 기업의 인상을 좋게 하는 광고와 같은 역
할로 확대하고 있다.
즉 국내·외 많은 기업들은 생산제품의 다양화와 기업의 확장, 국제시장의 진출, 경쟁
상품의 속출로 인하여 생길 수 있는 여러 가지 어려운 점에 대응하는 경영전략의 하나로
써 모든 디자인과 색채를 통일하여 좋은 기업 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디자인 중에서는 색채는 어떠한 형태보다도 보는 이의 눈을 쉽게 끌
고 멀리서도 식별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 많은 기업이나 단체에서 그 사업 성격에 알맞은 특정한 색을 제정하여 사용하
고 있는 것은 색이 가지고 있는 시각적 효과를 이용하여 통일된 기업 상을 형성하기 위
한 수단의 하나로써 바람직한 일이다.
파란색의 UN기는 희망과 평화를 상징하고, 소생과 건강을 상징하는 녹색이 제약회사
의 기업 색으로, 식용과 관계있는 노랑이나 오렌지색을 식품회사의 기업 색으로 많이 이
용하고 있는 것은 그 좋은 예이다.


다. 제품에 있어서의 색의 역할


모든 상품들은 크게 나누어 회사 안에서 계획, 제조, 판매의 3단계를 밟아 시장으로
출고된다. 이러한 단계는 회사의 크기에 따라 몇 사람이 모두 처리하거나 심지어는 한
사람이 해결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회사는 사장이 기업계획을 세워서 제
조기능과 영업 기능을 다른 사람에게 분담시켜 다른 사람이 일을 해줌으로써 경영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품의 색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3단계를 밟아야 한다.
① 어떻게 하면 좋은 색을 계획할 수 있는가?
② 어떻게 하면 좋은 색을 상품으로 제조함이 가능한가?
③ 어떻게 하면 좋은 색으로 된 상품을 많이 판매하는가?
따라서 기업주는 전문적인 디자이너나 색채 연구를 활용하여 어떠한 색이 제품에 맞는
색인가를 계획하여 생산품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할 것이다.
또 판매에 있어서는 어떻게 하면 그 색으로 판매의 능률을 올릴 수 있는가를 생각해야 한다. 그것을 모른다면 시장정보에 어두운 것이다.
상품의 색이 손님의 눈을 집중시키는 것만으로는 임무를 다하는 것이 아니다. 그 색이
손님에게 어떠한 인상을 심어주고, 사용 결과 어떠한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가가 핵심적
인 문제이다. 따라서 기업의 생산 담당자는 수집한 시장정보를 충분히 분석, 검토하여
색채 계획을 세운다는 것은 색채 관리의 주요한 과제인 것이다.
이렇게 하여 색에 대해서 취급하는 모든 방법의 전체를 색채 관리라고 하는 말로 표현
하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