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46. 제도의 기본
1. 제도의 개요
제도(製圖 : drawing)는 선과 문자와 기호로써 구성되며, 물품의 형태, 크기, 재료,
가공법, 구조 등을 일정한 규약에 따라서 명료하며 간결하게 표현한 것이다. 제도는 그
림으로 표현된 공통어이며, 완전하게 그려진 제도는 누구나, 어디서나, 언제나 동일한
의사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가 있다.
가. 제도의 규격
도면을 보고 작업을 할 때 설계자의 의사를 구두로 설명을 하지 않아도 제 3자의 의문
이나 오해가 없도록 정확하게 전달·이해시키려면 제도상 규정된 약속이 필요하며, 이
것을 제도 규격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규격은 각국에서 제정한 표준 규격의 일부로 되
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 표준 규격(KS, Korean Standard)이 있다.
<각 국의 주요 공업 규격 분류>
규격번호 | 규 격 명 | 국 명 |
KS | Korean Industrial Standards | 한국 산업 규격 |
ISO |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 국제표준화규격 |
JIS | Japan Industrial Standards | 일본 공업 규격 |
ASA | American Standards Association | 미국 표준 규격 |
DIN | Deutsches Institute fur Normierung | 독일 표준 규격 |
BS | British Standard | 영국 국가 규격 |
ANSI |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 미국 규격 협회 |
나. 도면의 분류
도면을 용도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 도표와 같다.
표 4-2 도면의 용도에 의한 분류
분류방법 | 도면의 종류 | 설명 |
용도에 의한 분류 | 계획도(計劃圖) | 제작도 작성에 기초가 되는 것으로 도면으로 설계, 기획자의 의도를 명시하 는데 충분한 내용이 필요하다. |
제작도(製作圖) working drawing |
공장이나 작업장에서 일하는 작업자를 대상으로 하여 그려진 도면으로 설계 자의 뜻을 작업자에게 완전하게 전달할 수 있는 충분한 내용과 가공의 용 이, 제작비의 절감이 요망된다. |
|
주문도(注文圖) order drawing |
주문자가 주문서에 첨부하여 그 유무의 대강을 수주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도면으로 건축의 경우에는 대체적인 크기나 모양, 기능의 개요, 소요 정밀도 등을 표시할 필요가 있다. |
|
승인도(承認圖) approved drawing |
수주자가 주문자의 검토를 거쳐 승인을 받아 계획 및 제작을 하는데에 기초 가 되는 도면이다. 승인도는 일부러 만들지 않고 수주자가 주문자의 승인을 얻기 위하여 제출하는 승인용 도면 또는 이것에 정정을 하여 승인인(承認印) 을 받아 승인도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
다. 도면의 분류
(1) 스케치도(sketch drawing) : 현장에서 기계나 부품 등을 연필을 사용하여 프리
핸드(Free hand)로 스케치한 도면
(2) 원도(原圖, original drawing) : 제도 용지에 연필로 그리는 최초의 도면
(3) 사도(寫圖, traced drawing) : 원도를 트레이싱 페이퍼(tracing paper)로 덮고
위에 연필이나 먹물로 그린 도면(작업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원도를 트레이싱 페
이퍼에 직접 그리는 경우도 있다.
728x90
반응형
'귀금속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48. 정투상법 (3) | 2023.09.20 |
---|---|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47. 제도의 표시 (1) | 2023.09.19 |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45. 색채와 디자인 5 (6) | 2023.09.17 |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44. 색채와 디자인 4 (4) | 2023.09.16 |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43. 색채와 디자인 3 (3) | 2023.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