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공예의 정의와 본질
1. 공예의 정의
지금까지 우리가 써오던 공예라는 말은 사람들이 만든 조형물(造形物) 중에서 미적 가
치가 있는 미술품으로서의 공예미술을 뜻하였다.
그러나 오늘날의 공예라는 말은 미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조형물뿐만 아니라, 사람의
창의(創意)나 예지(叡智)를 거쳐서 만들어진 생활용품도 포함한다.
현대 문명 속에 삶을 이어가는 우리들의 생활 주변에는 흔히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식기 등의 도자기를 비롯하여 장식품에 이르기까지 공예품이 많이 있다. 이와 같이 공예
는 생활과 더불어 시작되었고, 생활과 더불어 발전해 왔다고 할 수 있다.
공예가 생활의 미를 만들어내고, 조용하고 향기로운 생활 감정을 만드는 원천이라는
것을 알게 된 것은 그리 오래된 일은 아니다. 그렇다고 일반대중이 공예에의 자각에 이
른 것은 물론 아니다.
공기나 물은 그 양이 너무 많기 때문에 고마움은 물론 그 존재조차 의식하지 못하는
것처럼 공예도 생활의 발생과 더불어 밀착되었기 때문에 보통 사용하고 있는 것은 공예
가 아니고 단지 왕궁이나 박물관 같은 곳에 있는 귀중품이라고 잘못 생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2. 공예미의 본질
공예의 아름다움은 오랜 세월동안 그림이나 조각 같은 것에 비해서 그의 실용성 때문
에 예술로서의 가치를 무시당해 왔다. 그러나 오늘날 공예는 실용예술로서 그의 실용성
과 미적 가치 표현으로 그 속에서 인간 생활의 미가 나타나며, 또한 인간의 창조와 미가
하나로서 표시되고 있다.
공예미의 본질은 공예성과 미술성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는데 공예성(工藝性)이란
실용성, 다량성, 저렴성, 공유성 등을 포괄하여 말한다.
가. 실용성
실용성은 공예성의 중심이며, 실제 생활에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실용성까
지 포함하고 있다. 정신적인 실용성이란 종교적인 대상으로서의 여러 가지 장식품을 가
리킨다. 고대의 유물이나 종교적인 작품들이 그 나름대로 미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은
그것들이 순수한 의미의 실용을 목적으로 존재했기 때문이며, 이처럼 실용성이 미를 창
출한 경우는 과거의 예술작품 속에서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나. 다량성
다량성은 저렴성과 관계가 깊으며, 많은 사람들의 행복을 위하여 다량의 공예품을 만
든다는 것이 공예의 한 특성이라 할 수 있다.
다. 저렴성
많은 사람들이 공예품을 유용하게 쓰려면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아무리 좋은 물건이라도 그 용도에 비하여 비싸다고 인식되면 그것은 실용적이라고 볼
수 없다.
라. 공유성
쓸모가 있다고 하는 것은 어느 한 개인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많은 사람을 대
상으로 하는 것으로 공유적인 특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공예품은 많은 사람의 욕구를
공통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공예성과 항상 대비되는 것이 미술성(美術性)이다. 그것은 실용을
근본적인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미의 원리를 뒤쫓는 것이다.
미술이란 미를 나타내는 예술이므로 미술가는 미에 대한 예민한 감각과 의식을 갖고
있어야 하고 그 감각과 의식으로써 얻은 표현의욕을 완전히 만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
추어야 된다. 미술가의 가장 중요한 조건은 다른 사람이 따를 수 없는 재능을 가진 것으
로써 평가되며, 항상 같은 단계에 머물러 있으면 안 되고 새롭고 비범한 미의 세계를 향
하여 항상 전진해야 된다. 그러기에 미술성은 실용성 대신 감상성을 그의 법칙으로 하
며, 다량성이 아닌 희소성(稀少性)을, 저렴성이 아닌 고가성(高價性)을, 공유성이 아닌
특수성을 갖고 독창성의 으뜸으로 삼는다. 이와 같이 미술성은 공예성에 대하여 끝까지
반대의 개념에 선다. 그러면 공예성과 미술성은 영원히 상반적인 위치에 서있는 것일
까? 사실은 그렇지 않다. 항상 극과 통하는 법이다. 좋은 미술작품 속에서도 무엇인지
공예성에 가까운 것을 발견할 수가 있다. 예컨대 현대 회화에서 볼 수 있는 고도의 장식성 같은 것은 그러한 좋은 예이다.
이와 같이 미술성과 공예성, 미술가와 공예가는 현대적인 의미에서 공존 및 협력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귀금속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6. 금속공예와 귀금속 공예 (4) | 2023.08.05 |
---|---|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5. 공예디자인 (4) | 2023.08.04 |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3. 조형미술의 영역 (5) | 2023.07.30 |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2. 조형 예술과 미 2 (5) | 2023.07.27 |
보석가공 및 보석세공의 A to Z 귀금속 디자인 요점 정리 1. 조형 예술과 미 1 (3) | 2023.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