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분리 및 추출
분리농축
: 식품 가공에서는 유익한 물질을 분리(separation) 또는 농축
(concentration)하여 이용하고,
유해한 물질은 제거하여 식품의 품질을 향상..
◈ 식품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① 여과(filtration) : 필터 (filter)를 사용하여 불용성 물질을 분리
② 원심분리(centrifugation) : 물질의 비중에 의해 분리
③ 추출(extraction) : 용매에 대한 용해도 차이를 이용
④ 막 분리 농축(membrane concentration) : 막을 사용하여 미세입자를 크
기에 따라 분리
여과
: 다공성 여과제(medium)를 이용하여 불용성물질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조작
- 여액(filtrate)
- 여과박(filter cake)
- 여과제(filter medium)
* 여과제의 저항(Rm), 여과박의 저항(Rf, Rc)
* 구동력에 따라 압력강하를 극복하는
① 상압여과 ② 가압여과 ③ 감압여과
1) 여과제
① 체, 면직 → 직조형 ② 섬유조직(솜, 펄프) → 펄프형
③ 철판구멍 → 다공판형 ④ 모래상 형 → 자갈, 모래, 실리카겔
2) 여과조제(filter aid)
: 여제의 구멍이 막히지 않도록 비압축성 물질의 입자를 여제위에 별도의
층(precoat)을 형성(규조토, silical gel, 펄프, 숯)
precoating / premix
3) 여과기
① 고체-액체 여과
▷ 중력여과기
▷ 원심여과기
▷ 가압여과기
▷ 감압여과기
② 고체-기체여과기
▷ bag filter
침강분리
: 대량의 유체중에 부유되어 있는 고체입자를 중력에 의하여 침강시켜 고체-액체를
분리하는 조작.
: 전분공업, 유가공업, 과즙가공, 양조공업 등에 이용
◈ 목적
① 청징액을 얻을 경우 : 과즙 및 청주
② 현탁물의 농축액을 얻기 위하여 : 녹말침전
③ 현탁액의 고체입자를 크기에 따라 분획, 분급하기 위하여
원심분리
◈ 원심분리
: 원심력을 이용하면 빠른 분리가 가능, 액체와 액체 간의 분리, 액체와
고체 간의 분리에 이용
원심력 Fc= 0.011 mrN2
◈ 원심효과
중력과 원심력의 비(z)
z= 0.001118rN2
◈ 액체-액체 원심분리장치 : 원통형 보울 원심분리기, 디스크 보울
◈ 고체-액체 원심분리 : 고체보울 원심분리기, 노즐배출형 원심분리기
막분리
: 액체에 용해되어 있거나 분산되어 있는 물질을 다공성 여과매체에 통과
시켜 크기나 입자 크기별로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방법
◈ 특징
① 상변화 無 → 에너지 절감
② 열처리 無 → 색소분해 갈변 無 , 영양가 손실 無
③ 증발공정 無 → 휘발성분 손실 無
◈ 막 재료 및 장치
: 막을 지탱해주고 형태를 유지 시켜주는 모듈(module)은
- 넓은 면적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 압력변화와 액체의 이동에도 손상이 없어야 하며 세척이 용이해야 함
- 평판형 (plate and frame), 관형 (tubular), 중공사형 (hollow fiber),
나선형(spiral) 형태
막 재료 및 장치
1) 평판형 모듈
- 가압 여과막과 같은 구조로 양면에 여과막을 가진 평판(plate)과 속이 비어
있는 스페이서(spacer)를 샌드위치 형태로 적층,
- 원액이 주입되어 여과막을 통과하면 스페이서(spacer)를 통하여 배출
- 일정한 공간에 더 많은 막의 표면적을 갖게 하며 막의 교체가 수월
2) 관형 모듈
-원료액이 원통형 모양의 여과막 내부로 흐르고, 막을 통한 여과액은 판 밖으로
모이게 됨. 12-15mm의 직경에 1.2-3.2m 길이의 크기를 갖고 있는 여러 개의
관형 모듈을 원통형 통에 장착하여 사용
- 관형 형태의 모듈은 액체의 흐름속도가 좋고 fouling이 잘 일이나지 않음
3) 중공사 (hollow fiber)
- 매우 작은 반지름(1~1.2mm)을 가진 50-1,000개의 fiber로 구성. 표면적이 매우 커
역삼투에 응용. Fouling 이 쉽게 발생
3) 나선형 모듈
- 여과막, 스페이서(spacer), 그물망(mesh), 지지체 등이 여러 층(layer)들이 겹쳐져
구멍이 뚫린 중앙 튜브 주위를 나선형 형태로 둘러싸고 있는 형태
막분리 종류
1) 마이크로여과(MF. microfiltration)
: 분자량 100,000~500,000 크기가 0.1~2㎛
: 콜로이드(colloid), 지방구(fat globule), 단백질, 세포 분리
2) 한외여과(UF, ultrafiltration)
: 10,000~200,000 범위의 분자량 크기가 이0.01~0.1 ㎛
: 물질을 분리하여 농축하는 경우와 제거하는 경우로 광범위하게 사용
: 유가공에서 우유나 유청(whey)의 농축(약 20%의 고형분까지)과 유당의 제거에 이용
: 단백질이나 펙틴, 효소를 제거, 생맥주 등에서 세균을 여과 분리하여 농축하는 경우는 설탕과 펙틴,단백질, 효소 등
3) 나노여과(NF, nanofiltration)
: 한외여과보다 더 작은 분자량의 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방법
: 분자량 300~1,000까지 분리가 가능.
: 포도당 등 단당류를 분리, 소금과 같은 저분자량 물질도 반 정도 제거
이온물질도 어느 정도 제거
4) 역 삼투압(RO, reverse osmosis)
: 삼투압보다 큰 압력을 가하여 역방향의 분리(삼투와 반대방향으로
용매가 저농도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으로 농도가 높은 것을 더
높게 함)를 일으키는 것.
: 200x l03 pa(200 기압) 이상의 높은 압력.
: 저분자 용질의 분리. 소금이나 단당류, 향미물질도 분리
◈ 역삼투(RO)의 이용
분자량이 300 이하인 세균, 유기물의 99.9%까지 제거
저알코을 맥주 제조나 청량음료 제조 시 음료수를 맑게 할 때 이용
폐수에서 유용물질(단백질 등)을 회수
분자량의 크기에 의해서 분리 가능, 전해질도 분리할 수 있어 바닷물로부
터 소금을 제거하여 식수를 정제하는 데에도 이용
추출(extraction): 성분을 용매에 용해시켜 분리하는 방법
: 유용성분을 분리하여 이용하거나 필요 없는 성분을 분리하여 제거
① 식용유지의 추출
② 향미물질과 정유성분의 추출
③ 커피의 추출
④ 기능성 물질의 추출
⑤ 커피나 차에서 카페인(caffeine) 제거
◈ 용어
: 원료(추재), 용질, 용매, 추출액, 잔류물
◈ 종류
① 고-액 추출(solid-liquid extraction, leaching)
② 액-액 추출(liquid- liquid extraction, extraction)
◈ 추출속도
① 입자표면적-넓을수록
② 용매점도- 낮을수록
③ 추출온도- 높을수록
④ 용매의 유속- 빠를수록 유리
◈ 용매
: C5-C7의 포화탄화수소류(hexane)
◈ 추출기
① 회분식추출기 ② 볼만추출기
③ 다단식추출기 ④ 힐데브란트추출기
⑤ 연속식추출기 ⑥ 보노트추출기
초임계유체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 초임계 이산화탄소는 커피나 차에서 카페인을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맥주 제조 시 첨가하는 호프(hop)나 향신료에서 향미물질을 추출하는 데에도 사용
◈ 저온에서 조작 : 열에 민감한 물질 추출
◈ 초임계 추출
- 확산계수가 높고, 점도가 낮아 빠른 추출과 상분리 가능
- CO2가 가장 많이 사용
- 30℃, 70기압이상에서 사용
* 임계온도- 그 온도이상에서 압력에 관계없이 액상으로 존재할 수 없는 온도
◈ 초임계 유체
: 일정한 온도와 압력 이상이 되면 액체와 기체를 구분할수 없는 상태
◈ 특징
① 초임계유체 상태에서는 액체와 비슷한 밀도를 가지고 있어 액체 용매처럼
용질에 대한 높은 용해력과 기체 상태와 같이 낮은 점도와 높은 확산도를
가지고 있어 침투력이 좋기 때문에 추출 효율이 높음.
② 추출 후 기체 상태로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용매 잔류가 없고, 추출 중 외부
산소와 차단되어 있어 산화에 의한 손실을 방지.
③ 낮은 임계온도의 초임계 유체는 열에 불안정한 물질 추출에도 사용
④ 식품에서는 저렴하고, 취급 및 제거가 쉽고, 임계점이 낮으며, 화학적으로
안정한 이산화탄소를 초임계유체로 사용
⑤ 초임계 이산화탄소는 식품에서 지방 및 콜레스테롤 제거, 커피에서 카페인 제거,
무알코올음료 제조, 참기름 추출 등 이용
'식품가공공정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 공학, 식품기사, 위생사, 영양사 대비 식품가공공정학 10. 혼합 및 성형 (0) | 2023.03.17 |
---|---|
식품 공학, 식품기사, 위생사, 영양사 대비 식품가공공정학 9. 증발 및 농축 (1) | 2023.03.17 |
식품 공학, 식품기사, 위생사, 영양사 대비 식품가공공정학 7. 분쇄 (1) | 2023.03.04 |
식품 공학, 식품기사, 위생사, 영양사 대비 식품가공공정학 6. 건조 (1) | 2023.03.03 |
식품 공학, 식품기사, 위생사, 영양사 대비 식품가공공정학 5. 냉동 (2) | 2023.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