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강>
1. 튀넨의 모형을 틀리게 설명하는 것은 무엇인가?
①모든 농부는 정상이윤만을 얻고 있다고 가정
②어떤 작물의 가격이 상승하면 그 작물을 재배하는 농지 면적이 증가함
③생산요소 간 대체가 가능하면 지대곡선은 직선의 형태를 가짐
④농지 간 비옥도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음
정답 : 3 해설 : 튀넨의 모형에서 생산요소 간 대체가 가능하면 지대곡선은 원점에 대해 볼
록한 형태를 가짐
2. 토지 생산물의 가격이 상승하면 지불용의 지대곡선은 어떻게 이동하는가?
①상향이동 ②하향이동 ③기울기가 보다 완만해짐 ④기울기가 보다 급해짐
정답 : 1 해설 : 토지 생산룰의 가격이 상승하면 모든 위치에서의 지불용의 지대가 증가하
므로 지불용의 지대곡선은 상향이동한다.
3. 한계운송비가 하락하면 지불용의 지대곡선은 어떻게 이동하는가?
①상향이동 ②하향이동
③기울기가 보다 완만해짐 ④기울기가 보다 급해짐
정답 : 3 해설 : 한계운송비가 하락하면 시장에서 먼 토지일수록 지대가 상승하므로 기울
기는 보다 완만해짐
【정리하기】
- 토지의 시장가격은 총 지대수입의 현재가치와 일치함
- 튀넨 모형의 가정 :
① 농작물의 가격과 토지 이외의 생산요소 가격은 전국적인 시장에서 결정된다.
② 모든 농작물은 판매되기 위해 시장으로 운반되어야 한다.
③ 농작물시장은 완전경쟁시장이어서 진입장벽이 존재하지 않는다.
④ 모든 토지의 비옥도는 동일하다.
- 위와 같은 가정 하에서는 모든 농부의 이윤은 0이 됨
- 지대곡선은 농부의 이윤이 0인 상태에서 지대가 시장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어떻게 달라
지는지를 보여주는 곡선임
- 생산요소 간 대체가 불가능하면 지대곡선은 우하향하는 직선이 됨
- 시장에서 멀어질수록 지대가 감소한다면 시장에서 멀어질수록 토지의 투입량을 늘리고 다
른 생산요소의 투입량을 감소시킴
- 토지의 투입량이 증가하면 토지 외 생산요소는 감소해야지만 생산량이 변하지 않으므로 등
량곡선은 우하향의 기울기를 가짐
- 등량곡선이 원점에 대해 볼록한 형태를 가지면(기울기가 감소하면) 토지투입량이 일정한
비율로 증가할 때 토지 외 생산요소의 투입량의 감소폭이 감소함
- 생산요소 간 대체가 가능한 경우 지대곡선은 우하향하면서 원점에 대해 볼록한 형태를 가
짐- 투입요소 비율이 동일한 경우를 제외하면 항상 투입요소 간 대체가 가능한 경우에 토지
의 단위 당 지대가 더 높은데 그 이유는 비용의 더 낮기 때문
- 토지의 생산물 가격이 상승했을 때 지대곡선의 수직축 절편과 수평축 절편이 상승하므로
모든 지점에서의 지대가 상승함
- 운송비가 하락하면 수직축 절편은 변하지 않고 지대곡선의 기울기만 평평해므로 시장에서
멀어질수록 지대가 상승함
- 운송비는 많이 들면서 kg당 가격이 비싼 작물, 예를 들어 딸기와 운송비는 적게 들면서 kg
당 가격이 상대적으로 싼 작물, 예를 들어 배추를 비교하면 시장에서 가까운 토지에 대해서
는 딸기 농가가 제시하는 지대가 높고 시장에서 먼 토지에 대해서는 배추 농가가 제시하는
지대가 높음
- 그 결과 시장에서 가까운 농지에는 딸기가 재배되고 시장에서 먼 농지에는 배추가 재배됨
『주요용어』
- 지대 : 토지 임대료
- 지대곡선 : 지대가 시장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는 곡선
- 등량곡선 : 동일한 생산을 위해 투입되는 토지 투입량과 토지외 생산요소 투입량을 보여주
는 곡선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도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 경영학 등 도시경제학 핵심 요점 정리와 문제 7장. 도시의 성장 (0) | 2022.12.18 |
---|---|
경제학, 경영학 등 도시경제학 핵심 요점 정리와 문제 6장. 도시의 성장 (0) | 2022.12.18 |
경제학, 경영학 등 도시경제학 핵심 요점 정리와 문제 4장. 도시의 성장 (0) | 2022.12.16 |
경제학, 경영학 등 도시경제학 핵심 요점 정리와 문제 3장. 기업의 입지결정 (0) | 2022.12.16 |
경제학, 경영학 등 도시경제학 핵심 요점 정리와 문제 2장. 기업의 입지결정 (0) | 2022.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