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강>
1. 개별수요는 그대로 있고 여행비용이 감소하면 시장지역의 크기는 어떻게 되는가?
①증가한다 ②감소한다 ③증가할 수도 있고 감소할 수도 있다 ④변하지 않는다
정답 : 1 해설 : 여행비용이 감소하면 더 많은 소비자들이 기업이 생산하는 재화를 소비하
게 되므로 시장지역은 증가한다.
2.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하면 열등재의 시장지역의 크기는 어떻게 되는가?
①증가한다 ②감소한다 ③증가할 수도 있고 감소할 수도 있다 ④변하지 않는다
정답 : 1 해설 : 소득 증가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발생시킨다. 하나는 열등재의 수요를
감소시켜 시장지역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효과이다. 다른 하나는 주택수요를 증가시켜서 인구
밀도가 감소하면서 시장지역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효과이다. 따라서 두 가지 효과 모두 시장
지역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3. 중심부 이론을 따르면 지역의 중심에는 어떠한 규모의 도시가 위치하는가?
①규모가 가장 큰 도시 ②중간 규모의 도시
③규모가 작은 도시 ④규모와는 상관없이 어떠한 도시도 위치할 수 있음
정답 : 1 해설 : 중심부에는 다양한 규모의 기업이 입지하므로 규모가 가장 큰 도시가 위치
한다.
【정리하기】
- 어떤 지역에 기업이 하나만 있는 경우는 지역적 독점이 되고 전 지역이 그 기업의 시장지
역이 됨
- 초과이윤이 존재하면 균형이 아니므로 새로운 기업의 진입함
- 이윤이 0가 되면 더 이상 진입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균형이 되고 이 상태의 시장지역이 균
형시장지역
- 기업의 생산량은 변하지 않고 소비자 개인별 수요가 증가하면 시장지역은 감소
- 개인별 수요는 변하지 않고 생산량이 증가하면 시장지역은 증가함
- 여행비용이 감소하면 여행비용이 너무 커서 구입을 못하던 소비자도 구입하게 되므로 시장
지역은 증가함
- 규모의 경제 정도가 증가하면 생산량이 증가하고 가격이 하락하여 시장지역이 증가함
- 소득이 증가하면 정상재의 수요가 증가하여 시장지역 크기가 감소함
- 소득이 증가하면 주택수요가 증가하고 인구밀도가 감소하여 시장지역의 크기가 증가함
- 기업이 판매하는 상품의 소득 탄력성과 토지의 소득탄력성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달라짐
-중심부 이론은 한 지역 내, 예를 들어 한 국가 내에 존재하는 도시의 수와 도시의 규모를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이론
- 이 이론은 규모의 경제 정도와 개별 수요의 크기가 시장지역의 크기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
인이라는 시장지역의 분석을 기초로 하고 있음
- 규모가 가장 큰 L에는 세 종류의 기업이, 그 다음 규모인 M에는 두 종류의 기업이, 그리고
가장 작은 규모인 S에는 한 종류의 기업이 존재
- 규모가 큰 도시일수록 보다 다양한 산업이 존재하기 때문에 항상 규모가 큰 도시가 규모가
작은 도시로 재화를 ‘수출’
- 도시규모의 규칙성에 대한 설명을 제공
『주요용어』
- 균형시장지역 : 기업들의 이윤이 0이고 따라서 기업의 수가 변하지 않는 상태의 시장지역
- 상품의 소득탄력성 : 소득이 변함에 따라 상품의 수요가 얼마나 변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 토지의 소득탄력성 : 소득이 변함에 따라 토지의 수요가 얼마나 변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 도시 규모의 규칙성 : 도시의 규모가 커질수록 그러한 규모의 도시 수가 적어진다는 것
'도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 경영학 등 도시경제학 핵심 요점 정리와 문제 6장. 도시의 성장 (0) | 2022.12.18 |
---|---|
경제학, 경영학 등 도시경제학 핵심 요점 정리와 문제 5장. 도시의 성장 (1) | 2022.12.17 |
경제학, 경영학 등 도시경제학 핵심 요점 정리와 문제 4장. 도시의 성장 (0) | 2022.12.16 |
경제학, 경영학 등 도시경제학 핵심 요점 정리와 문제 2장. 기업의 입지결정 (0) | 2022.12.15 |
경제학, 경영학 등 도시경제학 핵심 요점 정리와 문제 1장 도시의 생성 (2) | 2022.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