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비문학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4. 전설과 민담의 이해

728x90
반응형

4. 전설과 민담의 이해

(학습 목표)

1. 전설과의 특징을 이해한다.
2. 전설과 민담의 실제 작품을 통하여 그 의미를 이해한다.
3. 전설과 민담에 담겨진 전승집단의 의식을 이해한다.
4. 신화와 전설, 민담의 상관관계를 이해한다.

 

(A. 전설의 이해)

 

1.전설의 성격

 

예사사람 혹은 비범한 인물과 세계의 장벽갈등하고 대결하는 구도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을 설화의 방식으로 재해석하고 전승하는 갈래

 

사실성과 진실성에 중점을 두면서 사실처럼 인식하고자 하는 의식 반영

 

사실성의 인식과 허구적 이야기의 결합에서 파생되는 특별한 긴장관계 형성

 

사실성의 확인 및 해석의 과정에서 논쟁을 수반하는 설화갈래

 

2.전설의 종류

 

전승범위 기준

地域的 傳說(Local Legend) : 간수내 전설(경북상주)

移住的 傳說(Migratory Legend)·廣布傳說: 아기장수전설, 오누이힘내기전설, 장자못전설

 

발생목적 기준

설명적 전설(AetiologicalLegend):지리상의 특징, 자연 현상,특수한 습관 동·식물의 특별한 형상, ·바위·못 등의 생김새 등 설명.= 유래

역사적 전설(Historical Legend) : 역사적 사건과 인물을 바탕으로 그것에 관한 인식을 드러냄.=임경업, 강감찬, 최치원 등

신앙적 전설(ReligiousLegend):민간신앙을 기초로 한 전설. 정도령의 도래 전설, 禁忌를 알려주는 전설 . 신화적 인식과도 관련

 

3.전설의 실제와 해석

 

=야래자 전설(夜來者傳說)

·역사적 인물의 출생담: 地母池龍의 결연서동·견훤(英雄)의 출생

·역사적 인물과 관련 없이 전승되면 민담의 영역으로 들어감.

부잣집 딸과 지렁이(池龍)의 결연

=아기장수 전설

·역사적 인물과 결합 : 조선 태조 이성계, 최제우

·앙적 인물과 결합 : 정도령(아기장수가 죽지 않고 어느 곳에서 후천 개벽을 준비하고 있다는 인식이 결합됨.)

= 오누이 힘내기 전설

·역사적 인물과 결합 : 김덕령

·전설적 성격: 남동생과 누이의 대결. 우월한 능력의 누이가 패배하는 결말.=비극적

 

=홍수 남매혼 전설과 달래강(달래고개) 전설

·男妹婚 神話傳說化: 創世의 시절 男女神의 결합

天意에 의한 男妹婚의 성립倫理準據에 의한 男妹婚悲劇的 結末

 

(민담의 이해)

 

1.민담의 성격

예사 사람 혹은 그 보다 열등한 인물이 세계의 장벽을 우연한 계기나 행운에 의해 극복하는 내용

흥미 위주의 내용으로 사실성과 진실성 여부는 배제 됨.

세계적 보편성을 지닌 유형이 확인 됨. (콩쥐 팥쥐/신데렐라)

 

2.민담의 실제와 해석

선녀와 나무꾼

·地父天母의 결연

·하강(천상->지상) 결연(지상) 이별(지상->천상) 좌절: 수탉의유래

재회: 天上지향

·민담적 사고방식의 반영: 天上指向 의식

cf) 신화: 천상-->지상

 

蛇神人間의 결연을 중심으로 한 민담: 구렁덩덩신선비

 

 

구렁이와 꾀 많은 신부: 신격의 희화화--> 민담적 성격의 정착

 

神格의 변화와 飮食文化의 양상

·민담에서 등장하는 신격의 우열 관계

--神格의 우열 관계: (水神) 지네(火神) 두꺼비(+)

[야래자· 구렁덩덩신선비(水神)구렁이와 지네의 승천다툼지네창·지네장터(두꺼비의 보은)龍昇天譚]

 

神格의 변화와 飮食文化의 양

 

·<神格優劣과 음식문화의 단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