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강. 신화의 이해 1
(학습목표)
1. 신화의 성격에 대하여 이해한다.
2. 신화의 민족적 성격을 이해하도록 한다.
3. 신화의 문학적 성격을 정확히 이해하도록 한다.
4. 중요한 신화 자료가 갖는 의미에 관하여 이해한다.
1.신화의 개념
神이나 신에 버금가는 능력을 지닌 英雄이 등장하여 예사사람이 이룩하기 불가능하거나 지극히 어려운 과업을 성취함으로써 집단 공동체의 공동목표를 실현하는 이야기.
2.신화의 의의
*문학의 원천
*역사 기술의 방식
*전통 신앙의 경전
*정치적 통합의 이념제시
*삶의 방식 혹은 규범의 제시
*철학적 사유 방식의 내력 제시
*관념적 공동체인 민족 개념 형성의 매개체
*전통 문화의 형성
*역사적 경험
3.신화의 종류
*창세신화: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건국신화: 단군신화, 주몽신화, 혁거세신화, 수로신화
*성씨시조신화: 창년 조씨 조계룡 출생신화
*마을신화: 당신(堂神)신화, 죽령산신 다자구 할머니, 연평도 임경업 장군
*신좌정(神坐定)신화: 바리공주, 제석본풀이(당금아기), 칠성본풀이(신의 근본)
*기타신화: 영등할머니(風神)
4.한국 신화의 실제
단군신화
(A) 魏書云 乃往二千載有壇君王儉 立都阿斯達【經云無葉山 亦 云白岳 在白州地 或云在開城東 今白岳宮是】開國號朝鮮 與高同時
(B) 古記云 (ᆨ) 昔有桓因【謂帝釋也】庶子桓雄 數意天下 貪求 人世 父知子意 下視三危太伯可以弘益人間 乃授天符印三箇遣往理之雄率徒三千降於太伯山頂【卽太白 今妙香山】神壇樹下 謂之神市 是謂桓雄天王也 將風伯雨師雲師 而主穀主命主病主刑 主善惡 凡主人間三百六十餘事 在世理化
(ᆫ) 時有一熊一虎 同穴而居 常祈于神雄 願化爲人 時神遺靈 艾一炷 蒜二十枚曰 爾輩食之 不見日光百日 便得人形 熊虎得而食之忌三七日熊得女身虎不能忌而不得人身 熊女者無與爲婚故每於壇樹下呪願有孕雄乃假化而婚之孕生子號曰壇君王儉以唐高卽位五十年庚寅【唐高卽位元年戊辰則五十年丁巳非庚寅也疑其未實】都平壤城【今西京】始稱朝鮮 又移都於白岳 山阿斯達 又名 弓 【一作方】忽山 又今彌達 御國一千五百 年周虎王卽位己卯封箕子於朝鮮壇君乃移於藏唐京後還隱於阿斯達爲山神壽一千九百八歲 <三國遺事> 卷1 紀異 古朝鮮
1).桓因〓帝釋: 불교와 무속의 결합
--불교의 帝釋天과 무속본풀이의 <제석본풀이>의 帝釋
2).三危太伯: 삼위산과 태백산인가, 삼위의 태백산인가?
*세 봉우리가 있는 큰 산
*三危:東國與地勝覽黃海道文化縣山川條九月山
(在縣西十里卽阿斯達一名弓忽一名甑山一名三危 世傳檀君初都平壤後又移白岳卽此山也)
*太伯: 일연은 妙香山으로 비정
-->곧 三危山과 太伯山일 가능성. 九月山妙香山을포함하는지역범위
*이능화의<朝鮮道敎史>:대개 동방의 모든 산은 太白이라 이름 한 산이 많지만 俗士들은 으레히 영변 묘향산으로만 간주한다. 그러나 실은 일연의 삼국유사의 설명에 따른 것일 뿐이니 저들의 안목을 어찌 논할 대상이 되겠는가? 지금 백두산 위에는 큰 못이 있는데 그 주위가 팔십 리나 되고 압록강과 여러 강이 이곳에서 발원하므로 천지라 하는데 이곳이 신시씨
가 구름을 타고 하늘로 올라간 곳이다.묘향산에는옛부터 작은 웅덩이 하나가 없으니 환웅이 처음 하강 태백산 이 라고는 얘기할 여지조차 없다. ->태백을 백두산으로
이해함.
3).天符印三箇 :
# 中國 明代 王機,<運氣易覽>:行天之令/天地間人物化生之氣/地之化를주관하는上‘中’下 三氣를 天符라 한다. 곧 우주계‘인간계’지중계의 3계의 기운을 조절하는 세 개의 요소 (印‘神物)라 할 수 있다.
# 구체적 神物로서의 天符印: 무속의 巫具와 연결하여 추정할 수 있다.
==칼·銅鏡(곤을·神鏡)·방울· 북(鼓 : 靑始祖 누르하치 출생신화의 五囊개·自鳴鼓)
4).神壇樹下: 樹木信仰, 세계의中心
==馬韓의 蘇塗 : 여러 나라의 읍락이 한 사람을 주인으로 천신에 제사지내는데 이를 '천군'이라한다. 또한 소도를 [위지에 말하길 제국에는 각각 다른 읍이 있으니 '소도'라 한다. 나라가 망하여 도망가 이에 이르면 모두 이를 잡지 못한다. '소도'를 義라 하는데 이는 '부도(불탑)'와 같음이 있다.] 세워 큰 나무를 세워 방울과 북을 매달아 귀신을 섬기었다. 그 남쪽 경계는 왜와 가까워 역시 몸에 문신을 하였다.
5).風伯· 雨師· 雲師
:自然神仰의 흔적.
多神에서 唯一神으로의 과정.
自然神을 아우르는 上位神으로서의 天神의 관념
6).不見日光百日便得人形熊虎得而食之忌三七日
: 한국의傳統出産俗
==출생 후 금줄(인줄, 금구줄) 치기
男兒(고추, 숯, 짚), 女兒(짚, 숯, 종이 혹은 솔잎)
==胎처리 : 산후 3일 이내 혹은 3일째 처리
-단지에 넣어 매장하는 방식
-물에 띄워 보내는 방식
-불에 태우는 방식 : 일정한 방위(燒胎方)
-산후 3일 행사 : 産母와兒의목욕
==삼신상(삼신메, 삼지랑상, 심신지앙) : 아기를 점지해준 삼신할머니의 고마움에 대한사례의 표시로서 산후 3일째부터 7일째까지 흰쌀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풍속
- 생후 첫 번째 7일(한이레, 첫이레) : 영아의 강보(襁褓)를 벗기고, 깃 없는 옷을 입힘.태어나서 동여맸던 팔 하나를 풀어 줌.
- 생후 두 번째 7일(두이레) : 깃 있는 옷에 치마 같이 생긴 두렁이를 입히고 팔을 모두 풀어 주어 활개짓을 하게 함.
- 생후 세 번째 7일(세이레) : 웃옷과 아래옷을 모두 갖추어 입히고 몸을 자유롭게 함.
산실을 거둠. 삼신상을 차린 후 거둠.
<<백일잔치와 돌잔치>>
-21일이 지난 후에는 생후 100일에 행사를 갖는다.
-어린이가 출생한 지 1주년을 첫 돌이라고 한다..수반이 된 돌상에 온갖 것을 차려 놓고 아이로 하여금 마음대로 가지게 한다. 이 때 아이가 돌상 위에서 무엇을 잡느냐에 따라 그 아이의 장래나 성격을 예측하였다. 시험하는 것을 시아(試兒) 또는 시수(試晬3), ‘돌잡힌다.’라고 한다. 이러한 음식과 물건은 아이의 무병장수와 장래를 점쳐보고 기원하는 것들이다
7).不見日光: 해를 보기 말라는 禁忌
==주몽신화에서의‘日照感孕’과 상반되는 요소: 환웅집단과 주몽집단 사이의 차별성이 확인됨. 桓因은 태양신으로서의 성격을 부각시키기 보다는 우주의 자연현상과 국가를 건설하는 人間事까지도 주관하는 절대신으로의 성격이 강조되어 있음
cf) 주몽의 부친인 解慕漱는 태양신적 성격을 강조하고 있음.
절대신 桓因의 성격은 후대적 인식의 결과로 볼 개연성이 있음.
8).熊得女身
==곰에서 사람으로의 변신: 세 가지의 금기 제시와 준수
첫째, 동굴에서 살다.
둘째, 쑥과 마늘을 먹다.
셋째, 백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다.
9).熊得女身虎不能忌而不得人身
==천신족 숭배집단(환웅)이 곰 숭배집단을 복속하고 호랑이 숭배집단을 복속하지 못한 歷史的事實의 神話的記述로 이해할 수 있음.
<후한서> 동이전의 濊에관한기록에서濊族이 호랑이를 신으로 생각하여 제사를 지낸다고 하는 기록에 견주어 보면 호랑이 숭배집단을 濊族으로 볼 수 있음.
10).壇君乃移於藏唐京後還隱於阿斯達爲山神壽一千九百八歲
==山神信仰의형태를보여줌.
본디 山神은 女神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후대로 가면서 男性神으로 변화했을 가능성 있음.
'구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6. 무가의 이해 (2) (1) | 2022.10.13 |
---|---|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5. 무가의 이해 (1) (0) | 2022.10.13 |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4. 전설과 민담의 이해 (0) | 2022.10.12 |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3. 신화의 이해 2 (1) | 2022.10.12 |
문학, 교양, 방통대 등 구비문학 요점 요약 정리 1. 구비문학의 개념과 설화의 성격 (1) | 2022.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