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7. 아동복지와 가족복지의 다양한 사회복지 실천분야
title 1. 데이케어, 친척보호, 위탁가정보호, 생활시설, 입양
1. 데이케어
(1) 데이케어의 개념
- 아동데이케어(child day care) 는 부모 또는 보호자가 일 때문에 아동을 감독 보호할 수 없을 경우 이를
대신하는 기관 또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2) 데이케어의 방법
➀ 부모가 베이비시터(baby-sitters)나 유모(nanny)를 고용해 자신의 집에서 자녀를 보호하게 하는 방법
- 가족데이케어
- 부모가 케어 제공자의 집에 자녀를 데리고 가서 보호를 받게 하는 방법 가족데이케어
➂ 데이케어센터에 입소시키는 방법
구분 | 내용 |
장점 | ➀ 정부의 감독 아래 라이선스가 주어짐 ➁ 공식적 유아교육을 받은 직원이 서비스를 제공 ➂ 교육이나 서비스의 내용이 풍부 |
단점 | ➀ 케어가 대규모로 이루어져 아동 개인에 대한 개별화된 보육에 취약 ➁ 부모가 케어 제공자에 대해 잘 알지 못함 ➂ 케어 시간의 탄력성이 부족 ➃ 케어 제공 장소가 고정 ➄ 영아나 병든 아동에 대한 케어가 제한 |
2. 친척보호
(1) 친척보호의 개념
- . 가족대체서비스의 하나로서 친척 네트워크를 통해 아동을 보호하는 것이다 친척 네트워크는 상당한 지
지 기능을 할 수 있다 친척의 지원은 가족의 위기 상황을 안정시키고 아동을 보호하고 아동의 가족으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고 아동을 아동복지기관에 보호하는 것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 .
(2) 친척보호의 유형
➀ 비공식적 친척보호 (informal kinship care) |
사회복지기관의 개입 없이 아동을 친척의 집에 보호 |
➁ 공식적 친척보호 (formal kinship care) |
아동의 법적 양육권을 가진 사회복지기관이 자신이 인증한 친척의 집에 아동을 보호하게 하는 것 |
3. 위탁가정보호
(1) 위탁가정보호의 개념
- 위탁가정보호(foster family care) 는 가족대체서비스의 하나로서 부모 또는 법적 보호자가 아동을 보호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 (예 급성 질환 사고 등) 일시적 또는 장기적으로 아동을 보호하는 것
(2) 위탁가정보호의 원칙
➀ 아동의 친부모는 아동에게 매우 중요한 존재이기 때문에 가급적 가정과 같은 환경이 유지되어야 한다.
➁ 위탁가정은 아동이 항구적인 가족을 갖게 되기까지 아동에게 건강하고 영양학적으로 충분한 환경을 제 ,
공해야 한다.
➂ 아동의 친부모는 아동이 장차 같이 생활해야 할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으로서 클라이언트로 간주되어야
한다.
➃ 위탁가정과 그룹 홈 생활지도원은 치료 팀의 일원으로서 아동과 친부모의 재결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3) 위탁가정의 유형
➀ 임시피난가정 | 아동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사정하고 적절한 곳에 배치하는 과정에서 아동을 일시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입소시키는 곳이다. |
➁ 장기위탁가정 | 자신의 부모에게 돌아갈 수 없는 아동이나 여러 가지 이유로 입양시키기 곤란한 아동 장 ( 애 건강문제 나이 등 에게 지속적 거처를 제공한다 , , ) . |
➂ 특수위탁가정 | 성장장애 에이즈 태아기 알코올 증후군 임신여성의 알코올 과 , , (fatal alcohol syndrome, 음으로 출산한 아이의 정신지진 소두증 등 등 특수한 욕구를 가진 아동 ( ) ( ) ) 遲進 小頭症 ・ 을 위한 위탁가정이다. |
➃ 치료위탁가정 | 심각한 행동문제나 정서적 문제를 가진 아동을 위한 위탁가정이다 가정이 행동치료의 장 . 이 되고 양부모는 행동치료에 관한 특별 훈련을 받아야 한다 , . |
4. 생활시설
(1) 생활시설의 개념
- . 아동은 자신의 가정에서 친부모의 양육을 받는 것이 최선이다 그러나 전문적 치료가 필요한 아동은 가
정보다 치료 목적의 생활시설에서 보호받아야 한다.
➀ 생활시설은 아동에게 치료환경을 제공한다 생활시설은 아동에게 일관되고 예측 가능한 치료서비스를 .
제공하고 아동은 보다 통제된 이런 시설에서 안정을 찾을 수 있다 , .
➁ 아동이 부모 대신 다양한 케어 제공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아동은 부모나 위탁가 .
정의 집중적 케어 대신 느슨한 정서적 분위기 속에서 생활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➂ 치료 환경은 아동에게 집단생활 경험을 제공해 집단 속에서의 책임의식을 갖게 만들고 합리적 생활 기 ,
술과 행동을 발전 개선시키는 능력을 배양한다 , .
➃ 거짓말 훔치기 싸움 해치기 가출 등 다양한 전력을 가진 아동들이 한 시설에서 같이 생활한다는 것 , , , ,
을 전제로 생활시설은 아동의 부정적 행동을 관용하고 치료하며 개별화된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아동 , ,
의 다양한 욕구에 관심을 기울이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문제를 가진 아동을 치료하는 데 가정보다 .
더 효과적이다.
(2) 생활시설의 유형
➀ 그룹 홈 | 위탁가정보다 집중적인 치료 환경을 제공 부모가 다른 여러 아동을 가정처럼 만든 한 시설 , 에서 부모를 대신해 보호하는 곳이다. |
➁ 치료센터 | 치료센터는 다소 규모가 크며 그룹 홈 보다 더 구조화되어 있고 규제도 더 심하다 여러 , , . 단위시설 이나 별채 로 구성된 대규모 기숙시설과 중심 센터 건물을 갖추고 (units) (cottages) 있다. |
➂ 독립생활시설 | 나이 든 아동을 위한 주거시설이다 아동시설이나 가정에서 독립해 성인이 되기 전까지 준 . 비하는 곳이다 독립 생활시설은 개인사나 직업생활에 필요한 기술들을 잘 숙지 할 수 있도 . 록 돕는 데 초점을 둔다. |
5. 입양
(1) 입양의 개념
- . 아동을 친부모가 아닌 양부모가 맡아 가족의 완전한 일원으로 만드는 법적 행위이다
양부모는 아동의 친부모나 법적 후견인이 가진 모든 권리와 책임을 승계하며 친부모나 법적 후견인은 ,
아동과 관련된 모든 권리를 포기 해야 한다 (relinquish) .
(2) 입양의 유형
➀ 혈연 입양 | 친부모와 결혼한 계부모 가 친부모의 자녀를 입양하거나 친조부모가 자 (step parent) , 신의 손자 녀를 입양하거나 친척이 친척의 자녀를 입양하는 경우가 여기에 속한다 · , . |
➁ 비혈연 입양 | 혈연적으로 아무런 관련이 없는 아동을 입양하는 것이다. |
➂ 기관 입양 또는 권리포기 입양 |
공공 또는 민간 사회복지기관이 친부모와 계약 아래 아동을 입양하는 것이다 기관은 . 친부모에게 상담을 제공하고 아동에게 가장 적절한 보호 장소를 사정하며 입양의 전 , , 반적 과정을 감독한다. |
➃ 독자 입양 | 사회복지기관의 개입 없이 양부모와 친부모가 독자적으로 입양을 진행하는 것이다. |
➄ 국제 입양 | 다른 나라로부터 아동을 입양하는 것이다 양부모의 가정에 관한 충분한 사전 조사가 . 필요하고 입양 아동이 고아라는 사실이 증명되어야 한다 , . |
➅ 특수 욕구 입양 | 입양 가정에 맡기기 곤란한 아동을 입양시키는 것이다 유색 인종 나이 든 아동 형제 . , , 자매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장애를 가진 아동 등이 예이다 입양 가정에 대한 의료적 , . ・ ・ 또는 여타의 지원이 필요하다. |
➆ 인종 간 입양 | 인종이 다른 부모가 아동을 입양하는 것이다 백인 부모가 흑인 또는 아시아 계 아동 . 을 입양하는 경우가 그 예이다 |
(3) 입양이 필요한 아동이 발견되는 시점부터 입양이 종료되는 시점까지의 여섯 단계
➀ 1단계 아동을 극단적으로 학대하는 부모로부터 격리된 아동 부모로부터 버림받은 아동 부모가 사망하여 , , 고아가 된 아동 등 입양이 필요한 아동이 발견되는 단계이다. |
➁ 2단계 입양이 가능하도록 아동이 법적으로 자유로워져야 한다 친부모나 법적 후견인에게서 분리되는 것 . 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배려가 필요하다 친부모의 양육권이 공식적으로 종료된다 . . |
➂ 3단계 양부모가 선정된다 사회복지사는 양부모의 가정이 아동을 입양해 양육하기 적정한지 여부를 여러 . 측면에서 조사하고 평가한다. |
➃ 4단계 양부모가 잠정적으로 결정되면 입양기관은 아동을 입양 가정으로 보낸다 입양기관의 사회복지사 . 는 아동이 새로운 가정에 잘 통합되도록 입양가족을 지원한다. |
➄ 5단계 입양가족이 입양 후의 변화에 적응해 나가는 단계이다. |
➅ 6단계 입양이 공식적으로 합법화되는 단계이다. |
'사회복지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사, 복지직 공무원 등 사회복지개론 요점 정리 9. 한국의 영유아보육서비스 (0) | 2022.06.06 |
---|---|
사회복지사, 복지직 공무원 등 사회복지개론 요점 정리 8. 한국의 아동복지 시설 (0) | 2022.06.05 |
사회복지사, 복지직 공무원 등 사회복지개론 요점 정리 6. 아동복지 ・ 가족복지 (0) | 2022.06.02 |
사회복지사, 복지직 공무원 등 사회복지개론 요점 정리 5. 사회복지 실천 기술 (0) | 2022.06.01 |
사회복지사, 복지직 공무원 등 사회복지개론 요점 정리 4. 사회복지실천의 기초 (0) | 2022.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