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학- 재배학

농촌지도사, 연구사, 농업직 7급, 9급공무원 필수과목 재배학 핵심 내용 요점 정리 1. 재배식물의 기원과 발달

728x90
반응형

1. 재배식물의 기원과 분류

 

제1장. 재배식물의 기원과 발달

 

1. 재배식물의 기원과 발달

. 재배식물의 기원

오늘날 재배되고 있는 많은 작물들은 그 기원이 매우 오래되었으며 야생종으로부터 순화되어 재배식물로 된 것 들이다. 농경은 야생식물을 기르는 일로부터 시작되었고 많은 식물 중에서 재배의 대상이 된 것은 이용성과 경제성이 높은 것에 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재배의 대상이 되어 있는 식물을 작물 또는 재배식물이라고 한다.

바빌로프(Vavilov, 1926)는 전 세계를 통하여 농작물과 그들의 근연식물들을 수집하여 지리적 미분법(수집한 식물을 지역별로 종의 분포도를 만들고, 종내의 유전적 변이를 조사하여 그 식물종의 기원중심지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주요작물의 재배 기원 중심지를 8개 지역으로 나누었다.

1) 중국지역 (중국의 평탄지중부와 서부의 산악지대)

6조보리메밀인삼 등

2) 인도동남아지역(인도의 대부분버마아샘지방)

참깨사탕수수모시풀 등

3) 중앙아시아지역 (인도의 서북부아프카니스탄파키스탄우즈베키스탄) : 귀리기장완두당근 등

4) 코카서스 중동지역 (랜스코카사스이란 전역터어키의 고원지대)

1립계와 2립계의 밀보리귀리알팔파사과양앵두 등

5) 지중해 연안지역 (지중해 연안) : 완두유채양귀비 등

6) 중앙아프리카지역 : 진주조수수수박참외 등

7) 멕시코 중앙아메리카 지역 (멕시코남부중앙아메리카)

옥수수고구마강낭콩 해배라기호박 등

8) 남아메리카 지역(페루에콰도르볼리비아)

감자담배땅콩 등

바빌로프(Vavilov)는 전 세계로부터 수집한 작물의 연구를 통해서 다양성에 주목을 하게 되었다. 바빌로프는 연구결과를 정리하여 유전자 중심설을 제안하였다. , 재배식물 기원지는 1차 중심지와 2차 중심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1차 중심지에는 우성형질의 것이 많으며, 2차 중심지에는 열성형질이 많이 나타나고 그 지역의 특징적인 우성형질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 농경의 발상지와 재배의 기원

농경의 발상지는 큰강 유역이거나 산간부 또는 해안지대일 것으로 학자에 따라 다르게 추정하였다.

큰강의 유역 : De Candolle

산 간 부 : N. T. Vavilov

해 안 지 대: P. Dettweiler

 

재배의 기원을 학자에 따라 달리 추정하였다.

1) G. Allen : 묘소에 식료를 공물로 바치는 풍습이 있었는데, 공물로 뿌려진 야생 식물의 열매가 자연히 싹이 터서 자라는 것을 보고 재배라는 관념을 배웠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2) De Candolle : 산야에서 채취한 자연식물의 과실을 먹고 집근처에 던져준 종자에서 똑 같은 야생식물이 자라는 것을 보고 파종이라는 관념을 배웠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3) H.J.E. Peake : 채취해 온 자연식물의 열매가 잘못하여 집 근처에 흩어진 것이 싹이 터서 자라는 것을 보고 재배의 관념을 배웠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 작물의 분화와 식물형질의 변화

식물은 자연교잡과 돌연변이 때문에 유전적 변이가 발생한다. 새로운 유전형 중에서 환경이나 생존경쟁에 견디지 못하는 것은 도태되고 견디는 것은 적응하게 된다. 적응한 것들이 오래 생육하게 되면 그 생태조건에 좀 더 잘 적응하게 되는데 이를 순화라고 한다.

분화의 마지막 과정은 성립된 적응형들이 유전적인 안정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즉 적응형 상호간에 유전적 교섭이 생기지 않아야 하는데 이를 격리 또는 고립(품종)이라고 한다.

 

. 재배이론과 재배학

작물수량은 유전성, 재배환경, 재배기술의 3변으로 하는 삼각형의 면적으로 표시된다. 작물의 최대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좋은 환경에다 유전성이 우수한 작물을 골라서 알맞은 재배기술로 가꾸어야 한다. 작물수량의 삼각형에서 삼각형의 면적, 즉 수량이 커지려면 유전성, 재배환경, 재배기술의 3변이 균형 있게 발달하여야 하며 다른 2변이 아무리 잘 발달하더라도 1변이 발달하지 못하면 면적, 즉 수량은 작아지게 된다.

 

 

<재배 형식>

1) 소경

원시적 약탈농업

토지가 척박해지면 다른 곳으로 이동

아프리카 중남부, 동남아의 열대섬 등에서 실시

2) 식경

식민지적 농업(기업적 농업)

넓은 토지에 한 가지 작물만을 경작

가격변동에 매우 민감

대상작물(커피, 사탕수수, 고무나무, 담배, )

3) 곡경

넓은 면적에 곡류가 주로 재배되는 형식

대규모의 기계화를 통한 대규모 곡물을 생산

4) 포경

식량과 사료를 균형있게 생산

적절한 조합을 통해 지력소모를 막을 수 있는 형태

5) 원경

가장 집약적인 재배형식

비료를 많이 사용하는 형태

원예지대나 도시근교에서 발달

 

식물의 진화순서 (유도순격)

유전적변이 -> 도태와 적응 -> 순화 -> 격리 또는 고립

 

식물의 기원지를 알아내는 방법

식물지리학적 방법

근연 야생종의 분포와 품종 다양성으로부터 찾는 방법

고고학적 방법

탄소연대측정 등 식물 유체의 분석을 포함하는 방법

생화학적 및 생물학적 방법

세포유전학적 방법, 유전자분석법, DNA염기서열분석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