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9. 음절에 따른 학습자 오류
1) 영어권 학습자 오류의 예
Ⓐ 값[갑ㅅ] 닭[달ㄱ] 삶[살ㅁ] Ⓑ 닭이[다기] 읽어요[이러요/이거요] |
- Ⓐ의 경우: 음절 말에서 자음군의 발음이 불가능하지만 영어에서는 가능하므로
초급영어권 학습자들은 이런 경우 두 받침을 모두 발음하려는 경향이 있음
- Ⓑ의 경우: 겹받침의 경우 두 가지 자음 중 하나만 발음하는 것을 강조하다 보면
‘닭이’, ‘읽어요’에서는 연음 전에 자음을 탈락시키는 오류가 나타나기도 함
2) 일본어권 학습자 오류의 예
날다[나루다] 길[기루] 일본[이루본] |
→ 대부분 음절이 모음으로 끝나기 때문에 한국어에서 자음으로 끝나는 음절에 [으] 또는
[우]를 추가하여 발음하는 오류를 범함
3) 중국어권 학습자 오류의 예
복잡[보짭] 대학교[대하교] 꽃[꼬] |
→ 중국어에서는 종성에 올 수 있는 장애음이 없으므로 한국어의 종성 장애음을 탈락 시켜
발음하는 오류를 범함
728x90
반응형
'대조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21. 구개음화 (0) | 2024.05.06 |
---|---|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20. 자음동화 (0) | 2024.05.04 |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18. 초분절음소 – 음절이외의 의미 변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0) | 2024.05.02 |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17. 언어별 음절구조 (0) | 2024.05.01 |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16. 음절 구조의 구성 요소와 유형 (0) | 2024.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