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초분절음소 – 음절이외의 의미 변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 초분절음소의 정의
♠ 운소(韻素)
- 음절과 독립적이면서도 의존적으로 실현되는 음의 높이나 길이, 세기 등과 같은
운율적 자질
♠ 초분절음소
– 운소가 발화상에서 의미를 구별하는 데 변별적으로 작용을 하는 것
– 분절음(자음, 모음)위에 얹혀서 단어의 뜻을 구별하는 데 사용
→ 성조, 장단, 악센트(강세,고저), 억양 등이 있음.
2) 성조
♠ 성조란 음높이의 변화로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초분절음소.
♠ 전 세계 언어 중 약 42%가 성조 언어 (주로 아시아, 아프리카, 중미지역 언어)
(1) 성조의 종류
① 단순형 성조 – 고/저 (아프리카 지역의 언어들)
② 복잡형 성조 – 2개 이상 (동아시아, 동남아시아의 언어들)
(2) 성조와 음소 수의 상관관계
♠ 자음의 평균수와 모음의 평균수가 많으면 성조가 복잡하고, 반대로 적으면 성조가 없거나 단
순
(3) 성조와 음절과의 관계
♠ 성조는 단순형 음절구조(CV,V)와 복잡형의 음절구조(C³VC⁴)보다는 중간형 음절구조(CVC,
CCV)에서 자주 발견됨
♠ 복잡형 성조 체계는 중간형 음절구조와 더 관련이 깊음
♠ 반면, 무성조 언어는 더 복잡한 음절구조를 가질 가능성이 높음
(4) 여러 나라의 성조
① 중국어 성조 – 4성, 모음 위에 표시
② 태국어 성조 – 5성, 모음 위에 표시
③ 베트남어 성조 – 6성, 모음 위 또는 아래에 표시
3) 장단
♠ 단어의 의미 분화에 관여하는 음의 길이
(1) 여러 나라의 장단
① 한국어 - <표준발음법>에는 음의 장단이 의미 분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와 있으나
실제 사용에서는 장단을 구별하지 않음
② 일본어 – 한국어와 달리 소리의 장단이 의미 변별에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함
③ 영어 – 의미 구별에 영향을 줌
4) 악센트
♠ 하나하나의 단어에 대해 사회적 습관으로 굳어져 있는 상대적인 음의 높이(고저)나
음의 세기(강약)의 배열을 의미함
(1) 악센트의 종류
① 고저 악센트(pitch accent) - 음의 높이에 따른 악센트
(예) 일본어
② 강세 악센트(stress accent) - 음의 세기에 따른 악센트
* 강세가 있는 언어 510개 중 강세 고정 언어는 280개, 강세 비고정 언어는 220개로
강세 고정 언어가 다소 많음
(예) 러시아어 – 강세의 위치에 따라 의미가 다름
(예) 영어 – 강세의 위치에 따라 품사가 다름
5) 억양
♠ 구나 문장 층위에 걸쳐서 나타나는 음높이의 변화 유형을 가리키는 말
♠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지는 못하지만 통사적 혹은 문맥적 의미를 표현
(1) 억양의 역할
① 문장의 종류를 구별
② 어조나 화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냄
(예) 한국어
♠ 분절음의 수와 초분절음의 발달과의 관계
- 분절음의 수가 적으면 다양한 의미와 의사표현을 위해 초분절음이 많이 발달했을 것이라
고 생각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음.
- 분절음 수가 많은 언어에서 두 개 이상의 초분절음(예: 성조와 강세) 등이 발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분절음 수가 적은 언어에서는 강세와 성조가 발견되지 않음
'대조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20. 자음동화 (0) | 2024.05.04 |
---|---|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19. 음절에 따른 학습자 오류 (0) | 2024.05.03 |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17. 언어별 음절구조 (0) | 2024.05.01 |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16. 음절 구조의 구성 요소와 유형 (0) | 2024.04.30 |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15. 보편성에 따른 자음체계 대조(조음방법기준) (0) | 2024.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