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형태, 통사 대조
1)형태대조
- 대조분야
♠ 대조의 대상이 되는 언어에 존재하는 품사대조
♠ 각 품사가 갖는 특성 대조
♠ 단어형성법(파생. 굴절방법)
- 한국어
♠ 조사는 있으나 접속사, 관사가 없음. (영어는 반대)
♠ 형용사가 서술어의 기능을 함. (영어 형용사는 수식의 기능을 함)
2)통사대조
- 대조 분야
♠ 어순 대조
♠ 시제와 상의 대조
♠ 문장 구성 방법의 대조
(1) 어순대조
♠ 기본어순대조
♠ 명사구 내부의 어순
– 전치사가 있는 언어인지, 후치사가 있는 언어인지,
– 피수식어와 수식어의 위치
♠ 동사구 내부의 어순
- 부사어와 서술어의 위치, 본용언과 보조용언의 위치 등
(2) 시제와 상의 대조
♠ 시제중심 언어 vs 상 중심 언어
♠ 이분법 vs 삼분법 (시제)
(3) 문장구성방법
♠ 판정의문문 – 의문사(의문표식) 위치 대조
- 한.중.일 : 의문사가 원래의 위치에 남아 있음 (예) 학생입니까? - 학생입니다.
- 영어 : 문두에 위치 (예) Are you a student? - Yes, I’m a student.
♠ 설명의문문 – 의문문 구성 방법
- 한국어: 동사를 활용 (예) 직업이 무엇입니까?
- 영어: 어순 도치 (예) What is your job?
- 중국어, 일본어:의문첨사 사용
- 예) 你喜欢谁?(누구를 좋아하니?) 何時ですか? (지금 몇시 입니까?)
(4)형태·통사 분야에서 나타나는 학습자 오류의 예
Ⓐ 이 가방은 예쁜이다 Ⓑ 우리나라와 한국의 풍습은 다른다 Ⓒ 나는 지금 한국 사람과 사귀해요 |
♠ Ⓐ 이 가방은 예쁜이다: 영어권 화자
- 형용사가 서술어로 사용될 때 형용사 다음에 ‘-이다’와 같은 말을 넣는 오류를 일으킴.
- 영어의 형용사는 수식의 기능을 하고 서술어로 사용될 때는 be동사와 같은 동사류의 도
움을 받기 때문
♠ Ⓑ 우리나라와 한국의 풍습은 다른다 : 일본어권 화자
- 한국어의 몇몇 형용사를 동사처럼 사용하는 경우가 있음. 같은 의미를 가진 단어가 나라
에 따라 다른 품사로 사용됨을 알 수 있음.
♠ Ⓒ 나는 지금 한국 사람과 사귀해요. 중국어권 화자
- 동사와 명사를 구별하지 않고 ‘명사+하다’가 동사가 될 수 있는데 ‘동사어간+하다’ 도 동일하게 처리
'대조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8. 자연언어 음소체계의 특성 (1) | 2024.04.22 |
---|---|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7. 어휘와 표현 및 담화 대조 (0) | 2024.04.21 |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5. 음운대조 (0) | 2024.04.04 |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4. 대조언어학과 언어교육 (0) | 2024.04.03 |
한국어학, 문학창작과 등 대조언어학 핵심 요점 정리 3. 대조언어학 연구 방법 (1) | 2024.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