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벡의 인지적 성격이론의 주요 개념
1) 벡의 생애(Aaron T. Beck, 1921~)
♠ 1921년 로드아일랜드에서 5남매 중 막내아들로 출생 러시아계 유태인 미국 이민자의 막내아들)
- 외동딸 사망으로 인해 어머니가 우울증 경험
- 어렸을 때 팔이 부러져서 감염된 것이 완치되지 않아 평생을 고생
- 같은 학년을 두 번 다니게 되는 경험 -> 자신이 무능하고 바보같다고 생각 -> 이러한
어려움들을 인지적으로 해결하기 시작 -> 이후 자신이 경험했던 부정적 신념을 지닌
사람들을 조력하는 데 이용
♠ 남들보다 빠르게 초등학교를 졸업 고교시절 편집장,
- 1943년 브라운대학교를 우등으로 졸업
- 1946년 예일 의과대학 의학박사학위 정신과 전공의의 삶을 살아감
- 펜실베니아대학교에서 근무 대학 내에 벡 인지치료 연구소 설립 우울 자살 불안
공황장애 물질남용 결혼문제 성격장애 등 연구 -> 수많은 공로상
- 1953년 우울증의 원인 현실에 대한 부정적 왜곡으로 인한 것임을 알게 됨 -> 인지를
평가하기 위한 우울척도 역기능적 사고기록표 등의 평가도구를 개발,
- 37여편의 논문과 14권의 책을 집필하였으며 수많은 평가 도구들을 개발
2) 주요 개념
(1) 인지 수준
♠ 자동적 사고 중재적 신념 핵심 신념(automatic thoughts), (intermediate beliefs), (core
그리고 스키마 로 분류됨beliefs) ('schemas)
① 자동적 사고: 우리의 마음속에 계속적으로 진행되는 인지의 흐름 자동적 사고는 상황과 정서: .
를 중재함.
② 중재적 신념: 중재적 신념은 사람들의 자동적 사고를 형성하는 극단적이며 절대적인 규칙과:
태도를 반영함.
③ 핵심 신념 많은 자동적 인지에 바탕이 되는 자신에 대한 중심적 생각이며 보통 자신의 중: ,
재적 신념에 반영되어 있음.
♠ 핵심 신념은 보편적이며 과일반화된 절대적인 것으로 기술될 수 있음' ' .
♠ 세계 타인 자신 그리고 미래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반영함, , .
④ 스키마 스키마는 핵심 신념을 수반하는 정신내의 인지 구조 로 정의됨: ' ' .
♠ 벡은 스키마를 정보처리와 행동을 지배하는 구체적 규칙으로 보았음.
♠ 스키마는 가 명명한 인지의 세 구성 요소 인 자신 세계Moss(1992) ' '(cognitive triad) , ,
미래를 보는 개인의 특유하고 습관적인 방식이 있다고 봄
♠ 벡은 스키마 작업을 치료과정의 핵심이라고 보았음.
(2) 자동적 사고
♠ 정서적 반응으로 이끄는 특별한 자극에 의해 유발된 개인화된 생각으로 노력 혹은 선택
없이 자발적으로 일어남.
♠ 심리적 장애를 가진 사람의 자동적 사고는 흔히 왜곡돼 있거나 극단적이거나 부정확함, , .
♠ 자동적 사고의 주요한 특징
- 자동적 사고는 구체적 분리된 메시지이다, .
- 자동적 사고는 흔히 축약해서 언어 이미지 또는 둘 다의 형태로 나타난다, .
- 자동적 사고는 아무리 비합리적이라 할지라도 거의 믿어진다.
- 자동적 사고는 자발적인 것으로서 경험된다.
- 자동적 사고는 흔히 당위성을 가진 말로 표현된다.
- 자동적 사고는 일을 극단적으로 보려는 경향성을 내포한다.
- 자동적 사고는 개인에 따라 독특하게 나타난다.
- 자동적 사고는 중단하기가 쉽지 않다.
- 자동적 사고는 학습된다.
(3) 인지왜곡
♠ 그릇된 가정 및 잘못된 개념화로 이끄는 생각에 있어 체계적 오류
♠ 인지적 왜곡은 정보처리가 부정확하거나 비효과적일 때 나타나며 대개 비현실적인 세계관을
나타내거나 비논리적인 추론과 관련됨.
♠ 인지적 왜곡은 별다른 노력 없이도 자발적이고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것처럼 보임 자동적->
사고는 순간 우리에게 떠오르는 생각이나 영상을 말함.
♠ 자의적 추론 충분하고 적절한 증거가 없는데도 결론에 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
왜곡은 상황에 대한 비극적 결말이나 최악의 시나리오를 생각하는 것
♠ 예 독심술 타인들이 자기자신의 마음을 읽을 수 있고 또 자기자신이 무엇을) :
좋아하는지를 알아야 할 것이라는 상념과 관련
♠ 예 부정적 예측 점술 사람은 어떤 나쁜 일이 이제 막 일어날 것이라고 상상하고 또) ( ) : ,
실제로 예측하고 그런 다음 이러한 예측을 비록 그것이 현실적이지 못할지라도 사실로 간주
♠ 선택적 추상 정신적 여과 상황의 긍정적인 양상을 여과하는데 초점이' ' (mental filtering) :
맞추어져 있고 극단적으로 부정적인 세부사항에 머무르는 것
♠ 예 개인은 여타의 가용자료를 모두 무시한 채 자신의 우울한 생각을 정당화하거나)
지지하는 단일의 근거만을 선택적으로 채택함.
♠ 과일반화 단일 사건에 기초하여 극단적인 신념을 가지고 그것들을 유사하지 않은:
사건들이나 장면에 부적절하게 적용하는 과정
♠ 예 나는 한 남자에게 학대당했다 이것은 모든 남자가 학대한 것이고 그들을 믿을 수) " .
없음을 뜻한다"
♠ 극대화 극소화 개인이 불완전을 최대화하거나 좋은 점을 최소화할 때 생길 수 있음 예( ) : . )
한 두 번의 지각으로 게으르다고 판단
♠ 개인화 관련지을 만한 일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외적 사건들과 자기 자신을 관련짓는 경향:
♠ 예 면접에 떨어져 연인과 헤어졌다고 판단)
♠ 이분법적 사고 이러한 왜곡의 주요한 특징은 완전한 실패 아니면 대단한 성공과 같이:
극단적으로 흑과 백으로 구분하려는 경향
♠ 예 완벽하지 않으면 가치가 없다) .
♠ 정서적 추론 사람이 정서적 경험에 근거해서 그 자신 세계 혹은 미래에 관해서 추리를: ,
하는 경우
♠ 예 나는 느낀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라는 논리를 나는 부적절 하다고 느낀다 고로) " . . " -> " .
나는 쓸모 없는 사람이다 고 추론하는 것. "
♠ 긍정 격하 개인이 자신의 긍정적인 경험을 격하시켜 평가하는 것:
♠ 예 시험을 잘 본 것은 운이 좋았을 뿐이다) .
♠ 파국화 개인이 걱정하는 한 사건을 취해서 지나치게 과장하여 두려워하는 것:
♠ 예 재난에 대한 과장된 사고를 통해 세상에 곧 종말이 닥칠 것이라는 두려움 속에서 삶) .
♠ 명명과 잘못된 명명 자신에 대한 부정적 견해는 어떤 잘못에 근거한:
자기명명 에 의해 창조됨(self-labeling) .
♠ 예 한 번의 지각으로 지각대장 이라고 명명) ' '
(4) 인지타당성 평가
♠ A-FROG
- 나의 사고는 나를 생기 있게 하는가A(Alive) : ?
- 나는 이러한 사고의 결과로 기분이 더 나아졌는가B(Feel) : ?
- 나의 사고는 현실적인가R(Reality) : ?
- 나의 사고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도움이 되는가O(Others) : ?
- 나의 사고는 나의 목표를 성취하는데 도움이 되는가G(Goals) : ?
'성격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의 성격은? 상담, 심리학 필수 성격심리학 요점 요약 정리 50. 엘리스의 인지적 성격이론의 주요 개념 (1) | 2024.03.07 |
---|---|
나의 성격은? 상담, 심리학 필수 성격심리학 요점 요약 정리 49. 캘리의 개인 구성개념 이론의 성격 평가 기법과 이론의 적용 (0) | 2024.03.06 |
나의 성격은? 상담, 심리학 필수 성격심리학 요점 요약 정리 48. 캘리의 개인 구성개념 이론의 주요 개념 (1) | 2024.03.05 |
나의 성격은? 상담, 심리학 필수 성격심리학 요점 요약 정리 47. 치료기법의 종류 (0) | 2024.03.05 |
나의 성격은? 상담, 심리학 필수 성격심리학 요점 요약 정리 46. 성격 연구와 평가 기법 (0) | 2024.03.02 |